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기고2002. 5. 27. 22:39

[전일시론 2002년]               성장

 

오월이 무르익었다. 며칠이면 여름에 자리를 내준다. 나무들은 새 잎을 내는가 싶더니 어느새 한껏 자랐다. 이젠 그 그늘로 우리를 덮을 태세다. 


사람은 봄마다 새로 자라나는 나무만 같지 못하다. 연륜은 체험과 비례하지 않는다. 지식과는 더더욱 아니다. 더구나 다매체의 홍수 속에서 장님 코끼리 보기만큼도 세상을 알지 못하고 죽는다. 이 주눅든 말을 하필 성장의 대명사인 신록의 계절 끝자락에서 내뱉어야 하는지, 그것 또한 기이한 일이다. 생각해 보니 바로 자연의 놀라운 성장 때문에 우리의 성장을 생각하게 되는가 싶다.


한껏 자라는 나무들을 바라보면 생각나는 구절이 있다. 괴테의 『시와 진실』이라는 상당한 양의 글은 작가의 자서전쯤 되는데, 그중 한 단원에 “나무는 하늘만큼 자라지 않게 되어있다”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나무들이 제각기 제 키를 제 양을 자랑하면서 자라나지만, 하늘을 찔러 스스로 부러질만큼 자라는 나무는 정말 없다는 것이다.


우리의 수명 또한 그렇고 우리의 능력 또한 그렇다. 어느 새 우리는 나무의 키를 훨씬 넘어서 살고 있다. 하늘 가까이에서 살고 있다. 사람이 사는 고층건물은 얼마나 높이 가능할까? 사람은 얼마나 높이 집을 지을 수 있을까? 창세기의 바벨탑 교훈을 들어야 할까? 노아의 자손들이 다음 홍수를 피하기 위하여 하늘까지 닿는 돌탑을 쌓으므로, 여호와께서 언어를 혼잡하게 하여 이들의 통솔력을 중지시키시므로 이름을 바벨이라 했다(창11:1-9). 고대 바빌로니아 또는 그리스의 기록에 의해 추정되는 이 건축물의 높이는 210m 이상이라고 한다. 현대의 층 개념으로 환산해도 70층 정도는 된다. 그러니까 고대 최초의 통일제국을 이룩했다는 니므롯이 시날평지에 성읍을 세우고 탑을 구축하려 했을 때, 성장은 그곳에서 멈춘 것이다. 성서적 해석으로는, 한 족속이요 언어도 하나인 인간들이 경영하는 일을 금지하고자 했던 신의 의지로 풀이되겠지만, 자연 속에서는 더 쉬운 말로 ‘하늘까지 자라는 나무는 없는 것이다.’ 그로부터 수천년이 흐른 오늘도 지구촌 어디에도 바벨탑 보다 더 높은 건축물은 드물고, 또 위태롭기까지 하지 않은가. 자연은 스스로 성장을 통제한다. 사람들은 고층 하늘 속에 사는 대신, 나무의 키를 넘지 않게 만큼 땅에 붙어서 살아야 하는지도 모른다.


사회 또한 거대한 생명체이다. 경제학자들의 의미있는 주장, “성장하는 사회가 건전한 사회다”라는 명제도 영원불멸한 명제는 아닐 것이다. 사회의 건강성을 재는 척도가 성장률뿐이겠는가. 우리 사회의 건강함이란 우리를 둘러싼 환경에 타격을 주지도 타격을 받지도 않는 자연스러운 상태라야 할 것이다. 우주같은 거창한 단어를 회피하기 위해서 말하자면, 다만 자연 속에서 우리는 어떤 평형상태를 찾아야 할 것이다. 과거에 대한 집착, 미래에 대한 욕심 아닌 현 상태에서의 조화 같은 무엇. 이름하기 어려운, 찾기 어려운 어떤 평정상태를.


현대 사회는 눈부시게 성장하고 있다. 이 사회의 건강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위(無爲) 예찬이라도 필요하리라. 무위는 자연법칙에 따라 행위하고 인위적인 작위를 하지 않음을 말한다. 목적 추구의 의식적 행위인 유위(有爲)를 인간의 후천적인 위선 혹은 미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방식이다. ‘무위에서야말로 완성이 있다’는 역설은 성장 일변도의 오늘날 우리 가치표준에 시사하는 바 크다 할 것이다. 푸르른 오월, 한껏 푸르되 자랄 수 있을 때까지만 자라는 나무들을 보자. 자랄만큼만 자란 다음 그 그늘로 한 여름 우리를 식히고 그 열매로 가을 겨울 우리를 살찌우는 나무들을. (2002년 5월 27일)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