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2001. 5. 15. 23:30

도서출판 이유, 2001. 272면.




의사소통이 어려운 시대를 사는 우리들은 말하기를 주저한다. 하나 씩 따로 존재하는 열 하나 조각그림 그 틈새에서 서툴게 존재하는 주인공은 ― 작가의 의도 때문에 주인공다운 주인공은 아니지만 ― 자신을 말하기에서 주저하는 우리를 대신한다. 그래서 그에게는 이름이 없다. 다른 등장인물들 또한 거의 이름이 없다. 시간과 장소 또한 의도적으로 거명되지 않는다. 언제 어디서나 있을 법한 우리들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오래 잊고 있었던, 그러나 무의식의 심층에 도사리고 있는, 그리하며 현재의 나를 이루는 '사랑의 기억'들이 열 한 개의 퍼즐로 짜맞춰져있는 소설이다. 두렵지만 사랑하고, 그 사랑 때문에 상처받지만 그 상처로 해서 또 '죽지 않고 살아가는' 인생들이 여기 있다. 해체되어 있는 열 한 개의 퍼즐들을 짜맞추어 가보면, 굳이 사랑이 아니라 하더라도 하나의 인생들이 돋을새김 되는 기쁨을 얻게된다. 열 한 개의 퍼즐을 맞춰 가다보면, 사랑에의 사투는 결국 생존에의 사투와 다른 이름이 아니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사랑하며 산다는 것은 그리하여 다른 누구도 아닌 자기 자신으로 사는 것임을. 

                                         ― 소설가·공선옥



 

이 글을 쓰면서: 



기억으로서의 꿈   

“누구나 다른 사람의 밖에 있다”― 내 엉성한 학문적 글읽기와 글쓰기의 시발점이 된 하인리히 뵐의 소설작품에서 나오는 말이다. 번역 투이기 때문에 설명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개체로서의 인간, 다른 누구도 대체해줄 수 없는 절대적 고독의 숙명으로서의 인간을 이야기한다고 해석했다. 도덕적인 공동체에서도, 사랑의 환영 속에서마저도 사람은 혼자다. 사람은 사람의 밖에 있다고 말하니까 좀 쓸쓸해진다. 진실은 항상 좀 쓸쓸한 것이다.


거창하게 철학자 이름을 대지 않아도 그저 맹목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인간이다. 목적은 허상, 가상이요, 잘해야 꿈이다. 꿈은 이루지 못할 전제의 목적이다. 이룰 수 있는 전제라면 목적일 것이니까. 그러므로 꿈을 꾼다는 것은 조금은 도피라 할 것이다. 도피가 아니더라도 삶의 유보, 그래서 꿈이란 생을 아름답게 장식해주는 무지개와도 비견되지만, 실제로는 “다른 상황”에 대한 소망이기 때문에 이 생을 좀먹은 도구이다. 꿈을 버리지 못하는 인간, 꿈에 매달리는 인간일수록, 예컨대 사람은 서로 이해할 수 있으리라는 망상에 사로잡혀서 고통에 갇힌다. 꿈을 접으면 사라질 고통을 꿈 때문에 끌고 다니는 것을 달리 어떻게 표현하겠는가? 그러므로 꿈을 버렸을 때 어엿한 인격의 인간이 된다는 가정이 설립한다. 그러므로 사람은 서로 이해할 수 없다는 결론이 옳은 것이다.


이 비관적 결론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꿈을 꾼다. 그것은 기억으로서의 꿈이다. 기억이 있는 한 꿈을 생산해 내기 때문이다. 우리가 기억을 가지지 못하면 꿈을 꾸지 않는다. 갓 태어난 아이가 꾸는 꿈이라 해도 그의 유전자 안에 남은 유산들의 기억이리라. 태초에 처음 태어난 인간은 꿈을 꿀 수 없었으리라. 젊은이들은 믿기 어렵겠지만, 살아갈 수록 꿈이 많아지는 것이 그런 까닭이다. 한 개인이 아니라 인류 전체도 오랜 문화를 간직할 수록 원대한 꿈을 꾼다. 우리들의 꿈을 위하여는 기억을 들추어 낼 일이다. 삼가 들추어냄의 변명이다.


나는 내가 만났던 사람들,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만났던 사람들을 기억하기 위해서 꿈을 꾼다. 꿈을 꾸기 위해서 기억을 버리지 못한다. 기억 속의 파편들은 항간의 목소리들에  필적하기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하게도 무미하다. 그들은 생동한 에너지와 화려한 외모와 불가항력적인 성증으로 전혀 치장되어 있지 않다. 그냥 아무렇지도 않음으로써 사람을 사로잡는, 아니 사람은 사람에게 여간해선 사로잡히지 않는다. 그저 다가가다 만다. 대개는 자신 속에 갇혀 있고, 그래서 안될 까닭도 없다. 소위 실패라고 불리는 것들이 가장 자연스럽다. 


내 부실한 언어는 이런 내 부실한 기억 탓이다. 언어라는 체계라기 보다는 조각그림에 불과할 기억들의 들추어냄. 이 조각들을 활자화해보겠다는 옛 제자들 숙미와 찬종들의 막무가내 신뢰에 떠밀려서. 신중해라~ 하셨을 은사님의 침묵을 마음대로 오해하여. 옛적에 시작했던 그이에 앞서, 언젠가는 소설을 쓸 것이라는 아들에 앞서, 서두는 사람은 그저 그렇다는 진리를 남기며. 또한 앞으로 어안이 벙벙할 독자들 ― 혹시 있다면 ― 앞에서, 내 부실한 자의식은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마지막 말마저 타인에 기댄다. 그는 너무도 오랜 옛날부터 나를 부추겼던 죄목 뿐으로 이렇게 자꾸 불려 나온다.



                           무의식적 기억만이 시간을 초월하여 진실성을 갖는다.

                                                              ― 플로베르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들장마  (0) 2004.11.01
연작소설 <희미한 인(생)>  (0) 2004.05.15
부나비 - <소설시대>  (0) 2004.03.01
소설시대 - 완료추천사  (0) 2002.09.01
태양은 - <소설시대> 등단  (0) 2002.09.01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