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극장'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10.27 밥을 먹는 일 - 아버지의 금강석
사사로이2015. 10. 27. 00:30

일요일.
광주극장에 5시에 《토리노의 말》을 보러갈 마음을 먹었다. 천변을 산책해서 15분 거리에 있으니 산책도 하고 영화도 보리라. 꼭 보고 싶은 영화였다. 두드러기 때문에 먹는 약으로 종일 졸면서 그대로 5시가 지나버렸다.

 

저녁 준비에도 늦은 시간.
“밥상 차리고, 밥상 치우고, 설거지하고, 장보고, 반찬 만들고, 밥상 차리고, 치우고 설거지한다. 저녁엔 무얼 먹지? 일년에 365번 질문한다. 저녁엔 무얼 먹지?” 이것은 1977년에 어느 유복한 젊은 여자를 일약 베스트셀러 작가로 만들어준 작품에 나오는 구절이다....
여주인공과 ‘비슷한’ 생을 살았던 작가는 브리기테 슈바이거(1949~2010)로, 또 다른 여주인공처럼 “안온함(Geborgenheit)”을 찾아 헤매었다. 그리고 차갑다고 느꼈던 빈에서 도나우 강물 속으로 들어갔다. 안온함의 실체는? 차봉희 명예교수가 번역한 『아름다운 불빛』에 방대한 부록이 달려있다. 읽어도 못 찾는 안온함의 실체가 무엇일까? 번역이 불가능하다고 정평난 단어이기도 하고, 그 자체로서 정의하기 어렵기도 하고, 세상에 있을지 그것도 알 수 없는 단어이다.

 

밥을 먹는 일, 먹어야 사는 법칙이 곤곤할 때가 있다.
그러면 병석에서도 ‘조실이는 가서 공부해라, 너는 공부를 해야지...’ 라고 하시며 나를 공부하는 사람으로 정의해주신 아버지를 떠올린다. ‘공부를 잘 하려면, 밥 잘 먹고 몸부터 강해야 한다....’

 

30년보다 더 오래도록 떠나계시는 아버지를 생각하게 하는 단초 - 금강석이다. 오래도록 변치 않는다는 금강석의 상징처럼 오래도록 자라지도 않고 그대로 있는 금강석.
아버지의 정원에는 꽤 많은 화초들이 잘 자랐었다. 맨드라미의 붉은 덩어리는 무서우리만치 싱싱했었고, 꼬마 채송화는 물론, 분꽃도 백일홍도, 무엇보다도 나팔꽃이 감나무를 타고 올라갔다. 넝쿨들로는 여자도 수세미도 있었고, 무화과나 대추나무 같은 유실수도 있었다.
왜 이런 왜소하고 눈에 띄지도 않고 자라지도 않는 선인장을 주고 떠나셨는지, 우리 아파트의 작은 공간을 위해서 고르셨을 게다. 새끼를 쳐보려는 두어 번의 실패 이후 최근의 새끼다. [사진: 손가락 길이다.]
사랑을 나누어 가기라도 하려는 듯이 한쪽을 떼어간 여동생에게서는 잘 자라고 있는지, 잘 자라고 있다는 것은 그저 연두색을 품고 있으면 된다는 말이다.

 

 

 

'사사로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  (0) 2015.11.05
푸르름이 낫다?  (0) 2015.11.05
성빈의 성취  (0) 2015.09.22
아들의 폰  (0) 2015.09.22
5분  (0) 2015.09.22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