소설2010. 2. 25. 23:00

 

반대말 • 비슷한말

전남대학교출판부 2010

 

 

 

 

  차례 

머리글 ―――――4

반대말•비슷한말 ―――――8

쪽지 붙였음 ―――――31

네 번째의 죽음 ―――――55

콩나물 ―――――76

조사 ―――――97

마리아 막달레나 ―――――119

오늘과 이별하다 ―――――140

행복한 수요일 아침 ―――――167

춤꾼 ―――――194

건들장마 ―――――214

부나비 ―――――236

태양은 ―――――263

새롭고 낯선, 그래서 신선한 세계 ―――――315
   - 서용좌 소설의 특성 / 유금호

 

머리글


소설쓰기는 이 정보오락의 시대에 무엇일까요?

유명한 정도가 매년 한국의 노벨문학상 예상 인물들 중의 하나로 꼽히는 한 소설가가 학교에 초빙된 적이 있었습니다. 소강당 강연 중에 그는 시를 못 쓰는 사람이 소설을 쓴다 하고, 소설도 못 쓰는 사람이 평론한답시고 하고, 그것도 못하는 사람이 교수한다고 공언하더군요. 물론 유머였겠지만 가슴이 막혔습니다. 별 볼일 없는 문학 강의 시간 줄여서라도 학생들에게 유명작가를 만나게 하려던 저는 하릴없이 고개를 숙였습니다. 그렇다고 그제서 분발해서 소설을 쓰기로 시작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얼떨결에 소설가가 되긴 했지만, 아무도 저를 소설가라 불러주지 않은 때였습니다.


기자본주의사회에서 교수는 허위의식의 극치의 하나입니다. 어설픈 존경이라는 것도 허울 뿐, 그에 전혀 걸맞지 않게 그들이 하는 노동의 양을 생각해보십시오. 취미 하나 개발하기는커녕 마음 편히 밤잠을 자보는 것이 소원일 것입니다. 그런데 그것도 모자라서 더 많은 시간 글에 매달려도 더 알아주는 사람 없는 소설가의 길에 빠져든 것은 저로서는 실존적 선택이었습니다. 다른 나라 다른 소설들을 파먹느라 밤을 지새우는 하이에나이기를 멈추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그러나 지친 하이에나는 완전히 생경한 글쟁이의 길로 접어들자 표범은커녕 어느 곳에도 속할 수 없는 박쥐 신세가 되고 말았습니다.


그런데도 저는 늘 선택 앞에 깜깜한 채 내팽겨진 우리들의 무력감을 외면하지 못합니다. 앞을 향하고 걸어도 불안한 걸음을 계속 뒤돌아보느라 터덕거리는 어리석음을. 가끔은 먼 데 하늘을 바라며 전혀 다른 상황을 꿈꾸는 우리들의 모습을.


꿈을 꾸는 한, 인생은 늘 불발입니다. 유토피아는 아무데도 없는 곳이니까. 그런데 삶이 점점 녹록치가 않습니다. 한 겨울에도 반쯤 벗고 지내는 사람들이 있는 세상이라고는 하나, 우리들 어디에도 온기라고는 없습니다. 행여 내일 실패하지 않으려고 뇌세포는 주판알로 피범벅입니다. 그러나 그냥 살아있는 것은 모든 생물체에게 주어진 우연한 권리일 뿐입니다. 그보다는 나에게만 주어진 한 가닥 미미한 권리로서, 나는 나로서 살기를 망설이고 싶지 않습니다. 지식산업의 대열에서 살아남느라 정신에 대한 죄악이라고 홀대했던 이미지 - 이제서 이미지에 들려 나로서 상상하기는 어떤가요. 나는 상상한다, 고로 존재한다!


오래 망설이며 겁냈던 글쟁이로서의 실존 -

어딘지 산만한듯하면서도 응집력을 지닌 소설쓰기에 몰입하고 싶습니다. 서사텍스트란 겉보기에만 하나의 통일체일 뿐, 실제로는 사건의 객관적 세계와 서술자의 주관적 세계가 씨줄날줄처럼 얽힌  꿰뚫어보기 어려운 혼재의 장입니다. 등장인물이 느끼는 불평등, 장애 또는 결핍은 서술자를 긴장시키는 힘이 되어 줄 것입니다. 여기에 또 작가의 유희충동에 의한 개입이 의도적으로 시도된다면? 소설을 쓸 때면 저는 거의 전율을 느낍니다, 길은 멀지만 박쥐도 아무튼 날개는 있으니까요.


                                                              ※

 

새롭고 낯선, 그래서 신선한 세계

                         - 서용좌 소설의 특성


           유금호 (소설가 / 한국작가교수회 전 회장)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


문학 표현 양식에 대한 슈클로프스키(Shklovky)의 괘묵은 이 이론은 지금도 상당한 설득력을 지니고 있다. 작가입장이 아니라 독자입장에서도 낯설게 표현된 언어구조물을 통해 원래의 작가 심상에 접근해가는 그 과정 자체를 ‘예술행위’로 파악하는 데 묘미가 있다.

솔직히 서용좌의 소설들을 처음 대하는 일반 독자라면 부분적으로 당혹해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 서사물에 길들여진 독자에게 시도 때도 없이 문맥 속에 끼워드는 작가의 맨 얼굴의 언술과 현학적 수사들이 불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보통 소설들이 작가 메시지를 객관적 서사 속에 용해, 육화시켜 내보여왔다면 서용좌 소설에서는 서사의 행간 속, 작가의 자유로운 사유와 분석, 예증들이 ‘바슐라르’ 이상의 상상력을 가지고 풍요롭게 부유한다.


소설이 꼭 객관화된 서사 속에서 작가의 영혼을 간접적으로 표출해야 하는가,는 현재로도 얼마든지 이론이 있을 수 있다. 근래 소설 이론서들 목차에 과거 앞자리를 차지하던 ‘주제’ 항목이 뒤로 밀리거나 삭제된 경우를 본다. 그만큼 소설양식 자체도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잘 빚어진 찻잔 같던 19세기 식 단편들과는 다른 새로운 접근 속에 용좌의 소설이 놓인다는 것은 현재의 한국문단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일이다.


[…]


사소한 것에서 의미 찾기


아주 작은 사물이 특정한 작가의 촉수에 잡혀 엄청난 질량으로 확대 생산되는 현상을 가끔 볼 수 있다. 영민한 작가일수록 그 사소함에 의미를 확장시키는 능력을 지녔다고 하면 조금 과장된 주관일까. 이 소설집을 읽어본 사람들은 느끼겠지만 서용좌의 촉수는 그런 면에서 매우 민감하다. […]



새로운 시도에 대한 기대


<“나는 하이에나가 아니라 표범이고 싶다.” - 평생을 다른 나라 다른 사람들의 소설들에 파묻혀 살다보면 하이에나로 변해가는 환상에 두려울 때가 있다. 다른 나라 다른 사람들의 소설들을 파먹느라 자판 위를 달리는 손가락들이 하이에나의 발가락처럼 넷씩으로 변하고, 꼬리에 수북이 털이 돋는 느낌에 소스라친다.

그런 순간이면 <새 글>을 열어서 내 글을 쓴다, 갑자기 아주 서툴게. 나의 심장에서 이웃들의 심장에서 일렁이는 소리에 가만히 귀 기울인다. 왜 우리는 저 혼자서 제 삶을 생경해하는 것일까. 가을 비 차갑게 내리면 더욱.>

      

이 글은 작가가 한국소설가협회에서 발간되는 잡지에 처음 소설을 발표하면서 쓴 글의 일부이다.

이 작가가 소설쓰기 보다 독일문학을 연구하는 학자로, 교수로 더 많은 시간을 보낸 사람이라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자기감정의 글쓰기보다 판단하고, 분석, 비교하는 위치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독일 철학자와 문학가들의 삶과 사상 속에 깊이 천착해 온 작가의 소설쓰기는 그래서 서두에서 언급했듯 서사 안에서 때로 현학적 사유들이 출몰하고, 서사의 행간에 직접 언술의 흔적까지 많이 들어난다. 그렇지만 시험 삼아 서용좌 이름을 지워도 서용좌 소설은 서용좌라는 작가를 떠 올리게 할 것임에랴.


분명한 것은 모든 예술이 그렇듯 과거는 늘 새로운 시도들에 의해 파괴되고 창조되게 마련이라는 점이다. 한국소설의 영역 확대를 위해서도 신선하고 개성 있는 이 작가의 앞으로의 활동이 더욱 기대되고 그런 의미, 과감한 도전들이 기다려지는 것이다.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든 고향  (0) 2010.08.15
정체성 - <소설시대> 17  (0) 2010.05.25
쪽지 붙였음 - <PEN>  (0) 2009.10.14
네 번째의 죽음 - <한국소설>  (1) 2008.09.01
콩나물 - <문학저널>  (0) 2007.11.01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