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용좌'에 해당되는 글 130건

  1. 2021.07.10 초겨울
  2. 2020.12.27 날마다 시작
  3. 2020.12.27 겨울, 바닷가
  4. 2020.11.25 장편소설『숨』
  5. 2020.11.05 순수에의 강요 - 한국작가교수회
  6. 2020.06.21 모순
  7. 2019.09.11 교수신문 2017 - 과분한 대접
  8. 2019.08.26 나무
  9. 2019.08.26 누수
  10. 2018.09.29 Between Heat and Cool
소설2021. 7. 10. 22:35

 

초겨울

 

 

 

초겨울이다. 느낌으로는 초겨울이 제일 춥다. 한낮인데도 쌀쌀함은 누그러지지 않는다. 뺨이 더 팽팽하게 긴장되는 것은 오늘 시작할 새 일자리로 인해서다. 요양보호사 – 명칭은 길지만 하는 일은 짧다, 시간제 돌봄이다. 첫날은 조건 때문에 밀당도 해야 한다. 흔하디흔한 아파트 대문 앞에서 숨을 고르는 찰나, 첫 번째 시험은 초인종이었다. 하필 초인종이 두 개가 있을 게 뭔가. 첫 동작부터 실수를 하고 싶지 않아서 신경이 곤두선다. 염려는 기우였다. 띵 똥 한 번에 재빠른 답이 온다. 예에, 하는 소리와 부드러운 발자국 소리가 함께 다가온다. 대문이 열리면서 나타난 얼굴은 - 누굴까? 돌봄 어르신은 80대 남자라던데, 그러니까 보호자인 모양이다.

어서 오세요! 혼자 오시는 거죠?

아, 네. 오늘 저 혼자 오게 되었어요.

아무려나, 어서 오세요. 아파트 쉽게 찾으셨지요?

네, 뭐.

 

첫 인상은 푸른 나무들로 계절이 겨울인 것을 잊어버리게 하는 집이었다. 넓지도 않은 거실인데 한쪽으로 베란다로 통하는 유리창 쪽으로는 크고 작은 화분들이 즐비했다.

밖에선 얼겠지, 겨울 추위에. 그런데 환자 있는 집에 무슨 화분들을! 하긴 강아지나 고양이들이 튀어나오는 것 보단 낫겠다 싶었다.

그리고는 흔한 아파트 풍경이었다. 텔레비전, 소파 그리고 탁자. 좁은 거실에 탁자는 크고, 탁자 위에는 신문 잡지들이며 뭔가가 수북하다. 노인들이라니! 소파에 누워있는 사람이 내가 돌 볼 어르신일 게다. 소파에 누운 채, 낮인데, 그래서 아픈 거로구나, 생각을 하는데, 사람이 들락거려도 반응이 없다.

저, 그런데 태그는 어디다가, 출근부 말예요.

일단 집에 들어왔으므로 출근부에 태그를 해야 시간이 기록될 테니까 그것부터 물었다. 여자가 가리키는 곳은 신발장이었다. 뭐야, 날마다 신발장부터 열어야 한다고? 하필 냄새나는 신발장을! 하긴 어떤 집은 환자가 이 낯선 물건을 훼손하곤 해서 싱크대 문짝 안쪽에 붙여놓기도 한다더라. 싱크대고 신발장이고 냄새는 피할 수 없는 자리다. 뭐, 찌든 담배 냄새만 없어도 다행이다.

 

올라오세요. 오늘 이 양반 꿈쩍을 안 하네요. 점심 다 식는데도.

그러고 보니 식탁이 차려진 채다.

집안은 음식 때문이었을지 아늑할 정도로 따뜻하다. 아, 다행이다!

그럼 어르신이 오늘 특별히 아프신 거예요? 치매 5등급, 1939년생, 남자, 그 외엔 별 특이사항 말 없었는데요.

아뇨. 뭐랄까, 반응이 없는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지요. 원래도 말이 적은 사람인데, 최근에는 아예 입을 닫고 살지요. 하고 싶은 말은 겨우 눈으로 해요.

눈으로 말을 해요?

예, 그런 셈이에요. 뭔가 필요하면 그 쪽을 쳐다봐요. 그럼 냉큼 집어다 주면 또 말없이 받아들고. 그러니까 탁자 위 신문을 쳐다보면 신문을, 리모컨을 보면 리모컨을 집어달라는 것이고, 저쪽으로 멀리 냉장고를 쳐다보면 물을 달라는 식이지요.

갑자기 말문이 막힌다. 이 집 보호자는 내가 환자 상태를 체크를 하는데도, 내 이름이 뭐냐, 오기로 확정한 것이냐 등을 묻지도 않고, 내가 온 것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듯 편안하게 말을 하고 있다.

예상 외로 젊은 분이 오셨네요. 나이 지긋한 분 부탁했었는데요. 헌데 진짜 젊은 분이 오니까 집안이 갑자기 팔팔 살아나는 것 같은데요.

 

이건 또 뭐야. 그러니까 내가 기대한 것보다 한참 많이 젊은데, 그런데도 통과라고? 아무튼 이 할아버지 서비스를 맡으려면 조건은 미리 확실히 해두어야 한다.

저, 그런데 여기 서비스 와달라는 시간이…….

아, 시간요. 시간이 왜요?

저랑은 딱 맞지는 않은데, 과장님이 일단 가보라고 해서요. 저는 1시에 오는 것이라야 맞거든요.

1시라야 된다고요? 그럼 1시 반이면 못 오시나요? 그런 거예요?

그게 좀, 오전 끝나고 중간에 시간이 많이 떠서요.

어쩌나. 1시부터면 4시에 끝날 것인데, 내가 가끔 4시 좀 지나서 집에 오게 되니까 4시 반까지는 봐주셔야 하는데. 참, 선생님 이름이 지은이 씨라고? 차 과장님이 전화했어요. 지 선생님은 추가시간은 안 하실 거라고도.

네, 저는 해당 서비스 시간만 봐드리고는 끝이에요. 저는 아무래도 1시부터면 좋겠는데요. 점심시간에 집에 들어갔다가 오기는 너무 멀고, 그냥 오자면 시간이 어중간하게 남아서요.

…….

저쪽에서 말을 쉰다. 생각이 길어지나 보다. 아쉬우면 나한테 맞추겠지 뭐. 난 쉽게 생각했다. 일단 세게 나가자 싶었다. 초면인데 알게 뭐야, 아니면 말고.

시간이 정 맞지 않으시면, 그게. 아무튼 오늘은 제가 일단 왔으니까 세 시간은 해드리고 갈 거고요.

아니, 잠깐만. 뭐, 1시 반부터면 못할 수도 있다고요? 그럼 서로 15분씩 양보하면 어때요? 1시 15분부터, 난 혹시나 늦어도 4시 15분엔 돌아오고.

 

이번에는 내가 잠시 말문이 막혔다. 방심하고 있다가 갑자기 밀린 것이다. 스스럼없이 시간을 정하고 만다. 어물쩍 넘어가서는 안 될 일인데 15분을 밀렸다니!

그렇다면 나머지라도 확실히 못을 박아야 한다. 우리 요양보호사가 해드리는 것들 서비스 범위는요, 라고 말을 뺐는데 그것도 쉽게 통과였다. 환자 아닌 가족을 위한 생활지원은 금물이라는 것부터, 책에 써진 것 외우듯이 다 읊어댔다. 내가 놀라는 눈빛을 하자, 센터에서 보낸 파일 안에 다 있어서 알고 있다는 말이었다. 다만 부엌에서는 점심 설거지만 부탁한다면서, ‘설거지만’이라고 강조했다. 나는 머릿속으로 환자 밥 챙겨 먹이는 것 - 만들고 먹이고 설거지하고 - 그것과 2인분 설거지만 하는 것의 노동량을 따져보려다가 말았다. 음식 만들기가 더 까다로울 테니까. 엉거주춤, 그것도 밀린 사이에 보호자는 말을 이어갔다.

것보다 문제는, 뭐냐면 우리 양반이 말을 잘 안 들어요. 누가 뭐라고 해도 신청도 안한다니까요. 그게 좀 힘드실 거요.

네에, 그거야 우리 일이니까요. 그런데 또 하나, 우리가 움직이는 반경은 멀리는 안 되는 것 아시지요? 이번에는 내가 먼저 쐐기를 박았다.

멀리요? 산책은 멀리 안 가시는데, 못 가는데.

심부름 같은 것 말이죠, 혹시라도 무슨 심부름이나.

심부름이요? 심부름 무슨?

심부름을 이해 못하는 것이 이 집에선 심부름은 없나 보다. 잘 되었다. 보통 혼자 사는 어르신들 돌 볼 때에는 이것저것 해달라는 부탁들이 많다. 마트며 반찬가게 들르라는 것은 기본이고, 가끔은 엉뚱한 부탁도 한다. 진짜 엉뚱한 심부름 말이다. 심지어 폐지나 병 같은 것, 모아놓은 고물을 팔아다 달라는 부탁을 해서 고민이라는 동료도 있었다. 고물을 모을 정도인데 재가방문요양 서비스라고? 잠깐 의아했지만, 아서라! 복지사회는 좋은 것, 긁어 부스럼 낼 일은 아니다 싶기도 했다.

아, 물론 병원 가실 때는 함께 모시고 가죠! 병원엔 멀리 가더라도 환자의 진료 기록이 컴퓨터에 뜨니까요. 우리 요양보호사 행동반경과 환자가 함께 있으니까요.

엄격하군요. 그래야 하겠지만요. 암튼 그럼 되었네요. 1시 15분에 오시는 걸로.

우물쭈물 일은 결정이 났다. 이 보호자는 일을 너무 쉽게 결정한다. 내가 그만 그 페이스에 밀렸다. 평상시 내 일은 아니다. 뭐, 정 아니면 한 달만 하고 말지. 아쉬운 건 언제나 노인들, 내가 갑이면 갑이지 을은 아니다. 일 할 데는 널려있다. 뭐, 잠시 안하고 쉬면 쉬는 거다. 나는 결코 생계형 노동자는 아니니까.

 

이쪽으로 와 보세요. 여기 안방이 환자가 쓰는 방. 여기 욕실 쓰고. 그런데 주로 거실에 저러고 있지요. 그런데 지금도 자고 있는 것은 아니거든요. 우선 점심 먹을 수 있게 해야겠어요.

여기요, 일어나 보세요. 오늘 새로 지 선생님이 왔어요. 말동무 해드릴 거요. 손잡고 산책도 하고. 나는 비틀거리잖아요! 어디, 일어나 봐요!

눈치를 보니 내 차례다.

어르신, 안녕하세요! 저는 지은이라고 하는데요. 오늘부터 어르신 돌봐드리러 왔답니다. 어르신, 일어나 보세요. 점심시간이 늦었거든요.

…….

사람을 빤히 쳐다보는 눈매가 촉촉하다. 계속 감고 있어서 물기인가? 아니, 80대라고 했는데 소년 같은 눈망울이네. 백발의 소년이네.

어르신, 저는 지은이고요. 이제 일어나셔요, 식사하시게요. 식사하시고 나서…….

뭐? 지 - 은 - 이? 지은이라? 책을 썼다고? 지은이라면 내가 지은인데, 이게 대체?

입을 연 것은 반가우나, 하필이면 내 이름이 귀에 걸렸나 보다. 인사가 엉뚱한 방향으로 튀어버렸다. 어르신이 벌떡 일어나더니 탁자에서 신문이며 책들을 주섬주섬 치우면서 무엇인가를 찾는다.

아니, 내 책이, 책이 어디로 갔나.

무슨 상황인가. 무슨 책을 찾을까. 부엌 쪽에서는 내색이 없다.

엄마아, 준이 엄마, 내 책이!

갑자기 목소리를 높여 아내를 찾는 모양인데, 그런데도 보호자는 무반응이다.

아니, 어르신, 뭘 찾는 건 나중에 하시고요. 우선, 인사드릴게요. 처음 뵙겠습니다. 제 이름이 지은이라고요. 이름이 지은이.

아하, 지가 은이라고. 지씨라. 어디 지씬가?

충주 지씨예요. 어르신은 이름이, 성함이 어떻게 되세요?

나, 나는……, 에이, 애들이 어른 함자를 묻나. 내가 내 이름을 모를까 봐?

아유, 어르신, 죄송해요. 어서 일어나셔요. 식사시간이에요.

 

그렇게 해서 점심 식탁에 모여 앉는 데까지 또 십여 분이 흘렀다. 그 상황에 더해서 손을 씻고 오느라고 그런 것이다. 노인들이 화장실에 가면 십분은 기본인 경우도 많은데, 이 어르신도 그런 건가 보다. 대소변 문제는 없나? 화장실 쪽으로 따라가면서 직업적인 걱정이 섞인다. 그 사이 냄비들이 가스레인지 위로 다시 왔다 갔다 하는 모양이었다. 밥과 국이 올라온 뒤에도 한참을 레인지 앞에 서 있던 보호자가 숭늉과 누룽지를 내온다.

뭐야, 숭늉을 먹는 집도 있어? 의외이기도 하고, 이러다가 된통 힘든 집에 걸린 것이나 아닌가 하는 불안도 스멀거렸다.

지 선생님, 이쪽으로 앉으세요.

아, 네.

보통은 1시 반까지는 밥상이 끝나요. 오늘은 늑장을 부려서는.

상관없어요. 어떻게 드시나 볼게요. 근데 엄청 골고루 차리셨네요.

뭘 먹을지 몰라서요. 아무튼 이제 말 좀 걸어 보세요! 그것이 문제랍니다. 말을 들어야 뭘 골고루 먹게 하거나 말거나.

맞다, 내 차례다.

어르신, 맛있는 것 많이 차려주셨네요. 여기 동치미, 이 국물부터.

내 목소리는 원래 큰 편이다. 또 여기 사람들과는 다르게 서울말투를 쓴다. 그래서일까? 말을 듣지를 않는다던 어르신이 뜻밖에 반응을 보였다. 비뚤게 앉은 자세도 ‘달래서’바로 잡았다. 그런데 먹는 일에 조금은 문제가 있어 보였다. 이것 드셔보세요, 그러면 그것을 그릇째로 다 비우려고 한다. 저것 드셔보세요, 그러면 그것을 또 그릇째로 다 비우려고 한다. 아, 얼핏 보기에는 정상인데 인지문제가 있기는 있구나.

 

 

아주 엉뚱하게, 혼자 단출하다 못해 초라한 밥상 앞에 앉아있을 어머니가 아른거린다. 일하는 중에 다른 쪽으로 빠지는 일은 드문데, 스스로 갑작스럽다. 어머니는 아예 밥상을 차리지도 않는 끼니가 많을 것이다. 나는 어머니의 밥상을 챙기는 대신에, 돈을 번답시고 생면부지 ‘어르신’의 밥 시중을 들고 있다.

내갈비도 여적이고마 또 도가니탕을 보냈디야. 그리 보내쌓면 뭘햐. 느그덜이나 노나 먹지야. 느그 아부이가 계심사…….

홈쇼핑에서 갈비탕을 사서 보내드렸더니 전화를 하셨다. 어머니는 맛있는 것을 앞에 두고서 아버지 생각을 하신 거다. 그러고서 냉장고에 그냥 쌓아둔다. 누가 집에 찾아가서 함께 굽거나 끓이거나 해서 드려야 드신다. ‘내’갈비라고 하시는 것은 LA를 ‘내’라고 읽으시기 때문이다. 에이자 위쪽이 넓게 쓰여서 그리 보이기도 한다. 아무려면. 드시기만 한다면. 그런데 아버지 말씀 꺼내시는 것이 수상타. 아버지가 고기반찬을 좋아하신 것은 맞지만, 돌아가신 것이 대체 언제 적 이야기인가 말이다. 아버지는 아직도 살아계신다. 장롱 속에서 모자로도 살아있고, 화장대 서랍 속에도 살아있다. 이 참빗이야, 느그……. 여전히 아버지를 집안 어딘가에 숨겨 놓고 사시는 통에, 우리는 어머니 앞에 가면 조심해야 한다. 아버지가 언제 되살아나서 우리랑 섞여 앉아계실지 모르는 일이니까.

점심은 드셨을까. 요즈음 엄마한테는 둘째언니가 챙겨 보내는 뉴케어가 답인가 보다. 연명은 되실 테니까. 아버지부터 우리 형제자매들, 그러니까 온통 거구들인 지씨들에 비하면 어머니는 원래 작은 체격이다. 나이 드시면서는 더더욱 작아져서 아기 같다. 아기 같은 어머니는 유난히 추위를 탄다. 내가 엄마를 닮았다. 이런 겨울 날, 추워서 방문일랑 열지도 않고 방안에서 무얼 하실까. 전화라도 하고 지낼 형제자매도 없으시다. 손위 외삼촌 한 분은 돌아가셨고, 다른 식구들은……. 어머니는 문경 외가 말씀을 극히 삼간다. 문경을 떠난 것이 하도 오래전 일일 뿐 아니라, 생각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공포에 잠기신다. 문경의 채씨 세거지의 비극, 아니 참상, 아니 학살은 - 멍해 있는 사이 점심이 대충 끝난다.

 

점심 뒤처리를 하는 동안 - 오늘은 첫날이라고 함께, 주로 주인이 치웠다. - 어르신은 다시 거실로 나가서 소파에 ‘제 자리’하고 있었다.

커피 하죠? 점심 후엔 일단 피곤을 덜기 위해서 한 모금. 잠깐 이리 오세요.

저는 가지고 왔는데요. 두 잔째 커피를 따르던 보호자의 말을 내가 막으며 에코백에서 보온병을 꺼내왔다. 꺼내 입으려했던 오리털 조끼가 거기 그대로 있었다. 이집은 정말 따뜻하다.

예? 커피를 가지고 다녀요? 우리 집에 오면서 커피를 들고 왔다고요? 앉은 자리에 풀도 안 나겠어요.

아니, 서비스 다니다 보면 커피를 전혀 안 드시는 어르신들이 많아서. 또 제가 원래…….

원래고 뭐고, 집에 커피 둘 다 있어요, 아메리카노도 양촌리도.

양촌리요?

아, 밀크설탕커피, 왜 옛날 농촌드라마에서 달달하게 마시던 커피요. 거기가 양촌리였나 뭐 그래요. 아무렇거나, 오늘은 우선 이 양반 병력을 보실래요? 가만, 건강메모 - 여기 맨 앞에는 평생 큰 병 앓은 내력이고, 그 다음으로는 올해 이 요상한 발병부터 간간히 메모 해 둔 것들.

아무렇지도 않게 핸드폰을 내민다. 갤럭시 노트다.

그러니까 지병이 꽤 있었다가, 아, 네, 약간의 인지문제 그거야 보통 그러지만, 루이소체? 이런 종류는 처음인데요. 가만, 환시와 악몽이 문제라고요?

엠알아이며 브레인페트까지 다 검사 했어요. 환시라는 것 첨엔 무섭더라고요. 심한 착각, 착시 그런 거죠. 가끔씩 엉뚱한 질문에 놀라곤 해요.

어떤…….

조용히 앉아 있다가, 우리 지금 둘이만 있는 사는 거 맞아? 이러는 거예요. 누군가랑 셋이서, 어떤 때는 여럿이서 함께 살고 있다고 믿고 있어요. 의사선생님 말로는 실제로 보여서 그렇다니, 좀 섬뜩할 때가.

그러시겠네요. 그럼 처음보다 더 나빠지신…….

내가 아나요, 병원에서도 검사를 해서 수치가 나와야 알던데요 뭐. 아무튼 오늘은 어떻게 해서든지 말을 좀 시켜 보세요. 소뿔은 단 김에 빼랬다고, 1라운드가 중요할 것 같아요. 이리 오세요.

 

등을 떠밀리다 싶게 거실로 나온다. 뒤따라 나오던 보호자는 다시 한 번 우리를 소개한다. 상황을 확실하게 해두려는 것 같다.

저기요, - 남편한테, 저기요? - 조금만 앉아서 쉬다가 누우세요! 오늘 지 선생님, 여기 지 선생님 만나서 반갑지요? 우리 애들 또래 같아요. 먼 데 사는 딸이 왔구나, 그리 생각하세요! 자, 지 선생님!

공이 내게로 넘어 왔다.

어르신, 오늘 저 만나서 기쁘시죠?

대뜸 내 말에 어리둥절한 표정을 하던 보호자는 자리를 뜬다. 큰일이다. 첫 번째 펀치에서 성공해야할 텐데……. 은아, 힘내자! 할 수 있어!

 

환자의 의식을 깨우기 위해, 나에게로 집중시키기 위해 내가 가진 기술을 발휘할 때다. 어르신들을 보면 아버지 생각이 난다, 그런 식으로 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전혀 먹히지 않는다. 빤히 쳐다보기만 할뿐 입은 꽉 다문 상태다. 주변을 돌아보았다. 유리창 쪽 제법 큰 화분들 앞쪽으로는 자잘한 다육식물들과 선인장들이 있었다. 촘촘한 가시들이 불안하다. 어찌 보면 위험할 수도 있지 않을까. 일단 눈앞에 보이는 화분들로 화제를 옮겨 보기로 한다.

어르신, 아파트에서 어떻게 이렇게 큰 나무를 키우셨을까? 이 키다리, 아니 이렇게 잎들 무성한 것도 있네요. 이 가지는 제 키만 하겠어요!

들은 척도 하지 않는다.

어르신, 그런데 이것들 이름 좀 가르쳐 주실래요? 제가 처음 본 것들이라서 궁금하거든요. 요것들은 다육이라죠? 다육이라도 따로 이름이 있다던데. 이 솜털만 많은 꼬맹이 선인장들, 이것들은 또…….

이런 것들 처음 보나? 뭐가 그리 궁금하나?

옳거니. 선인장에서 끌려왔다. 계속 선인장으로 가보자.

이렇게 어찌 보면 못 생긴 것들인데, 죄송해요, 근데 귀하게 귀하게 키우시네요.

갑자기 눈을 들어 이리저리 돌린다. 사람을 찾는가 보다. 보호자는 어느새 사라지고 없다. 아까 방문 소리가 나더니 어느 방에 들어가 있는지 아무 기척이 없다. 어르신이 턱을 들어 부엌 쪽을 가리킨다. 보호자를 오라는 건지, 보호자를 가리키는 건 맞는 것 같은데 뜻을 모르겠다.

보호자분요? 할머니요? 안 보이시는데요. 왜요?

저 사람 거요.

아니, 여기서 주인이 따로요?

그것만 중하게 보듬는다 말이요.

보듬어요? 선인장을?

아, 보듬어 키우다시피 한단 말이지. 물어봐요. 밖에도 끔찍이 챙기는 것들 있어.

베란다 쪽으로 턱을 들면서 말한다. 옳거니, 화초들에 관해서 이견이 있구나. 호불호가 다르다 이 말이겠다.

밖에 또 화분들 많아요? 그러네요. 밖에도 많네요. 그럼 어르신은 어떤 것들을 좋아하시나요? 밖에 내다보고 올게요. 같이 보실래요?

아이쿠, 성공이다. 화초를 뭐라 가르쳐줄 게 있는지 부스스 일어난다.

이쪽으로, 예. 자, 가시게요.

정말 베란다에는 놀라울 정도로 크게 자란 선인장들이 고개를 꺾고 있었다. 천장에 닿지 않으려고 몸을 웅크리고 자란 것들이다. 불쌍타. 이 추위에 너른 창이 반쯤 열려 있는데도 베란다 볕이 좋은 듯 했다. 아예 온실처럼 푸른 잎들이 무성하다. 넝쿨로 자라는 것들도 여럿 걸려있다.

우와, 선인장들, 소철인가, 아예 꽃집 같은데요. 어르신은 어떤 걸 젤 좋아하세요?

해피트리, 요거 해피트리야.

아, 그런 이름도 있었군요. 해피……. 그럼 이 엄청 큰 나무는요? 나무 가지 요거 젤 큰 거는 제 팔 길이만 하네요. 고무나문가요?

맞아, 요거 잎 끊어지면 그 자리에서 하얀 고무액이 흘러요. 눈물같이 뚝뚝.

눈물 같이요? 어머나 시를 쓰시는 분 같아요.

시를?

예, 시인 같으세요.

시만 쓰면 다냐, 살림이 기우는데…….

네?

몰라, 다 잊었어. 나는 다 잊었어.

입을 다시 꼭 다문다.

어르신, 어르신?

다 잊었어, 다.

그것뿐이었다. 눈을 다시 반쯤 감더니 그런 채로 소파로 향한다. 키 큰 등의자에 부딪지 않게 하려면 손을 잡아야 했다.

 

방법이 없었다. 잠시 말을 잇지 못하고 정적이 감돌았다. 사뿐 발자국 소리와 함께 보호자가 나타났다. 뭐라고 부르지? 잠깐 고민이 되었다. 울 어머니 또래는 한참 아닌데 어머님이랄 수도 없고. 보호자님이라고 하자니 너무 딱딱하고. 이래서 독거노인 돌봄이 속 편한 것이구나. 이게 뒷북이다, 그런 생각을 이제야 하다니. 돌봄 대상과 단 둘이가 아니라 보호자와 삼각관계가 되나 보다. 삼각관계라는 것이 연애에만 있는 것이 아니었어. 돌봄 시간 내내 보호자가 함께 지켜보고 있을 것이라는 데에 생각이 미치자 불편감이 확 밀려왔다. 지금이라도 말아? 집을 나서면서, 아니 나서기 전 5분 전에 조용히 말하면 된다. 곰곰 생각해 보았는데요, 저한테는 시간이 아무래도 맞지 않아서요. 이렇게 말하면 감정 섞이지 않은 허물없는 이유가 되어 줄 것이다. 일단은 호칭 없이 말만 하자.

어르신이 다시 주무시려나 봐요. 정말 말씀 없으시네요. 시만 쓰면 다냐, 어쩌고 그러시던데, 무슨 말씀이셨을까요? 어르신 시인이세요?

…….

아무 대꾸 없는 것이 노부부가 똑 같네, 뭐. 어처구니가 없기도 하다. 사람이 말을 하는데 무슨 반응이 저러나. 보호자는 말은 없이 무슨 주머니 같은 것을 들고 부엌으로 간다. 잠 잘 것 같다는데 부엌엘? 정적이 괴롭다. 부엌에 따라 들어가 보니 구석에 있는 전자레인지에 그것을 돌리고 있다. 구수한 향기가 피어난다. 꺼내 온 것을 보니 핫백이다.

낮잠 청하니까 발 따뜻하게 해주려고요.

아, 네, 핫백 냄새가 좋으네요. 뭐예요?

현미 자루. 몇 년 쓰면 알게 모르게 점점 타버려서 바꿔줘야 해요. 한 번 바꿔 넣었어요. 이건 안심이죠. 전기방석은 온도조절 잘 못하면 큰일 나겠더라고요.

아, 그래요. 그러네요. 냄새 너무 좋아서 저절로 잠이 올 것 같네요.

정말 그랬다, 잠에 취할 것 같은 느낌이다. 이 따뜻함! 향기!

 

 

서울의 겨울은 정말 추웠다. 벌써 30여 년 전, 서울 살이 첫 해, 봄여름은 눈코 뜰 새 없이 지나갔고 갑자기 겨울이 닥쳤다. 갓 상경한 젊은 애들을 위한 방은 하나같이 딱 한 뼘 마루, 얄따란 방문, 그리고는 방이었다. 반대쪽에 달랑 봉창이 있었지만, 황소바람은 냉돌까지 내려꽂혔다. 시골 고향을, 따뜻한 아랫목을, 더 따뜻한 엄마 품을 떠올리면 저절로 눈물이 났다. 눈물이 나면 눈까지 얼굴까지 얼어붙는 것 같았다.

우리가 결혼을 했을 때, 그해 겨울에는 따뜻한 몸이 옆에 있었다. 아, 사람도 따뜻하구나. 엄마가 아니어도 따뜻하구나. 처음에는 나보다 더 따뜻한 몸이 내 차가운 몸을 차갑게 느낄 것이라는 생각은 전혀 하지 못했다. 어느 날이었을까. 애기 기저귀가 모자라서 자다가 밤 빨래를 하고 이불 속으로 들어갔을 때, 잠들어 있던 그이가 내 손에 깜짝 놀라 움찔했을 때서야 깨달았다. 내 손이 차가울 때마다 얼마나 차가웠을까. 깨달음이란 언제나 늦게 온다. 그 뒤로는 그이가 내 손을 잡아줄 때라도 손이 자꾸 움츠러들었다. 방안을 따뜻하게 해놓고 살기 위해서 열심히 살아온 것이 맞다. 보일러 더 올릴까? - 뭣 하러, 충분하잖아! 정 추우면 옷을 더 입지! 혹시 이런 대답이 두려워서 추위를 그냥 견뎠다. 지금은 보일러 더 올릴까 물어보지 않고 더 올린다. 춥지 않아도, 춥기 싫어서, 추웠던 날들 생각을 하지 않기 위해서. 어디에서나 따뜻해야 몸이 풀리고 마음이 풀린다. 이 집은 일단 따뜻하다. 그것은 합격점이다!

 

지 선생님, 잠이 온다고요?

아아니요!

핫백 같은 것, 이이는 전엔 뜨거운 걸 참 싫어하더니. 나이 들면서 바뀌네요, 사람이. 시만 쓰면 다냐, 그랬다면, 그거 「넋두리」란 시예요. 젊어서 술을 마냥 마시고 다닐 때면 내가 놀렸어요. 시만 쓰면 다냐 / 살림이 기우는데 / 시만 쓰면 다냐 / 공자 말씀에 토나 달고 앉아서 / 술잔에 코를 박고 졸기나 하고, 그런 비슷한 시요. 그땐 못들은 척 하더니만, 그걸 어찌 기억하냐. 소싯적 이야기구만, 왜 갑자기 생각났을까? 그런데 사람이 엄청 변해요. 먹는 것도 완전 달라져서, 게다 새우다 먹는 시늉만 겨우 했던 것들을 지금은 엄청 좋아해요. 평생을 살고도 속마음은커녕 좋아하는 음식도 짐작을 못하네요. 지 선생님은 어떻게 생각해요? 사람이 늘 한결같던가요?

 

사람이 한결 같은 존재인가, 나이 들어 또는 어떤 상황에서 성품이 바뀌기 마련인가. 생각해 본 일이 없었던 것 같다. 이 할머니, 사람을 통째로 연구할 일 있나. 무슨 뜻으로 말하는 걸까. 인지문제가 생겨서 사람이 달라졌다는 말일까. 그래도 생뚱맞다, 우리가 언제 봤다고 철학을 하재? 그래도 대꾸는 해야 했다.

별로 생각해본 적 없는데요. 그래도 사람이 변하는 거라서, 애들 두고도 이혼도 하고.

아무리 얼결이라도 그렇지, 갑자기 내 말이 왜 이혼으로 튀는지 나도 모를 일이었다. 내 인생에 이혼은 찾아 볼 수 없는 단어이다. 자라난 곳 청원의 시골 정서에 더해서 가톨릭 신자이다 보니, 한 번 맺어진 인연은 하늘에서 내린 것이라고 배웠다. 요란하게 연애하다가 달리 결혼하는 일들도 가까운 주변에는 없었다. 그런 내 입에서 느닷없는 이혼 소리가 튀어 나오다니.

아니 제 말은요, 연애결혼 해놓고도 싸우기도 하고 혹시 이혼도 하고 그러는 걸 보면요.

 

그렇게 말하면서 정순이 생각이 났다. 일하다가 만난 친구인데, 동갑이라서 친구하는 사이다. 세상에나, 시어머니 중풍 간호를 8년씩이나 해냈다는 착한 정순이. 그때는 요양병원이 흔치도 않았고, 입원한다 해도 병원비가 만만치 않았겠지. 뇌졸중이 중풍으로 끝나도 온전히 가족의 몫이었다. 그랬던 정순이 이혼을 했다. 이혼을 당했다. 일찍 정년을 한 남편이 단란주점 여자한테 빠졌더란다. 어찌 보면 너무 뻔하고 흔한 스토리인데, 그런 일이 드라마가 아니라 눈앞에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양심은 있었던지 당시 1억5천쯤 하는 너른 집을 팔아서 5천인가를 아내에게 위자료로 줬다는 소문이었는데, 쌤통, 지금 시가로는 15억도 더 간다 했다. 정순은 노총각 동창생을 만나서 재혼도 했으니 덜 불쌍하다. 그래도 흠은 흠이다, 이것이 나 꼴통의 생각이다.

우리는, 나는, 이혼을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이상하게도 그이에 대한 내 감정은 여전히 처음의 설렘에서 퇴색되지 않았다. 불만이 있어도, 내가 싫어하는 일을 그이가 하더라도, 내가 싫은 일을 내게 하게 하더라도, 결국 다 이해해버리고 마는 나는 바보 멍청이다.

그래도 천성이라는 것도 있고, 글쎄요. 얼른 말을 바꾸었다.

나는 아무래도 흑백으로 나누어서 답하는 데에 익숙하지 못하다. 딱 잘라서 이것은 옳고 저것은 그르다 하고 정해본 일이 드물다. 정식으로 이유를 대면서 이 일은 해야 하니까 한다 라거나, 하지 말아야 해서 하지 않는다는 판단은 서지 않는다. 물론 손익은 반드시 따진다. 계산이, 예상이 틀릴 수도 있겠지만, 어딘가로 쏠리면 하고, 아니다 싶으면 안 한다. 그뿐이다. 이런 대화는 머리 아프다.

 

 

익은 멜로디, 핸드폰 벨소리가 울린다. 내 것이다. 죄송해요, 라고 하면서 얼른 집어 들었다. 속으로는 다행이다 싶었다. 일단 어색한 대화에서 빠져나왔으니까.

응, 데레사 언니. 나 지금 일하고 있어서. 아니, 괜찮아요. 좀 있다 저녁에 내가 전화할게, 으응. 서둘러 전화를 끊었다.

데레사, 세례명인가 보다. 엿듣게 되네요, 들리니까. 지 선생님 성당 다니요?

아, 네. 집안이 다요. 얼른 알아들으시는 것 보니까, 여기 어르신들도 혹시?

아니요. 우린 아니에요. 사람은 결국 평생 장님이라는데, 신앙도 없고.

장님요? 평생?

예, ‘사람은 평생 장님이다.’ 괴테라던가, 어디서 본 명언이요. 산다는 게 뭘 모르고 그냥 살아가는 것이니까 장님이라는 거죠.

 

괴테고 뭐고, 평생 장님이라니. 이 아줌마, 사람 멍 때리게 하네. 미래를 설계하고 참고 견디면서 준비하면 보람된 내일을 맞을 것이라고, 그렇게 의심 없이 살아온 나로서는 듣기 허망한 말이다. 기도하고 노력하고 주님의 인도에 따르고. 그런데 이 사람은 신앙인이 아니라니 의지할 데가 없겠다 싶었다. 일 없이 나는 신앙을 권면하는 역할놀이에 들어갔다. 저는 믿나이다, 저희는 믿나이다, 라고 무조건 시작해보시라고, 피라클리토 성령에 관해서도 말하기 시작했다. 들은 척 마는 척이었다. 이 집 사람들은 노부부가 다 내숭이다. 보호자랑 맞을 필요는 없겠지만, 뭔가 영 엉뚱하다.

지 선생님, 면전에서 좀 그렇지만, 밝고 긍정적인 분위기 참 좋으요. 거기다가 신앙까지, 복 받은 사람이요.

제가 복을? 복을요? 웬 복?

전복을! 농담! 지 선생님은 전혀 50대로 안 보이요. 해맑고 건강한, 몸과 맘 둘 다 건강한 사람 인상이라서 너무 좋으네. 잘 살아왔다는 증거인가.

무슨 소리야. 언제 봤다고 농담씩이나! 요양보호사나 하고 있는 나더러 잘 살아온 것 같다고? 보통은 내가 이래 뵈도 어엿한 건물주라는 것을 알 리 없으니, 다들 그저 도우미나 알바 취급 아니던가. 물론 나는 잘 살아왔다. 당장 돈 아쉬워서 일 하는 것도 아니니까. 하지만 여기까지, 시내에는 3층 건물을, 시골에는 농가주택을 가지고 안정적인 노후를 기대할 수 있기까지, 얼마나 맘 추슬러가며 일하고 모으고 일하고 모으면서 살아왔는데. 곁눈 팔지 않고, 곁눈 팔지 않으려고 맘 잡고, 맘 잡고, 맘 잡고! 그러니까 잘 살아왔는데, 잘 살아왔을 거라고 남이 말하니까, 갑자기 잘 살아오지 못한 느낌이 드는 건 또 뭔가. 지금 어쩌자고 두 타임씩이나 일을 하려는 것인지. 이 자체가 잘 살아왔다는 말과 맞지 않는 것 같기도 하고.

그런데도 정말 이상하다. 인상 좋다는 말, 어색하긴 해도 듣기 좋은 말들이라서 이 집을 거절하고 갈 이유가 적어진다. 당장 도움이 필요해서 나를 붙잡으려는 뻥튀기는 아니겠지, 설마. 그런데 이 할머니, 날 언제 봤다고 의심 없이 믿는 눈치네. 어쩐다?

 

보호자는 순간 어르신 쪽으로 다시 가더니 들여다본다. 아무런 소리도 없었는데 그냥 살핀다. 살짝 건드리면서 깨운다.

보세요! 여기 지 선생님이랑 사귀어 봐야지요. 무슨 말이든 해 봐요. 심심하면 지 선생님이 내일 우리 집에 안 올지도 몰라요.

협박 아닌 협박이다. 그런데 그 말에 움찔 반응을 보인다. 어르신이 몸을 일으킨다.

아, 다행이네. 지 선생님, 이쪽으로, 여기 함께 이야기도 나누고 그러세요. 우리 둘만 있으면 정말 심심해요. 그동안 할 말을 죄다 해버려서 새로 할 말들이 없거든요.

정말 내 차례다.

어르신, 네, 그렇게 앉아서 기지개도 켜시고, 자리에서 운동도 하고 그러시게요. 자, 우선 두 손을 쥐었다 폈다! 이렇게요. 팔도 흔들어 보시고, 어깨도 들썩! 제가 처음이라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걸음은 잘 걸으시는지. 자, 일어나서 조금 걸어보실래요?

보호자가 어리둥절해 하는 사이, 어르신이 일어나 앉았다. 어깨도 들썩들썩 해 보인다. 아, 다행이다. 반응이 너무 없었더라면 사실 할 일이 없으니 어색할 노릇이다.

자, 이렇게요! 으샤, 으샤! 그런데 혹시 밖에 나가보실 생각 없으세요? 오늘 쌀쌀해도 바람 별로 없어요, 지금 햇볕이 너무 좋아요. 조금 있음 해가 사라지잖아요.

어르신이 두리번거린다. 아내를 찾는다. 아내는 어느 새 반코트를 가지고 나온다. 체크 머플러도 함께다. 더러 산책을 나가곤 했는지, 어르신 혼자서 천천히 겉옷을 입고, 장갑도 끼고 마스크까지 챙긴다. 아내가 머플러를 고쳐 매준다. 예쁘게 매만져주기를 기대하는 소녀처럼 얌전하게 내맡긴다.

마스크까지 중무장이시네요, 요기 아파트 마당만 갈 거 아녀요?

아, 황사를 싫어해서 마스크를 꼭 끼고 나가신대요. 겨울엔 따뜻해서 좋으니 일석이조죠, 그렇지요?

아내도 겉옷을 챙겨 입고 나선다. 자, 그럼, 오늘은 셋이서 함께 산책을 나가 보죠.

오늘 셋이서 함께.

어르신이 똑같은 말을 반복한다. 갑자기 즐거운 기운이 감돈다.

대문을 열자 찬 기운이 확 밀려든다. 좁은 대문을 앞서거니 뒤서거니 엉켜서 나서면서 나는 이들과 함께 다시 이 따뜻한 집안으로 들어오는 상상을 한다. 어쩌면 내일도 그 다음 날도.(끝)

 

------------

계간문예 2021 여름호 통권 64호, 208 - 227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먼지  (0) 2022.02.18
낮꿈  (2) 2021.09.07
봄, 사순절  (0) 2021.06.04
날마다 시작  (0) 2020.12.27
장편소설『숨』  (0) 2020.11.25
Posted by 서용좌
소설2020. 12. 27. 15:10

날마다 시작


날마다 새롭게 시작하라.

묵은 수렁에서 거듭거듭 털고 일어서라.

- 법정스님

 

 

날마다 시작이야, 은아, 다시 시작이다. 힘 내, 아자!

일곱 번째 시작이다. 대부분 그렇듯이 아파트다. 차에서 내려 12월의 매서운 바람을 느끼며 단지 내를 둘러본다. 전체적으로는 낡은 느낌이지만 바깥 인상이 깨끗한 편이다. 동과 호수를 확인하면서 아파트 현관으로 들어서는 순간 안온한 기운이 돈다. 계단을 오르면 작은 대문이 기다리리라. 초인종을 누르면 어떤 사람들과 만날까. 오늘도 우리 집 대문을 나서기 전부터 스케줄을 확인했다. 내가 대단한 인물이라서가 아니다. 그 반대, 일자리가 자주 바뀌고 또는 여럿이라서 그렇다. 하지만 투잡은 아닌 것이, 한 가지 일인데 근무 시간과 일자리가 달라서다. 일자리에 따라서 우리는 다른 이름으로 불린다. 지금처럼 복지관 소속으로 재가방문요양을 맡으면 지 선생님이 되고, 요양병원에서 근무를 하게 되면 지 여사님이 된다. 직업군의 이름은 요양보호사, 나는 요양보호사이다.

 

나를 설명해야 할까, 입을 열자면 아마도 그렇겠다. 지은이예요, 그렇게 내 이름을 말하면 처음 듣는 사람들은 대개 조금 이상해한다. 어렸을 때는, 특히 학교에서는 꽤 성가셨다. 책가위에다 내 이름 지은이 석자를 쓰고 나서 책을 열어보면, 책마다 진짜 지은이가 있다는 사실에 나도 혼란스러웠다. 지금이야 유투브가 책들을 온통 삼켜버린 세상이라서 지은이가 어떤 뜻인지 아무도 별반 상관하지 않는다. 지은이라는 뜻으로 쓸 곳에도 언제부턴가는 저자나 작가라고 하니까 뭐. 물론 내 이름이 지은이인 것은 내 탓이 아니다. 우리 부모님도 영이와 순이 아래 또 낳은 딸을 은이라 이름 지었을 뿐으로, 내가 태어났을 1966년 당시에 우리 부모님이 지은이가 책이나 노랫말을 짓는 사람을 일컫는다는 것을 의식했을 턱이 없다. 자라면서 여전히 어린 내가 이상하게 여겼던 것은, 왜 농사짓는 사람은 지은이라 하지 않는가, 그런 정도였다. 밥 짓고, 옷 짓고, 약 짓고……, 여기저기 지은이가 더 많은데.

 

다시 오늘이다. 오늘 처음 방문하는 집에는 조금 어색한 일이 기다리고 있다. 보통 때라면 우리 복지관의 과장이나 담당 복지사가 함께 방문하여 나를 소개해줄 것이다. 오늘은 이 집에 혼자 오게 되었다. 혼자 들어가서 자기소개를 한다? 오랜 직장생활을 해왔지만 그건 좀 쑥스럽다. 누군가 소개를 해주면 편하다. 어르신, 안녕하세요? 이쪽은 지 아무개 선생님이세요! 어때요, 새 선생님 좋으시지요? 이제 날마다 댁을 방문해서 어르신을 도와드릴 거예요! - 지 선생님, 앞으로 어르신 잘 돌봐드리세요! 이렇게 말함으로써 요양보호사를 절대로 아줌마라 부르지 말고 선생님이라고 부르라는 다짐도 시켜둔다.

그런데 오늘은 일이 꼬였다. 사회복지사 정 대리가 하필 연가를 낸 날이라서 차 과장이 동행키로 했었는데 그것도 틀린 것이다. 나는 벌써 출발해서 가고 있는데 전화가 떴다. 운전 중이라 스피커폰으로 받았다. 어쩌나! 아무캐도 지 선생 혼자 가줘야 겠네여! 나 사고났어여. - 엥, 다친 거예요? - 아니, 아녀요. 살짝 인데 시끄럽네여. 미안해여, 그 집 오늘 꼭 가야 해여! 복지관을 나서며 차를 후진해 돌리려다가 화단 턱에 걸렸는데, 급히 뺀다는 것이 들어오던 작은 트럭과 스쳐서 실랑이가 벌어졌단다. 그렇다고 일주일 째 돌봄서비스가 끊긴 집이라서 미루기는 미안한 일이라고, 오늘 복지관에서 새 선생님이랑 방문한다고 알려놓았으니 기다리고 있을 것이고, 아무튼 그냥 혼자서 방문하랬다. 나 또한 이만한 일로 마음먹은 스케줄을 바꾸긴 싫었다. 자라서는 거의 꾸준히 직업을 가지고 살아온 나로서, 무엇이든 처음 하는 일이 한두 번이었을까. 이쯤은 약과다, 하고 마음을 추슬렀다.

 

대문 앞이다. 아파트는 어디나 역시 작은 문이다. 건물 중에서 가장 초라한 곳이기도 하다. 이 대문에는 교회나 성당 표시 대신, 입춘대길 그리고 또 하나 사자성어가 붙어있다. 입춘이 언제 적인데! 입춘은 보통 2월 4일이다. 한 해가 다 가서 낼모레면 동지고 다시 새해의 입춘이 다가올 시절인데 봄 여름 가을 지나도록 여태껏 입춘대길이란다. 이 새로 만날 어르신이 고리타분한 노인일까, 살짝 걱정이 올라온다. 그런데 아무튼 와버렸다. 초인종을 찾는다.

초인종으로 가르는 세상은 많이 다르다. 내가 일을 망치고 나온 여섯 번째 집이 눈에 선하다. 그 어르신은 혼자 사는 할머니였다. 재가장기요양급여를 받는, 곧 우리 요양보호사들의 돌봄을 받는 대상은 할아버지들 보다는 할머니들이 대부분이다. 남자는 아내가 있을수록 여자는 남편이 없을수록 장수한다더니. 하긴 이 말도 참 우습다. 앞뒤가 이렇게 맞지 않는 말이면 창과 방패라는 모순인가. 신상정보를 요약하자면, 70대로 시영아파트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할머니 - 거기까지는 우리 복지관 담당에서는 흔한 조건이었다. 이처럼 보호자가 없는 경우도 흔하고, 어떠한 염려도 없었다. 그것보다 실은 신체적 조건이 문제다. 처음 소개받을 때 다행하게도 치매는 아니라 했다. 거동도 휠체어에 의존하는 정도는 아니었다. 딱 하나 걸리는 것이 있었다면 전임들이 오래가지 못하고 곧장 그만두곤 했다는 점이었다. 할머니인데 뭐 어떠랴, 그렇게 시작했는데 곧 심상치 않은 상황에 빠지게 되었다.

 

 

나는 나름대로 이 일에 자신이 있는 편이다. 우선 간호사 출신이라는 자부심이 있다. 정확히는 간호조무사다. 간호전문대에 합격을 해 놓고도 사정은 도저히 안 되고, 간호사는 되고 싶고. 나 같은 간호사 지망생은 간호학원을 거쳐서 간호조무사가 된다. 전문대를 마치고 간호사가 된다 해도 간호대학 졸업생과는 병원에서 처우가 다르다는 것은 나중에야 알았다. 무엇보다 승진이 없다. 수술실에 오래 근무를 해봐도 마찬가지, 수간호사가 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간호조무사는 더 말할 필요가 없다. 소규모 개인병원에서 자잘한 온갖 일을 하거나, 큰 병원에 가면 평생 3교대 근무다. 그러다 보니 만 나이로 50이 되었을 때, 아니 그 전부터, 남편 말이, 50까지만 일하고 그 다음엔 좀 쉬고 살라 했었다.

남편을 만난 것은 1986년, 내 나이 스물한 살, 난생 처음으로 어엿한 직장인으로서 산부인과병원에서 일하기 시작한 때였다. 그때는 병원의 규모에는 관심도 없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참 작은 병원이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서 원무과에 새로 직원이 왔는데, 이 조그만 병원에서는 원무과 직원이면 상관이었다. 더구나 임상병리를 겸하는 것을 알고는 살짝 존경스러웠다. 공식명칭으로 임상병리사이니까 그것도 간호조무사보다는 한 단계 위다. 게다가 첫눈에 그 야무진 인상에 믿음이 갔다. 곧 소문에 의하면 출근 전에 새벽에 가락시장에 가서 한 타임 일을 하고 온다고 했다. 정말 존경스러웠다. 표정이나 동작에서는 지치거나 그런 기색도 1도 없었다. 날씬한 몸매도 근사했고, 가뿐한 걸음걸이도 멋있었다. 나이도 적당히 위로 보였다. 오빠라고 부르는 사이가 될 수 있을까, 괜히 설렜다. 무엇보다도 확실한 생활력 때문에 나를 나의 미래를 걸어도 될 것이라는 신뢰감이 생겼다.

내가 생각하는 일등 남편감은 첫째도 생활력, 둘째도 생활력이 탁월해야 했다. 아버지가 느닷없이 암 진단을 받고 투병하시다가 돌아가셨을 때, 순하디 순한 어머니는 물론 우리 형제들 모두 뭔가에 한 대 얻어맞은 멍청한 몰골들이었다. 밥은 그냥 넉넉했었고, 한 말씀 하시던 아버지의 자리도 있었고, 무엇보다 남일면 은행리는 집성촌이었기에 그런대로 도움은 있었다. 하지만 갑작스레 변화된 생활전선에서 강하지 못한 어머니는 농사를 다 내주었고, 당연히 소출은 확 줄었고, 우리에게 세상은 바뀌어 있었다. 아니, 그보다 이전에, 어머니가 우울한 얼굴로 어렵게 어렵게 진통제를 놓아드릴 즈음부터는 평화로웠던 어린 시절은 사라지고 없었다.

고향 청원에서도 남일면 쪽은 중등학교가 아예 없었다. 지금은 고향도 청주시가 되었지만, 당시로는 어렵사리 청주의 여고를 졸업한 나는 서울로 향했다. 낮에는 여러 가지 알바를 하면서 야간에는 간호전문대학 진학을 꿈꿨다. 나는 무엇보다 주사를 잘 놓고 싶었다. 아버지가 조금 더 살아계셨다면…… 기꺼이 주사를 놓아 드리고 싶었다. 만일 어머니가 아프시게 된다면 놀라지 않고 겁먹지 않고 주사를 잘 놓아 드리고 싶었다. 간호사는 희망사항이었을 뿐, 나의 현실은 불가능으로 점철되었다. 대학등록금을 마련할 길은 까마득했다. 그렇다면 일단 간호학원에 다니자! 겁 없이 절친을 따라 미리 서울에 살고 있던 친구 언니만을 달랑 믿고 상경한 여자애로서는 일 년짜리 간호학원 다니기도 쉽지 않았다. 교육비만 해도 엄청난데, 실습기간 중에도 학원비를 몽땅 내야 하다니! 무엇보다도 다섯 시 반이면 시작하는 수업시간에 맞추기가 쉽지 않았다. 그렇게 빨리 끝나는 알바가 있는가 말이다. 주말은 그래서 쉴 틈이 없이 일과를 짜서 일했다. 그렇게 해서 드디어 간호보조사란 이름으로 병원에 근무하는 꿈을 이룬 때였다. 그 남자를 만난 것은 내 인생의 푸른 신호등인 것 같았다.

그가 내 마음에 쏙 들어온 것은 그 사람이랑은 상관없는 일이었다. 가만 보니 그는 여리여리하고 나비같이 사뿐사뿐 걸어 다니는, 말 그대로 여자애 같은 여자애들 취향인 듯 했다. 카운터 김양의 뼈다귀 같은 가느다란 손가락을 쳐다보면서 슬쩌슬쩍 말을 건네곤 했다. 자꾸 그쪽으로 귀를 쫑긋거리게 되는 내가 불쌍했다. 내 손을 내 몸을 살펴보았다. 나는 살랑거리는 맵시랑은 거리가 멀었다. 우선 나는 손도 크고 키도 컸다. 키가 크다고 해서 다 날씬한 것도 아닐 테고, 나는 아닌 쪽에 속했다. 식구들 대부분 크고 건장한 우리 집에선 누가 그리 몸매에 신경을 쓰고 그러지 않았었다. 이제 와서 어쩐다? 갑자기 다이어트를 시작할 수도 없었다. 어느 세월에?

살다 보면 예상치 못한 반전이 있다. 벙어리 냉가슴인가 하면서 내가 속을 태우고 있을 때 어느 순간 그가 나를 보기 시작했더란다. 내가 무심코 명절에 고향에 다녀오면서 보따리에 날라 온 음식들을 병원에 가져가서 나누어 먹었을 때, 나중에 그의 말로는 그것이 가장 예뻤다고 했다. 아, 어머니 - 울 엄마는 애들이 집에 들르면 말 대신 무엇이든 싸주는 옛날 엄마였다. 하나 둘 집을 떠나 각 살림을 시작할 때도 묵묵히 보시기만 했고, 다니러 가도 특별히 반기지도 않았다. 그런데 손에는 꼭 무언가를 들려주셨다.

내가 예뻤다고? 예뻐? 이 여자 살림 잘 하겠다, 생각했을지. 하지만 그도 점치는 데는 틀렸다. 내가 알뜰주부들처럼 살림 예쁘게 하는 짓은 잘 못하니까. 하지만 크게는 그의 생각이 옳았다. 젊다 못해 어린(?) 나이에도 벌써 노후 준비하자는 그의 말을 신앙처럼 믿고 살 것을 알아챘으니까. 실제로 나는 소비라거나 하는 단어를 아예 몰랐고, 사치라거나 그런 욕구도 텅 비어 있었다.

 

그랬다. 우리는 시퍼렇게 젊었던 첫 순간부터 노후를 향해서 살아왔다. 곧바로 신혼 때부터였다. 서둘지는 않았지만 곧 아이가 생겼고, 출산을 앞둔 설렘 속에는 걱정이 섞였다. 출산휴가를 석 달이나 받을 수 있었던 것은 넉넉한 원장님 덕택이었다. 하지만 받아놓은 날은 빨리도 닥쳤다. 어떻게 해, 어떻게 나가? - 은이 씨, 오늘보다는 내일이 중하지, 맘 강하게 먹어! - 그래도 6개월은 젖을 먹여야……. - 마찬가지야, 어차피 뗄 건데. 아기를 위해서 무엇이 현명한가 몰라서 그러나? 우린 빈손이야, 잊었어? 이렇게 미래를 기약해야 한다며 다독거리는 남편의 선택을 믿어야 했다. 사실 우리의 상황을 워딩 그대로 써보자면 이렇다.‘우린 양가에서 0원도 도움 받지 않았어요! 0원도!’지금에 와서 나는 거의 자랑스럽게 그리 말한다. 괜스레 떳떳하기까지 한 표정으로. 서러움의 기억을 얼굴에 달고 살 필요는 없는 것이니까.

독하게 마음먹은 우리에게 맞벌이라는 단어는 호사 중에 호사였다. 투잡이라는 말도 싱겁디싱거운 보통의 단어였다. 그의 집안에는 아들들이 우리 집에는 딸들이 많은 것 빼고는 한 치도 다르지 않게 양쪽 집안의 형편이 비슷했다. 그의 형제자매들도 각자 알아서 자신의 길을 개척하는 풍토였더란다. 이상한 평등이지만, 평등에는 불평이 따르지 않는다. 그렇게 우리는 달려왔다. 지금에 와서는 3층 건물이 있고, 작은 아파트도 있고, 또 가까운 시골에 몇 백 평 밭이 딸린 농갓집이 있다. 나를 거절한 여섯 번째 할머니보다는 내 노후가 더 확실하게 준비되어 있다.

 

아차, 막상 대문 앞에 서니 슬그머니 걱정이 인다. 이 집에 다녔던 요양보호사는 왜 그만두었다 했더라? 이 집의 펑크는 어르신이 낸 것이 아니라 우리 측에서 그만둔 경우라 했다. 그것도 갑자기. 얼핏 듣기로 장애아동돌봄으로 바꾸었다고 했는데, 이곳이 아주 만족스러운 환경이었으면 그만두었을 리가 없지 않았겠나 하는 데 생각이 미친다. 뒷북처럼 이제야.

보통은 새로운 ‘자리’가 생기면 문자가 뜬다. 100명도 넘는, 120쯤이라던가, 우리 복지관 직원들에게 공동으로 단체문자가 뜬다. 간단히 띄운 조건을 보고 관심이 있으면 지원하는 방식이다. 그러니까 이 앞 근무자는 장애아동돌봄이 뜨자 그쪽으로 옮겼다 했다. 왜 그렇게 갑자기? 정말 이 집에 문제는 없었을까? 전임자가 자발적으로 그만둔 것이 아무래도 걸린다. 실은 근무시간도 딱 들어맞지는 않아서 좀 그렇다. 이 집은 서비스를 1시 반에 시작해주기 원한다고 떴는데, 반시간 정도가 애매하다. 오전 일을 마치면 12시니까 1시 정도라야 간단한 점심과 이동시간을 따져서 알맞은 시간인 것이다. 거기다가 거리상으로 날마다의 기름 값을 고려해야 할 판에, 그러니까 잘 생각해 보면 이것저것 맞지 않는데 왜 덜컥 맡아보겠다고 나섰을까. 독거노인이 아니라 보호자가 있다고 했으니, 그것도 어떨지 모르겠다. 첫 방문에서 100% 성사는 아닐 수 있다. 조건을 따져보고, 정히 아니면 말 수도 있다. 지금처럼 오전만 일해도 월 60시간 조건은 채우니까 직장보험은 유지될 것이고.

초인종 보다 번호 키가 먼저 눈에 들어온다. 80대 어르신이라던데 번호 키를? 차 과장이 알려준 전화번호 끝자리로 키를 눌러 볼까? 아니다, 처음 방문인데 조신하게 초인종을 눌러야지. 어라, 초인종이 둘이다. 틀리지 않고 초인종을 누르고 싶다. 아직 일을 맡는다는 확정도 되지 않았으므로, 일이 되려면 초인종부터 제대로 누르고 싶다. 왜 초인종이 둘일까?

 

 

사실 내가 요양보호사 일을 시작한지 4년이 되어 가는데, 바로 앞 여섯 번째에는 시작부터 터덕거렸었다. 초인종을 누른 순간부터 좋지 않았던 일이 마음에 걸린다. 그때는 정 대리랑 함께 갔었는데, 초인종을 아무리 눌러도 대답이 없자 정 선생이 대문을 세게 두드렸다. 사실 정 선생으로서는 우리 요양보호사들이 바뀐다 해도 한 달에 두 번씩 관리 및 점검을 다니는 집이라서 크게 생소한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런데 그것이 화근이 되었다.

오메, 요 사람들, 대문을 아작 낼란가? 벤소도 지대로 못 가게 하네이. 근디 누구다냐, 요참에는? 이렇게 첫 만남의 순간부터 까칠하던 6번 어르신은 - 이렇게 불러도 되려나? 실명 보다는 아무래도 낫지 않을까? - 매사에 조금 심하긴 했다. 의심 많고 적대적인 것이 세상에서 인생에서 넉넉히 보상받지 못한 노인들의 특성이라 쳐도 유난했다.

요양보호사로서 일하면서 내가 요양병원 근무보다는 재가방문요양을 택한 것은 크게는 전일 근무보다는 파트타임 일을 원했기 때문이었다. 속내는 그러나 바닥에 깔리고 싶지 않아서다. 간호보조사로 근무하던 젊은 시절에 내 나름 미소를 유지하던 얼굴을 하고서도 갑을병정 끊임없는 상하관계에 질렸던 터라, 다시 요양병원에 가서 일하면서 여사님이라 불리며 맨 밑바닥에 깔리고 싶지는 않다. 거기 요양병원에서는 여사님이 최하 직급이다. 육*수 여사, 김*숙 여사라 할 때의 여사 하고는 하늘 땅 차원이 다르다. 불리는 이름이 같은 것은 아무 소용없는 일이다.

재가방문요양은 일대일 관계이기 때문에, 또 대개는 물심양면으로 어느 쪽으로든 취약한 노인들을 상대하기 때문에 심리적 어려움이 적다. 자녀들이 없지 않은데도 혼자 그렇게 외로이 살아가며, 정말 우리들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해 보이기도 한다. 말동무도 없이 입술이 말라붙어가는 노인들은 어쩌면 태고 적부터 무표정이었을 얼굴을 하고 있다가도, 내가 큰 소리로 무언가를 떠들썩하게 이야기해주면 가끔은 배시시 미소를 띠기도 한다. 기저귀 실수라도 해놓고는 새색시처럼 고개를 숙이기도 하고. 살면서 보람이랄까, 보람은 대단한 것이 아님을 느끼며 뭉클해지는 순간들이 있다.

 

일은 그러나 늘 예상을 빗나간다. 갑은 어딘가에서 불쑥 나타난다. 여섯 번째 어르신이 그랬다.

여그를 좀 딲어 조 바, 쩌그 거그는 또, 거그를 딲어주랑께!

워째 멋이던가 뿌옇고만! 노인네라고 도통 안 뵈는 줄 아남여!

나 젊었을 적에는……, 이런 것은 입에 달고 사는 화두다.

어르신, 저, 백내장 검사를 한번 받아보심…….

내가 시방도 바늘귀도 뀌는데 먼 병원이여! 돈도 쎄았는갑다!

남의 말은 아예 듣지를 않는다. 그러기를 반복하더니,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어느 날 드디어 노인이 복지관에다 전화를 걸었다. 나 들으라고 면전에서 걸었다.

거, 복지관이제라. 보쇼이, 나 참 요상해서 못 살 것소.

어르신, 왜 또 그러세요……. 저쪽에서는 그런 소리로 응대를 할 거다.

아니, 긍께, 쓰레기봉토 안 있소, 거, 나오는 거 말요. 아, 긍께 그것이 언 날 봉께 팍 졸아져 부렀당께.

어르신, 왜 또 그러세요……. 저쪽에서는 여전히 그러고 있을 것이다.

아따, 요참 여자가 이상허게 꼭 큰 가방을 가지고 다닝께 글제. 안 의심스럽소이. 어짠다고 가방을 고롷게 큰 놈을 갖고 댕긴다요. 글고 쓰레기봉토는 졸아져 불고. 아, 몇 장 없당께. 다 없어져 부렀는디 워쩔 겨?

알만 하다. 배급으로 나오는 관급 쓰레기봉투도 손도 안 대고 알뜰하게 모은다. 어떻게 가능하냐고? 혼자 사는 내가 그 큰 봉토를 쓸 일이 어디 있간디! 그러면서 나더러, 그러니까 요양보호사더러 자잘한 쓰레기들을 나오는 대로 가지고 나가서 버리고 오란다. 어디에? 기가 찰 노릇이다. 쓰레기장에 가면 이미 쓰레기를 담아 버려놓은 관급봉투들이 수북하게 있으니까, 그것을 살짝 열어서 헤집고 ‘요까짓 것’ 쑤셔 넣으면 된다고 우긴다. 실제로 막무가내다. 그렇게 모은 봉투를 손자인가 손녀에게 주련다고. 애들이 오는 것을 보진 못했다. 겨우 3주째였으니까. 아니, 요양보호사가 없는 주말에 다녀갈 지도 모른다. 그 애들 주려고 모아둔 봉투가 없어졌다고 성화였다.

어르신, 여기다가는요, 제가 추위를 타니까 스웨터 넣어가지고 다니잖아요. 지금 입고 있는 이 스웨터요, 아시면서! 저 여기 것 봉투는 쓰라고 해도 못 써요. 우리 동네는 이 동네랑 구가 다르니까 여기 쓰레기봉투를 저 주셔도 쓸 수가 없다구요.

멋이 그래, 봉토면 봉토제. 글먼 내 것 봉토가 어디로 가부렀냐, 그 말이제.

우리 동네랑 같으면 저희 것 가져다 드리고 싶네요.

어먼 소리 말고 내 것 봉토나 내놔 보랑께. 집이 갖고 가도 못 쓴담서.

 

그것이 금요일이었다. 그 다음 주중에도 실랑이는 계속되었다. 복지관에 들르면 차 과장이 살살 미소로 나를 달랜다. 그런 식으로 계속 선생님들이 바뀌니까 어쩌겠어용! 속 넓은 지 선생이 들은 둥 만 둥 참아 주세요! 사람들은 내 속내도 모르면서 내게 속이 넓다느니 그런 말들을 한다. 듣기 좋은 말일 게다. 어쨌거나 나는 사람들의 불평에는 신경 무디게 지낼 수 있다. 큰 문제만 없으면 특히 직업과 관련해서는 참는 자가 이기는 자다. 참으면 월급이 꼬박꼬박 모인다. 그렇게 살았다. 아니, 기본적으로 세상의 돈을 내 돈이 되게 하려면서 참을성도 없이 될 일인가. 그 정도가 내가 일할 때 사람을 대하는 태도다.

이 일을 하면서는 내 간호조무사 경험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생과 사를 가르는 수술실 근무도 견뎌냈고, 온갖 오물들을 맞닥뜨리는 과정도 찡그리지 않고 해낼 수 있었다. 그래, 이 일이 병원 내에서 가장 깨끗한 작업이다. 이 작업이 없이는 병원이 오물들로 넘쳐날 것이니까. 이 더러운 똥오줌과 피범벅이 병원을 세상을 깨끗하게 하는 일차적인 일이다. 나는 세상에서 세균과 병 따위를 없애는 정화작업의 최전선에 있는 전사다. 이 작업으로 나는 월급을 받고, 내 노후는 보장될 것이다. 괜찮은 생각이었다. 그렇게 버티어 왔다.

요양보호사 일은 수술실 근무에 비하면 거저먹기다. 시급 10,500원을 채워 정확히 계산해준다. 어쨌거나 최저임금 보다는 많고, 일 하는 시간 그동안만큼은 돈을 쓰지도 않을 것이니 두 배로 절약이 된다. 버는 것과 안 쓰는 것을 더하면 갑절의 가치가 된다. 고무줄 같은 신경 줄을 조금 무딘 쪽으로 단련하며 참으면…….

그래도 통하지 않는 때가 닥쳤다. 노인은 하루도 빼지 않고 복지관에다 전화를 해댔다. 복지관에서는 시영아파트 어르신들을 놓치고 싶어 하지 않는다. 가까운 위치 때문에 총체적으로 서비스 비용이 절약되고, 무엇 보다 큰 불만사항들이 없는 편이다. 자신들이나 또 주변 사람들도 장기요양보험이니 하는 공적인 사실들에 관해 원론적으로 아는 사람이 드물어 불평불만이 적다. 일단 혜택을, 문자 그대로 보살핌을 받는다는 느낌들을 가지고 살기 때문이다. 자질구레한 불평은 오히려 어리광이다. 나 좀 봐주라니까, 심심허다고! 나 죽겄서! 근디 나 요라다 죽는당가? 징허네이, 요라고 못 걸으믄 걍 죽게 놔두제이! 여그, 여그 좀 잡으랑께! 그렇게 저렇게 실랑이를 하면서 세월이 간다. 그런데 쓰레기봉투 민원은 끈질겼다. 나는 시쳇말로 잘렸다. 엊그제 11월 말, 하필이면 생일 하루 전날이었다.

 

 

직장에서 ‘짤렸다’는 생각에 웃음이 났다. 모처럼 외식을 하는 토요일 - 주말이라서 딸아이도 왔었다. - 해고당한 이야기는 감췄다.

왜, 식욕 떨어지는 일 있어? 식당 잘 못 골랐나? 딸아, 우리 둘이 엄마 것 다 먹자!

속 모르는 남편은 펄펄 날지 않는 나를 의아해 하며 놀렸다. 젓가락 부딪는 소리 사이로 닷새를 계속해서 혼자 내지르던 성난 목소리가 날아다녔다. 즈그 집에서는 안 춥당가. 질가 댕길라먼 얼메나 더 추울겨! 집에서부텀 옷을 입고 댕기제, 멋허러 옷을 들고 다닌다는 거여. 멋한디 울 집에 들어와 갖고사 세타를 입는당가!

사실 복지관에서도 내가 옷을 많이 껴입는 것을 보고 웃는 사람들도 있었다. 마른 체격도 아니면서 한심하다는 투다. 요새 사람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말라깽이를 이상형으로 삼는데, 교육 있는 날 모두 함께 밥을 먹다 보면 내가 제일 잘 먹는다. 뭐야, 지 선생은 애기들 같이 먹네, 애들 반찬도 좋아하고! - 아니, 저는 그냥 무엇이든지 잘 먹어요. 살 좀 빼야 할까요? - 알긴 아시네. 해도 지 선생 귀여워요, 먹는 것도 애들 같고, 인상도 애들 같고, 하하. - 애들 같아 뭐하게요! 나도 덩달아 웃고 만다. 멋지다 그런 말은 언감생심 기대도 하지 않지만, 그래도 어른한테 애들 같다니! 뭐, 어쩔 수 없기는 하다. 여리여리한 여자애들 때문에 속앓이를 했던 것도 옛날 옛적 일이다. 예쁘면 뭣해! 나는 제법 하얀 피부에 비뚠 데 없이 좌우대칭은 된다. 열심히 살았고, 아니, 열심히 일했고, 열심히 절약했고, 지금은 마음 편하게 살아가고 있으니, 이만하면 되었다. 게다가 우리에게는 아직도 계획이 있다. 당근 재테크와 관련된 일이다. 그것을 위해서 아직은 일을 더 계속할 것이다. 해야 한다. 하고 싶다.

착실한 재테크는 세상 살아가는 기본이다. 그렇게 알고 살아왔다. 돈 관리는 따로 하지만 투자 때는 함께 한다. 결혼 초에는 다른 커플들처럼 내가 돈 관리를 맡기 시작했었지만 오래 가지 못했다. 그이의 월급을 챙겨서 적금 부으러 가던 날, 바로 그날 아침 버스에서 가방을 찢기고 돈을 통째로 털렸다. 평생 단 한 번도 찢기지 않던 가방이 월급이 통째로 들어있던 그 순간에 찢기다니. 그 일은 훔쳐간 그들에게는 마법이었고, 나에게는 우리에게는 재앙이었다. 그는 그것을 용서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얼마나 많은 땀방울로 다져진 돈인가 말이다. 그 순간, 그 이후로 나는 돈 관리자 자리에서 데꺽 잘렸다. 결과적으로는 잘된 일이다 싶기도 하다. 그이가 나보다 관리에서나 투자에서 월등하니까. 어느 집이고 아내들이 돈 관리를 하는 현실에 비춰보면 자존심이 묵사발 될까 봐 남들에게 테는 안 낸다. 누가 하면 어떤가, 결과가 좋으면 좋은 것이다. 한 푼도 허투루 쓰는 법이 없는 남편은 정말 대단한 사람이다. 당연히 노담인데, 담배는 바로 돈을 말아서 태우는 것이라 생각해서 손을 대본 적도 없을 것이다. 둘이서 내기를 하면, 글쎄, 누가 더 절약의 천재인가 모를 일이다. 아니, 내가 밀리려나? 그 만큼 신뢰를 하기 때문에 그이의 제안이나 결정을 따르게 된다.

 

성남의 끝자락 미금에 청*마을 주공 42㎡ 아파트에 입주하던 날 - 1995년, 그 때도 오늘처럼 매섭게 추운 12월이었다. - 우리는 울었다. 대충 정리하고 딸아이 재워놓고 둘이서 입주파티를 하자고 마주앉아서……, 짠! 하고 잔을 부딪는 대신 그만 울음보를 터뜨렸다. 내가 먼저였나? 모르겠다. 둘이 다 울었다. 울다가 웃었다. 반지하 - 반지하에서 갓난아이를 품고 누어있는 순간, 그것을 표현할 단어는 없다. 그런 우리에게 이 공간 전체가 우리 것이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더 작은 36㎡도 아니고 42㎡ 아파트라니. 대출을 끼었다지만 우리 집이다. 요새 와서는 ‘영끌’이란 말이 유행이지만, 그런 말이 생겨나기 전에도 우린 그만큼 다 했다. 그랬다. 영혼까지 끌어 모아서 내 집을 샀다. 둘이 벌고 절약을 하며 살 테니까 까짓 대출쯤은 문제없었다. 울다 웃다를 반복했다. 이렇게 짧은(?) 시간에 내 집을 마련하다니. 아까워서 발을 크게 떼놓지 못했다. 몸무게가 한쪽으로 잘 못 실려서 바닥이 무너질세라.

꿈결 같은 세월이었다. 어느새 초등학교에 들어간 딸아이는 말 그대로 똘똘하고 키도 크고 공부도 제법 했다. 부러울 게 없었다. 머리카락은 나를 닮아서 검고 머리숱도 많았다. 머리를 묶어주면서 예쁜 머리핀을 꽂아주면서 생각했다, 나 어린 시절 보다는 더 행복하게 해주어야지. 아니, 이맘 땐 나도 거칠 것 없이 부족함 모르고 자랐었지. 아무튼 뒷받침을 더 잘 해주려면 돈도 모아야 하지만 무엇 보다 부모가 오래오래 건강하게 살아있어야 된다. 아버지가 일찍 아프시다가 돌아가신 것 말고는 내 어린 시절이 불행했다는 생각은 없다. 어머니는 책 속에 나오는 어머니처럼 온순하고 또 온순해서 우리들에게 따뜻했다. 내 검은 숱 많은 머리를 감겨주시곤 했는데, 이상하게도 젖은 채 안겼던 기억이 생생하다. 비눗물 때문에 울고 싶었던 눈이 스르르 감기곤 했다. 내 단정한 단발머리는 언제부턴가 약간 곱슬하게 변했지만 그래도 늘 단정한 머리다. 비라도 오는 날이면 곱슬이 더 나타나서, 사람들은 파마 값도 안 들게 생겼다면서 부러워한다. 하지만 난 하늘하늘한 노란 생머리가 예쁘다고 생각한다. 사알짝 흔들어서 뒤로 넘기며……. 하긴 그런 인상은 나랑은 어울리지 않는다. 처녀 적에도 안 어울렸다. 은아, 튼실한 몸과 맘으로 날마다 파이팅!

 

 

어느 평범한 날이었다. 그이가 뜬금없이 고향으로 내려가자고 했다. 고향이라고? 그러고 보니까 그의 고향은 남쪽이었다. 얘, 조심 해. 걔 라도표야! 연애, 거기까지만! 서울 여자애들이 라도표라고 시집가기를 기피했던 전라도 남자였다. 나는 특별히 전라도에 대해서 선입견을 가지지는 않았지만, 고향 제천에서나 더구나 서울에서 사는 동안에 전라도가 그리 매력 있는 고장은 아니었다. 오빠가, 그가, 결혼 이야기를 꺼냈을 때는 시댁이 전라도인가 어딘가는 안중에 없었다. 외국인이어도, 어쩌면 외계인이어도 좋았을 것이다. 막상 ‘시집가는 날’ 시댁 동네 사람들에 둘러싸여서 놀랐던 가슴은 순간이었기 때문에 곧 잊혀졌다. 신랑은 전라도 출신(!)일 뿐으로, 서울사람이었다. 아들로는 둘째였고 누이들도 있었으므로 집안을 책임질 군번도 사정도 아니었다.

이제 와서 고향으로 간다고? 참으로 낯선, 한 번도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었다. 그의 고향인 보성 봉*리, 선씨들만 모여 사는 동네, 하나 둘 떠나고 백 가호도 안 되는 마을로 가자고? 내 고향 제천도 우리 마을도 시골이긴 했지만, 전혀 다른 느낌의 시골인 시댁 마을은 그동안 잠깐씩 들르긴 했다. 하지만 아주 살 터전으로 받아들이라니, 날벼락이었다. 그는 공무원이니 걱정 없지만, 내가 취업할 수 있는 병원이 있을까? 설마 차밭 농사를? 무슨 말로, 어떤 말로 반대를 하지? 갑자기 눈앞이 깜깜했다. 내가 이 세월 살면서 남편 의견에 반대 한번 안하고 살았었나? 새삼 그것도 놀라웠다. 며칠을 끙끙 알았다. 언제나처럼 아무 말 않고 생글거리며 따라 나설 일이 절대로 아니었다. 병원 핑계가 그나마 통할 것 같았다. 내 직장은 어쩔……

그러다가 걱정은 전쟁 없이 사라졌다. 내 속으로는 반대의견을 들고 나서기가 전쟁준비만큼 힘든 터였다. 그런데 그이가 우선은 이곳 광주로 내려오자고 말했다. 고향까지 차로 한 시간 남짓 거리랬다. 휴, 나는 늘 운이 좋았다. 이곳에는 그이의 동창생이며 선후배들이 이렇게 저렇게 자리 잡고 살고 있었다. 나는 쉬지 못하는 습관에 잠시 알바도 했었지만, 곧 병원에 취직했다. 마침 건강검진을 집중적으로 하는 병원이었고, 광주 전남 여타 지역으로 건강검진 버스를 운영하는 팀에 들어갔다. 조금 늦을 때는 있어도 낮 근무였다. 나로서는 잘 된 일이었다. 그렇게 이곳 대도시 생활은 안정되어 갔다. 전학 온 딸아이도 서울 말씨로 친구들의 엄청난 관심을 받으며 신이 나는 듯했다. 그 나름대로 상위권을 유지하면서 예쁘게 자라고 있었다. 아이가 내 키만큼 자라는 건 정말 시간문제였다. 아슬아슬하게도 아예 고향으로 내려가자는 말은 더는 없었다.

그러자 저녁 쉬는 시간이 뭔가 아까워졌고, 나는 야간대학에 진학을 감행했다. 간호학과는 이과라서 현실적으로 어려운 벽이 있었고, 차선으로 사회복지과에 ‘등록’을 했다. 간호학전문대학에 간절히 등록하고자 했었던 옛 그 느낌이 살아나면서 가슴이 쿵쾅거렸다. 게다가 4년제 대학이었다. 사실 마음 끝 간 데 깊은 속에는 그만큼 깊은 미련이 남아있기도 했었다.

야간대학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거의 이런저런 이력들을 가지고서 늦게 대학에 오는 경우가 많아서 친구처럼 가까워진 동료학생들도 생겼다. 그때는 2008년부터인가 시작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이슈가 되어서인지 사회복지과 학생 중에는 복지관이나 돌봄센터를 운영할 마음으로 와 있는 사람도 있었다. 나중에 들으니 실제로 소규모 센터를 운영하는 이도 있다고 했다. 비슷하게는 유아교육과를 해서 어린이집을 차린 이도 있었다. 하나 같이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었다.

그런데 이 복지관에서 일을 하면서는 다른 종류의 사람들도 만났다. 나이들은 대부분 나보다 많지만 살짝 철이 없다고 할까. 일은 싫고 돈은 벌어야 해서 우울해하는 사람들 말이다.

나 같으면 못 산다 하지, 지 선생! 뭣 하러 그렇게 살어!

뭐가 어떤데요?

아니, 이깟 일 고만 좀 하고 쉴 일이지, 뭐가 아쉬워 그래요. 월세 받아서 쓰니 좀 좋겠어. 그냥 쉬라고 잡아 앉히지, 남편도 참. 짠돌인 게지.

아아니, 남편 탓 아니에요. 젊겠다, 두 손 두 발 성한데 어떻게 놀아요?

남편이 벌어다 주지, 월세 나오지. 그럼 매일 사우나도 가고, 산악회, 거긴 주 1회니 바람 쐴 만한데, 으샤! 그때가 그립다, 나는.

그런 건 취미 없어요!

그럼 일하는 게 취미다요? 세상에 일이 취미인 사람 어딨다고!

힘든 일도 아니고, 살림에 도움도 되고.

못 말려, 바보 같이!

내가 사는 방식이 바보 같은가? 그런 점이 없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는 별 관심이 없다. 남들이 칭찬을 하든 아니든 나는 그냥 그대로 일 테니까. 나이든 동료가 바보 같다고 흉을 보건 말건 무슨 상관인가. 어느 의심 많은 할머니가 나를 잘랐거나 칭찬했거나 나는 나다. 더구나 어제는 어제다. 일곱 번째 어르신님, 어서 나오세요!

 

아차, 초인종이 두 개! 어느 것을 누른다? 폭발물을 몇 초 안에 해체해야 하는 톰 크루즈식 액션영화 장면이 떠오른다. 마지막 남은 두 개의 전선 중에서 어느 것을 자를까, 손이 떨린다. 똑딱똑딱 초시계가 흐른다. 잘 못 자르면 자신을 포함해서 사방이 날아갈 것이다. 그런 기분이다. 가만, 바른 초인종을 찾는 데 힌트는 크기가 아니겠다. 위치가 문제다. 처음부터 제 자리에 있었던 초인종은 고장이 났고, 그래서 새로 달아놓은 것은 좀 엉뚱한 자리에 붙어 있겠다. 옳거니, 요 하얀 녀석인 게로구나. 괜스레 옷깃을 한 번 더 만져본다. 새로운 시작이다. 좋은 인상이 필요해! 초인종을 보면 늘 젖꼭지 생각이 나지만, 검지 끝에는 딱딱한 플라스틱 감촉이 느껴진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0.12. 국제PEN광주, 18호, 268-286쪽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겨울  (0) 2021.07.10
봄, 사순절  (0) 2021.06.04
장편소설『숨』  (0) 2020.11.25
  (0) 2020.06.21
모순  (0) 2020.06.21
Posted by 서용좌
수필-기고2020. 12. 27. 14:37

겨울, 바닷가

 

누가 이곳을 바다라고 하겠는가. 그곳은 바다, 겨울 바다였다.

오늘은 2020년 여름, 하늘에 갇혀 공기에 갇혀 암울한 나날, 길고 긴 장마에 집콕이며 방콕이 새로운 일상이 되자 먼 데 먼 날에 잠기는 일이 잦아졌다. 어느 해 겨울 - 하필 북해라고 하는 바다를 보고 싶었었지. 소설 속에서 묘사되는 대로 얼마나 스산한지 확인하고 싶었었나.

 

1997년이 저물어가는 크리스마스 휴가철이었다. 그때 나는 연구년으로 쾰른에 머물고 있었고, 남쪽에서 온 일행을 만나서 북쪽으로 향했다. 가벼운 여행이었기 때문에 실은 정확한 목적지도 없었다. 북해를 보러 가는 데에만 뜻을 맞췄다. 일단 기차로 국경을 넘어 북해로! 유럽의 기차여행은 안전하기 이를 데 없고…… 천만에. 어떤 사고였는지 정확하게 모르는 채로 바로 국경 앞 에머리히에서 기차가 멈췄다. 택시로 네덜란드의 아른헴까지, 역에서 제공해주는 버스로 다른 역으로 이동하여 다시 기차로 우트레히트까지. 거기서 내려서 하룻밤을 묵기로 했다. 그러고서 암스테르담에 도착해서는 운하를 경험하고, 다음 하를렘에서 잔트포르트 바다까지, 헤아려보니 정말 일곱 번의 우회 내지는 유희를 거쳐 도착한 바닷가였다.

 

바다는 많이 광활하고 그 광활한 만큼 엄청난 바람을 몰고 와서 우리를 내몰았다. 적어도 환영은 아니었다. 윌리엄 터너의, 아니 근처 하를렘과 암스테르담에서 활동했던 로이스달의 그림 <폭풍우>가 그대로 눈앞에 펼쳐졌다. 해는 곧 질 것이었으므로, 아니 이미 지고 있었기에, 그에게 ‘증명사진’을 부탁했다. 이 한 장의 사진에 매서운 바람과 어둠의 기억이 박제될 것이다. 바닷가 쪽으로 향하는 뒷걸음이 사뭇 위태로웠다. 바람은 지는 해를 두고서 무섭게 폭우를 동반해 왔다. 십분 전의 풍경이 전혀 다르게 변해 버렸다. 겨우 몸을 가누고 도망치듯 바닷가를 벗어나야 했지만, 체험은 길이가 중요하지 않다 싶었다. 순간이 영원할 수도, 영원이 순간 일수도 있음이여!

 

완전한 장대비를 맞으면서 이리저리 헤매다 들어간 곳이 ‘카페 홀란드’, 나는 뜨거운 글뤼봐인을 그는 차가운 맥주를 한잔했다. 날은 아주 어두워 왔고, 푹 젖은 사람들이 가끔씩 들어왔다. 카페는 피난처였다. 그가 담배를 가지러 자리를 떴다. 고향에서 집에서 얼마를 멀리 떨어져 나와서 이 밤 낯선 바닷가 카페에 혼자 앉아 있는 것인가! 쾰른을 출발에서 이곳 바닷가에까지 - 하필 여정에서의 우여곡절은 뒤쫓는 사람을 피해서 도망치는 연인들이라 해도 합당할 코스였다. 그가 돌아올 때까지의 15분에서 20분 사이가 영원처럼 길었다. 그를 다시 볼 수 있으리라는 확신에 균열이 생겼다. 그것은 어쩌다 둘이 함께 있어도 먼 먼 거리감 때문이었다. 아무렇더라도, 나는 그곳을 떠나 쾰른으로 잘 돌아올 것이었다. 다음날 예정대로 잘 돌아왔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초록별에게 쓰는 편지』, 이대동창문인회, 2020.10.30.,49-51쪽.

'수필-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석 위의 벽?  (0) 2021.09.07
사피엔스의 언어  (0) 2021.09.07
겨울 바닷가, 북해  (0) 2020.11.25
내가 만일  (0) 2020.03.20
나의 경계  (0) 2020.03.20
Posted by 서용좌
소설2020. 11. 25. 22:54

2020.11.16. 장편소설 『숨』, 문학들, 280쪽.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06950000709657007&search=장편소설

[무등일보]

http://www.honam.co.kr/detail/K4YzjP/635060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 사순절  (0) 2021.06.04
날마다 시작  (0) 2020.12.27
  (0) 2020.06.21
모순  (0) 2020.06.21
이름  (0) 2020.03.20
Posted by 서용좌
논단 - 기고2020. 11. 5. 21:39

[논단] * 36개의 각주가 따라오지 않아서 내릴까 고민 중 -

 

순수에의 강요

 

순수에의 강요 - 라는 구절은 표절은 아닐지라도 전염의 산물이다. 누구든 쥐스킨트의 단편 「깊이에의 강요」를 떠올릴 것이다. 소묘를 잘 그리는 젊은 여인이 초대전에서 나름 우호적인 평을 받는다. ‘당신 작품은 재능이 있고 마음에 와닿습니다. 그러나 당신에게는 아직 깊이가 부족합니다.’ 흔한(?) 격려성 비평이 비극의 단초가 된다. 자신에게 깊이가 없음을 한탄한 그는 작업을 접고, 미술서적을 섭렵하고 화랑과 박물관을 돌며 미술작품에서의 깊이를 탐구한다. 마침내 ‘텔레비전 방송탑으로 올라가 139미터 아래로’ 깊이를 향해 뛰어내린다.

 

쥐스킨트의 이름은 무엇보다 『향수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1985)로 기억될 것이다. 발간 직후 49개 언어로 번역되어 곧 2천만 권을 팔았고, 세계판타지문학상(1987)을 받더니, 독일 미국 등 합작 영화(2006)로 폭발적으로 알려졌다. 영화 장르로는 드라마와 스릴러를 표방한다. 스릴러인지 판타지인지 그저 엽기인지, 산문문학에서 장르의 구분선은 녹아버린 지 오래다. 소설의 성공은 백만 천만 ‘관객’을 의미하는 상황이 되었다. 예컨대 르네 클레망 감독의 《태양은 가득히》(1955/ 영화 1960)의 원작자 하이스미스는 서스펜스소설의 가장 성공한 작가답게 발칙하게도(?) ‘도스토예프스키의 책 대부분이 만약 오늘 날 발표된다면 서스펜스소설이라고 불릴 것’이라고 말한다. 심지어 ‘작가는 예능인’이라고도 단언한다. 쥐스킨트 또한 깊이에의 강요 때문에 몰락한 예술가를 그림으로써, 자신은 깊이에의 강요를, 정통 또는 순수에의 강요를 벗어난다.

 

정통 또는 순수 논란

 

오늘날에는 유서 깊은 가톨릭에서도 새삼스럽게 미사의 정통방식이 논란된다면, 문학에서의 정통이라는 개념이 온전히 존재하는지는 미지수다. ‘예술의 완벽성은 유익함과 즐거움을 결합시키는 것’이라는 호라티우스의 시학적 입장이 정통일까. 이는 거칠게 말해도 프랑스대혁명에서는 뒤집혔다. ‘굶주린 배로는 이상적인 예술작품을 들을 귀도, 볼 눈도 가질 수 없다.’라는 외침이 터져 나왔으니까. 그러나 문학과 사상의 자유에 대한 욕구는 하이네의 ‘책들을 불태우는 그 자리에 결국에는 인간들도 불태운다.’라는 경고로 고조되었고, 그럼에도 100년 뒤 나치는 책도 사람도 불태웠다. 그 어둠의 시대가 종말을 고한 후에 사르트르는 다시 한 번 혁명을 선언했다. ‘문학은 그 본질상 영구 혁명 중에 있는 사회의 주관성이다.’라고.

 

참여문학, 그렇게 우리가 경험한 일종의 사명감으로서의 문학은 현실사회주의의 몰락과 더불어 저물고, 다시 문학의 자율성과 미적 근대성 개념이 고개를 드는가 싶었다. 하지만 그러면서 문학의 위상 또한 하락한 것은 아이러니다. 크게는 문학을 포함한 인문(humanities, liberal arts) 의식이 신에게서 탈취한 권능을 ‘인공지능이라는 이름의 기계’에게 내주는 세상이 도래한 탓이며, 작게는 실효 중에 있는 글로벌자본의 통치 때문이다. 하여 우선 살아남기에 전전긍긍하는 현실 속에서 순수에의 ‘강요’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의 의식은 이미 ‘순수’에서 떠나고 있다.

 

장르소설의 세상?

 

그 살아남는 소설들이 오늘날 소위 장르소설들로, 이미 출판계 및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벌써 2004년 『문학과 사회』에서 「장르문학의 현재와 미래」라는 장르 특집을 내었으니 어제오늘 일도 아니다. 문화적 환경을 보다 섬세하게 고찰하기 위한다는 기획의도만 보더라도 그것을 하나의 줄기로 취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은 범주적으로는 대립적이나 실제적으로는 순수문학작품들에서 장르문학적인 설정과 문법들이 활용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원래 장르(genre)는 예술에서 작품을 양식에 따라 구분할 때 사용되며, 문학예술에서는 서정과 서사 그리고 극문학 정도의 갈래를 말한다. 진부하게 헤아려 보자면, 서사문학의 경우 자서전, 전기, 일기, 우화 등과 구별하여 소설이라는 장르가 있고, 소설 장르가 더 세분되어, 모험 소설, 아동문학, 판타지, 공포소설, 역사소설, 추리소설, 로맨스소설/연애소설, 과학소설, 스릴러, 무협소설, 라이트노벨, 게임소설, 사극소설 장르로 분류된다.

 

그런데 ‘장르소설’이라고 하면 ‘소설 장르’ 중 그 어느 하나의 장르에만 깊이 집중한 소설을 일컫는다고 한다. 영미권에서는 장르소설을 문학소설과 대비되는 말로 사용하는데, 문학적 픽션과 상업적 픽션(= 장르픽션 또는 대중픽션)으로 나눈다. 그 특징은 플롯 중심으로 넓은 독자를 매료시키는데, 주로 미스터리나 로맨스물, 과학소설 등의 장르에 깊이 빠진, 장르적 관습을 따르는 소설들을 일컫는다.

그동안 주류 문학에서는 소위 순수소설이 암묵적인 권위를 얻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과거형이다. 현재는 출판사와 서점의 사업방침이 상업지향적 소설들을 장르문학으로 표방하면서 그 영향력은 날로 커간다. 아예 석박사급 연구자와 장르문학 창작자들로 구성된 텍스트릿이라는 연구모임 등도 활발한 옹호에 나선다. 핑계라면 ‘문장구조적 부검’이라도 동원해야 읽어낼 수 있는 난해하거나 심지어 전혀 이해할 수 없다는 순수문학에 대한 절연이다. 뿐만 아니라 웹소설의 시장 규모는 3,000억을 넘어 2019년에는 4,300억 원에 이른다고 했다. 당연히 웹소설에 대한 편견을 강렬하게 비판하고 나선다. 여전히 가난하게 살면서 엄청난 규모의 시장을 무시하는 위선(?)을 비난, 아니 비판한다.

 

장르소설의 성공은 세계적 추세이다. 무거운 교양소설이 지배했던 독일에서도 2010년에는 무명작가의 미스터리가 알라딘을 강타했다. 『백설공주에게 죽음을』은 30주 넘게 판매 순위 1위에 올랐고 10여 개 언어로 번역되어 한국에서도 2011년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계속 신선한 충격의 미스터리로 독자를 사로잡고 있다지만, 그의 장편소설은 불발이다. 아무튼 더 과격한 장르의 관습을 따라서 더 충격적으로 사랑하고 더 충격적으로 살인하고 더 충격적으로 독서대중을 자극하는 일이 성공의 열쇠가 되는가 보다. 그러나 여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장르소설에서 말하는 ‘관습에의 강요’이다.

 

관습과 이단

 

관습이 무엇인가. 문학적 관습도 역사적 산물이다. 기술적으로 문학 내적인 요인과 사회적으로 문학 외적인 요인이 상호작용을 거듭하면서, 관습은 그 자체로서 생성과 소멸을 거치며 변모를 겪는다. 그런데 그 관습에 충실하게 집요하게 매달리라니! 오히려 예술의 본성은 관습과 고정관념으로부터의 탈피가 아니었던가.

모든 관습에는 반항이 따른다. 관습과 반항은 원천적으로 상호보완적이다. 틀을 거부하려는 작가는 독창성으로써 이에 저항하며 관습에 도전한다. 문학은 스스로 낡고 자동화된 관습의 틀을 거부하려는 내적 동력을 통해 낡은 관습의 쇄신을 유도해 나감으로써’ 존재의 의미를 찾는다. 머리가 심지어 심장이 터질 때까지 무조건적 예술혼을 불태우며 창출해나가는 새로운 문법, 새로운 관습이 기대되고 심지어 요청되는 것이다. 아방가르드 이래 모든 가능한 실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장르 관습을 철저히 따르는 것을 목표로, 그로 인해서 두각을 나타내련다는 장르문학은 예술로서의 문학의 대열에 합류할 생각이 없는 것일까.

 

장르, 그들은 소위 머리 아픈 글을 쓰지 않는다. 독서대중의 입맛을 취향을 존중한다는 의미에서다. 결과적으로 자본시장의 상업성에 편승하는 현실적 결정을 한 것이리라. 그렇다고 장르소설이 독서시장의 전권을 장악한 것도 아니다. 2019년 우리나라 베스트셀러 종합은 『여행의 이유』(김영하) 등 에세이 열풍이 지속되고, 실용도서의 판매량은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20년 상반기는 『더 해빙 - 부와 행운을 끌어당기는 힘』이 세계를 강타했다고 한다. 그러니까 장르소설도 소설인 한에서 베스트셀러 진입은 힘들다.

그러나 분명 소설계에서는 장르가 상업적 우위를 점하고 있고, 최근에는 문학상까지도 장르의 물(?)이 짙게 들었다. 그 한 종류라는 오토픽션 쪽만 보아도 그렇다. 예컨대 일본문단에서 누군가가 스무 살에 『뱀에게 피어싱』같은, 제목부터 무한대로 자극적인 작품으로 무슨 상을 업고 문단을 출렁이게 했다고 치자. 바로 영화도 되었다. 착란과 자해 등, 선을 넘은 가학성과 폭력성으로 독자의 무의식적 가학성에 부응했다고 치자. 그가 『오토픽션』으로 자전과 소설의 경계를 무너뜨렸다는데, 그 새 바람이 바다를 건너 우리나라에 상륙하면, 여기도 오토픽션 아류(?)를 써서 ‘젊은작가상’을 흔든다. 하지만 장르 로봇이 되어 독자의 취향에 부응하고 상도 받는다는 성공 신화는 간혹 혼란의 나락이 되기도 한다. 사실이다.

그러니까 성공이 아쉽다고 해서 글쓰는 사람이 글읽는 사람들 즐거워하라고 봉사하는 일로 살 수는 없다. 그 보다는 무엇인가 예컨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난해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도움을 공유하련다거나 해야 하지 않을까. 세상은 어떠한가, 살 만한가. 어찌 살까. 그러다 보면 ‘관습 지킴이’와는 정반대로 살게 된다. 김수영 시인의 ‘문학의 불온성’이 떠오르지 않는가.

모든 실험적인 문학은 필연적으로는 완전한 세계의 구현을 목표로 하는 진보의 편에 서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모든 전위 문학은 불온하다. 그리고 모든 살아있는 문화는 본질적으로 불온한 것이다. 그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문화의 본질이 꿈을 추구하는 것이고 불가능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문학이 문학이면 무엇을 왜 쓰느냐가 관건이다. 따로 순수소설 또는 장르소설이라는 갈래(장르)는 없다. 다만 ‘문화적 교환가치’라는 포괄적인 문화현상은 소설 영역을 확대하여 영화로 성공을 거두게 하기도 한다. 또는 종이책이 아닌 웹소설의 성황, 또 이제는 읽는 문학에서 듣는 문학으로 소화의 패턴이 급변하고 있는 현실이고 보면, 소위 본격문학, 순수문학, 순문학, 그러니까 원래의 문학은 풍전등화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은, 아니 인간의 모든 행동은, 타자에 대한 구애로서는 그 존재의 의미를 훼손시킨다. ‘나쁜 소설이란 독자에게 아첨하여 그의 환심을 사려는 소설이며, 좋은 소설이란 독자에 대한 요청이며 신뢰이다.’ 그뿐이 아니다. 유투브가 삼켜버린 문학 - 아니 문화, 아니 인생, 과한 말도 아니다 - 에서 장르라고 영원히 살아남겠는가.

 

살아남기 - 이단 예찬

 

앞서 말한 대로 호모사피엔스의 미래는 어차피 어둡다. 정보기술과 생명기술이라는 양대 혁명의 틈바구니에서 문학적 낭만과 순수를 찾는 것은 유아적 사고일 수 있다. 개인의 느낌과 자유 선택에 대한 믿음으로 신에게서 우위를 뽐내고자 했던 인간이 미래에는 빅데이터 알고리즘에게 모든 권위를 양보하게 될 것이다. 일자리는커녕 할 일조차 없어질 무용지물의 인간이 문학을 소설을 탐하겠는가.

그 전까지, 아직 문학이라는 이름의 무엇인가가 살아 숨을 쉬고 있는 동안 할 수 있는 일이 있지 않을까. 독자의 취향에 굴하지 않으며 숨이 끊길 듯 살아남은 예술의 흔적들을 살펴보자. ‘예술이란 맛과는 무관하다. 우리가 예술을 맛을 본다면 예술은 거기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무조건이 생명이다. 어떤 강요에도 유혹당하지 않는 무조건적인 독단, 이단. 그것 아닐 수 없는 무엇, 다른 것일 수 없는 무엇이 바탕이라야 한다. 치환불능성의 어떤 것, <살롱전>의 주문도 그 어떤 세속적 유혹에도 구부러질 수 없는 솟대처럼 솟는, 이름할 수 없는 정체성의 무엇이 새로운 유파를 창출하지 않았던가. 그들이 <낙선전>에서 출발했다는 사실에 문외한이면서도 이상한 안도감을 느낀다. 낙선이 시작이었다.

 

문학도 마찬가지, 기존의 가치에 대한 진지하고도 집요한 이단이 아니고서는 생명력을 지닐 수 없다. ‘도끼로 머리를 깨는 작품을’ 쓰고자했던 카프카가 살아남은 것은 이단성이다. ‘벗이여, 이제 나는 詩를 폐업처분하겠다. 나는 作者未詳이다. 나는 용의자이거나 잉여인간이 될 것이다. […] 아아, 나는 詩의 무정부주의를 겪었고 詩는 더이상 나의 聖所가 아니다.’ 때론 이렇게 폐업을 선언한 시인이 시인으로 남아서, 시집이 많이 팔려서 걱정도 한다. ‘시로서 존재하기 위한 형식화의 조건을 하나도 갖추고 있지 않아도’ 세계관으로서 현실을 반영하는 시인이 시인이다.

 

어떻게? ‘선택할 출구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출구는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마다 자신의 출구를 만듦으로써 자기 자신을 만드는 것이다. 인간은 매일 새롭게 만들어지는 존재이다.’라던 사르트르의 말 - 여기에서 ‘출구’를 ‘소설’로 바꾸어 읽자. ‘소설가마다 자신의 소설을 씀으로써 자기 자신을 만든다.’ 수많은 작가들이 ‘나는 글을 쓴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고 데카르트를 빗대어 존재를 정의한다.

그러므로 소설가가 쓰는 글은 누군가에게 말을 거는 방식이다. 작가의 ‘메시지란 결국 대상화된 영혼’이며, 작가는 ‘항의가 아니라 비명, 부패에 반하는 비명’을 지른다. 그러니까 결국 막스 프리쉬의 말처럼 ‘모든 예술작품은 인식되기를 원한다.’ 아무리 독백처럼 보일지라도 알아봐주었으면 하는 마음을 품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슈틸러가 아니오.’ - 막상 프리쉬는 『슈틸러』(1953)의 첫 문장을 이렇게 내뱉는다. 그 처음 문장으로 슈틸러는 다른 등장인물들에게, 프리슈는 독자들에게 언어유희의 첫 장을 연다. 독자들은 낚이는가? 낚였는가?

그 말을 거는 방식으로서의 이단은 예로부터 존재해왔다. 이단은 전통이나 권위, 세속적인 상식에 반항하여 자기 개성을 강하게 주장하여 거의 고립되어 있는 경우를 이른다. 현존 질서에 대한 반항, 그것은 가끔은 살아생전의 성공도 보장한다.

 

한 이단아의 경우 - 노벨문학상 수상

 

최근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페터 한트케가 누구인가? 1966년 스물넷의 그가 ‘47그룹’ 회동에 초대된 자체가 놀라웠던, 그의 독설은 더욱 놀라웠던 이단아다. 동시대 독문학에 대해 통틀어 서술 불능뿐이라고, 언어와 의식에서의 상투성에 대한 비판으로 출발하여 주체와 세상 간의 소외에 매달린 그는 같은 해 『관객모독』을 내놓았다. 말 그대로 관객을 모독하는, 관객들의 관습적인 관람 형식 자체를 고발하는, 연기는 없고 말만하는, 그것도 험담과 모욕뿐인 극작품이었다. 이어 소설 『페널티킥 앞에 선 골키퍼의 불안』(1970)을 빔 벤더스가 영화로 만들면서 크게 주목을 받았지만 여전히 이단아였다.

그런 그에게도 전형이나 표준이 전무하지는 않은 듯, ‘카프카는 나에게 내 글써온 삶 내내 한 문장 한 문장마다 표준이었다.’고 말했다. 적어도 두 작가가 공유하는 점은 개인과 외부세계와의 관계에서 광년만큼 떨어진 거리에 대한 인식이다. 또 하나는 세류와 무관했던 이단아라는 공통점이다. 다만 형식에서 무한한 자유를 누리되, ‘내용에 관해서는 너무나 많은 자유가 없다는 말을 계속 지껄이라’ 했던 김수영, 그런 불온성을 지닌 이단아들이 살아남는다.

‘허구를 말하기 시작한’ 너 글쟁이는 외면당하고 미움 받을 용기가 필요하다. 칭찬을 받든 비난을 받든 너 그리고 너의 작품은 그냥 그만큼이다. 순수에의 강요는 누구로부터 또는 어디에서 오는가? 언감생심 장르 관습에의 강요? 너는 미망으로 이끌린다. 하지만 삶도 글도 ‘안녕보다는 진리를 향하여’ 나아갈 뿐이라. 세상 속에서 그러나 세상에서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너는 너의 독자에게 말을 건다. ‘모깃소리보다도 더 작은 목소리로 아무도 하지 못할 말을 시작하는 것이다. 아무도 하지 못할 말을, 그것을 -.’

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0.12. 작가교수세계, 통권 23호, 44-54쪽

'논단 - 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험지의 유토피아  (0) 2020.06.21
죽을 때까지 사는 방법을 배우다  (0) 2019.08.26
Posted by 서용좌
소설2020. 6. 21. 00:07

 

                                                           모순

 

모순, 당신 참, 순수한 모순일까, 라고 말하는 그의 눈을 피할 수밖에 없었다. 그날도 비릿한 미소로 얼버무렸다. 말을 하자면 길어질 테니까. 말이 아닌 눈빛에 말로 대답을 할 수도 없으니까. 우선 모순에 쓴 순수하다는 덧말은 오류이니까. 내가 알기로는, 예컨대 순수한 물이라고 할 때 쓰는 것이 순수함이다. 그러니까 순수한 모순이라고 했을 때 순수는 모순을 설명하는 말이 아니라, 나더러, 아내더러, 순수한 것 같다가도 모순적인 사람이란 뜻으로, 둘 다로, 어쩌면 비난으로 들어야 한다. 아니, 말로 하지는 않았으므로 그리 읽어야 하리라.

그런 생각들도 일상을 크게 방해하지는 않는다. 모르는 것이 새삼스레 그것뿐일까. 저녁이 깊어지면 밤이 오고, 밤이 깊어지면 잠을 청한다. 잠을 청하다 보면 잠이 들게 된다. 잠은 좋은 것.

그렇게 또 날이 밝는다. 아침에는 아침을 먹고, 나갈 사람은 나가고 그냥 있을 사람은 그냥 있다. 바깥 하늘은 맑을까. 물론 흐릴 수도 있다. 밝거나 흐리거나 관심이 없으니 바깥을 내다보지 않아도 된다. 창밖을 내다보지 않고, 또 다른 작은 창들을, 텔레비전과 스마트폰을 켜지 않으면 세상이 조용하다. 오늘도 세상은 조용하다.

 

모순적이 아닌 인간 - 그런 존재가 가당키나 한가. 무모순적 명제 자체가 없다, 사는 일에서는.

말 한번 거창하게 하시네.

삶에서 크기를 말하는 것도 그래.

이게 크기 이야기야?

그러게, 크기가 아니지. 네가 그 쪽으로 갔지, 거창하다니 뭐니…….

아무도 없다. 내가 말하고 오른쪽 귀로 듣고, 내가 말하고 왼쪽 귀로 듣는다. 어차피 한 입으로 말하니까 너는 너다.

이런 나를 가리켜 모순적이라는 말을 그이가 하고 싶었을까? 한 사람이 다른 두 생각을 하는 일이 이상하단 말인가? 한 사람이 평생 일관적일 수는 없지. 아니, 평생 그렇기는 어렵겠지만 한 순간에 이리저리 흩어지는 것이 문제지. 그렇다고 내가 모순적인 사람은 아니다. 그렇게 생각한다. 나는 모순적인 사람이 아니다 - 이 말은 참인가? ‘무모순적인 사람임’이 증명되기 위해서는 ‘모순적인 사람임’이 부정되어야 한다. 어떻게? 수학이라면 귀류법이라도 들이대지.

귀류법? 그런 단어는 어떻게?

그거야 어렵고 모호한 단어들이 오래 남아서지.

매사에 서툰 자가 서툴음을 인지 못하고, 미친 자가 미쳤음을 인지 못하고…….

그런가? 내가 모순적임을 모르므로 모순적이다, 그 말인가? 알면 모순적이지 않다는 말인가? 너는 네가 모순적임을 아는 거야, 모르는 거야?

 

톡! 작은 창이 부른다. 정말 작은데 실은 한없이 넓은 창이다.

뭐지? 손바닥 창을 열까, 말까. 열면 바깥이고, 오늘 해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되면 하고 있던 생각은 끊길 것이다. 무슨 생각이었더라? 이미 끊겼다. 문은 벌써 열렸다.

친구들, 잊지 않았슴? 10시 반 역 2층 집합! 매표소 근처.

아차, 나는 시커먼 텔레비전 앞에 앉아있고, 폰은 내 옆에 누워 있다가 나를 불렀다. 고맙다, 톡아. 너 아니었다면 멍하니 그렇게 오늘 나들이를 놓칠 뻔했겠지. 시계를 본다. 서둘러야겠네.

 

 

모순 어쩌고 하던 그날 밤 남편의 걱정을 덜려고 말했던 찔레꽃집 나들이는 자꾸 미루어졌다. 찔레꽃이 다 진다고 어서 다녀가라는 채근을 듣고서야 날이 잡혔다. 오늘이다. 나이가 들면 차츰 삶의 무게가 가벼워질 거라 기대했지만 그건 아닌가 보다. 모두들 이런저런 일들에 발목을 잡힌다. 처음 약속했던 날엔 바람잡이 정인이가 딸애한테 가 있었다. 애는 아니다. 제가 아이를 낳는 자식들을 그 어미는 애라고 한다. 또 딸이라고…… 낳기 전까지는 투덜거리더니, 갓난이를 보고와선 완전 날고뛰고 좋아했다. 다음엔 성주 남편이 컨디션이 나빠져 기다려주기로 했다. 그러는 사이 내가 어머니한테 며칠 다녔다. 어머니들은 아무 때나 넘어진다. 화장실에서 살짝 미끄러진 것만으로도 팔목이 골절되셨다. 임시 깁스를 했고 며칠 뒤 제대로 깁스를 하자 불평이 수그러들었다. 고관절이 아니라서 천만다행이라고들 했다. 고관절이 왜? 듣고 보니 고관절 수술을 하면 자리 잡고 눕게 되고 그 길로 일어나지 못할 확률이 높다고 한다. 그렇구나. 누구에게나 알 수 없는 가벼운 사고며 병들이 빈발한다. 갑자기, 섬뜩하게 큰일도 날 수 있겠지.

얼마 전엔 또래 선배가 동맥류로 떠난 놀라운 일도 있었다. 병명도 생경했고, 서울에 거뜬하게 애들 보고 왔다는 사람이 며칠 새 저 다른 나라에 가 있다니 그저 놀라웠다. 갑자기 미스터리 소설을 쓴다, 자연사일까? 남편이 의사이면 극과 극이다. 애처가라서 처와 처가가 호강하거나, 여차하면 사팔뜨기라서 속을 태우며 산다. 지구상의 능력남들은 더러 무서운 능력도 함께 갖추어서……. 도파민인지 뭔지가 분비되는 몇 년이 지나면 예뻤었던 아내를 치울 궁리를 한다는데, 눈빛을 잘 보고, 아니면 재빨리 괜찮은 조건에 도장을 찍어야 한단다. 너절하게 퇴출당하기 전에! 영화를 너무 보았나? 하지만 영화가 하늘에서 떨어진 이야기들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니까.

 

시계를 보니 친구들과의 약속 시간에 대려면 더는 미적거릴 시간이 없다. 설거지 겨우 끝내놓고 멍하니 앉아있던 참이었다. 점심나들이에 따로 준비랄 것도 없지만, 기차 시간이란 엄중한 것이니까 대충 입고 가방을 챙긴다. 모기 기피제랑 계관은 필수지. 아차, 손수건과 칫솔……. 그러고서 나선다.

어? 친구들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설마 오늘이 아닌 거야? 180°를 돌아다 봐도 아무도 없다. 반대쪽으로 돌아도 없다. 늦지 않고 빠른 게 다행이다. 발은 커피숍으로 향한다. 급히 나오느라 커피를 담아오는 걸 잊었더니 그 향에 끌렸나 보다.

톡! 매표소 올라가지 말고 그냥 아래 있어! 기사님 뜬다.

기차로 가자더니 예정이 바뀐 모양이다. 일회용 용기에 받아왔다고 미선이 또 혼내겠지. 그래도 넉 잔을 조심히 들고 역 마당으로 내려오니 성주가 보였다.

짝꿍 괜찮아?

응, 그런 대로. 이제 출근하는데 뭐. 어머니는 어떠셔?

계속 아프다시지, 애기처럼. 마침 왼쪽 손목이라 그런대로. 다음에 나타난 건 차를 가져온 미선이었다. 5시 기차로 돌아옴 내가 넘 늦겠어서, 니들 좀 빨리 와도 괜찮지? 근데 정인이 가시나는. 차보단 먼저 와서 기다려 줘야……. 말을 하다말고 미선인 다시 차에 올랐다. 깜박이만으로 정차 할 수 없는 곳인가 보다. 순간 저쪽에서 정인이 보인다.

뛰어, 뛰어 와! 성주가 두 손을 높이 들어 불러도 정인은 느긋하게 걷는다. 정인을 기다렸다가 밀어넣은 다음에 성주가 올라타자마자 차가 출발한다.

야, 너 차를 길에서 기다리게 할래!

꼭 해야 할 말을 꼭 해야 할 시간에 내뱉는다. 정작 운전수가 아니라 조수석의 성주다.

미안혀요, 떡이 안 오잖어유. 시골에 가면서 빈손으로 가남유. 언니도 떡 좋아하고. 정인은 아예 느실거린다.

무슨 언니? 친구라 안 그랬어?

나이가 좀 있어, 친구하기는 해도.

너스레를 떠는 정인의 보따리가 그러고 보니 두 개나 된다. 무거워서 못 뛰었구나.

 

찔레꽃 향기는 정말 대단했다. 골목길이자 큰 길로 나가는 좁은 길 쪽으로 담장 전체가 찔레꽃으로 덮인 집인데, 일상의 집은 아니었다. 버려진 도자기 공방이라나. 꽤 넓은 잔디밭 어디에도 도자기의 흔적은 별로 없었다. 공방으로 썼다는 동굴 같은 초막에 들어서서야 주인장이 제작했거나 수집했을 소박한, 크기에서 소박한 그릇들이 엉성하게 진열되어 있었다. 진열이라고도 할 수 없으리만치 그냥 자연스럽게 널려 있었다고 하는 것이 맞는 표현일 터.

정인아, 막상 어려운 친구들이랑 오면 내가 좀 부끄러운데 어쩌나. 어쩌나요.

별말씀을. 우리 안 어려운 애들이에요. 정인이가 가끔 이야기할 때면 우리 모두 한번 와보고 싶었던 곳이죠.

찔레 향이 정말 대단하군요.

어떻게 이렇게 가꾸세요?

한 마디씩 감탄에 주인장은 겨우 대답할 틈을 찾는다.

가꾸다니요. 그냥 내버려 두죠. 잔디밭인지 풀밭인지 그냥 파란 대로 살라고 내버려 두네요. 염색물 떨어져도 편하라고.

어머, 염색도 하셔요?

도자기는 몇 년째 방학이지요. 염색도 어쩌다가, 그저 취미 정도죠.

그럼 농사를?

농사라뇨. 뭘 할 수 있겠어요. 시골서 태어난 것도 아닌데다가 뒤늦게 시골 내려와서 뭘 할 줄 아는 게 없죠. 여기 오이, 고추, 미니토마토, 이런 것 한두 개 따먹는 것이 전부인걸요.

그래도 시골인데.

저 아래 논 조금, 중간에 누가 자꾸 사래서요. 저 아랫집 텃밭, 텃밭에 뭐가 있더라. 가지랑 뭐 좀 있죠. 언덕에 호박 몇 구덩이. 감나무, 매실나무들. 그냥 저절로 있는 것들이나.

한 십년 넘은 것 아녀요? 언니, 처음 우리 발라드반들 여기 불렀을 때는 내 기억으로는 언니 의욕이 넘쳐 보였더랬는데. 정인이 보조설명자로 나선다. 저 아랫집 살 때만 해도 조금 손질해서 북카페 그런 것도 가능하댔잖아요.

아, 내가 그런 게 아니라, 팔고 나가는 사람이 꼭 팔고 나가야 하니까 동네사람들이 내게 희망적으로 권하는 말들이었죠. 어떻게든 타지 사람이 또 사들어 오는 것 보담 이왕 발붙인 우리가…….

그럼 여기 이 마을이 배타적인가요?

아아뇨. 그렇진 않아요. 도공들 마을이었으니 자존감 내세울 처지도 아니고. 중간에 문화재다 뭐다 인정받기도 하고, 정통 뭐 그런 것에 대한 우대적인 분위기도 옛날보다야 낫다지만.

암튼 공기가 엄청 다르네요.

정말 살 것 같아.

이 엄살, 어디선 죽을 것 같았냐.

이상한 해방감에 우린 그냥 맘대로 소리 나는 대로 지껄였다.

논밥들 알아요? 우리 오늘 논밥 먹을 거예요.

주인의 말도 신기하기만 하다.

논밥요? 누가 논밥을 내오나요? 왠지 솔깃해서 내가 물었다.

내오다니, 배달이겠지, 배달의 민족! 미선인 늘 정확하고 빠르다.

맞아요. 여기 논일이고 밭일 하면서 식당에 핸폰으로 전화하면 점심 배달 다 된답니다. 놉 얻어서 일하더라도 밥은 절대 안 해주요. 기대도 않고요!

놉? 놉이라뇨?

장소가 바뀌니 단어들이 생경하다.

놉이라는 말, 그게 어째 노비처럼 들리네요.

맞아. 놉이라는 말은 노비라는 말이 반절음화해서 생긴 것이지. 하지만 노비와는 다르지, 시대가 다르니까. 날품, 일꾼, 삯꾼, 품꾼, 품팔이, 여러 말들 모두 하루하루 품삯과 음식을 받고 일을 하는 건 마찬가지야. 요즘 시골에서는 일손이 귀하다보니 놉이 오히려 갑일 수도 있을 걸.

미선 씬 시골 일을 잘도 아네요. 그래서 놉이 아니라 주인네가 죽었나 싶네요. 놉 때문은 아니었지만.

누가 죽어요? 부러 죽었다고요? 정인이 울상이다. 언니, 지난 번 말씀으로는 시골 살기가 괜찮다 하셨잖아요.

괜찮지, 전반적으로는.

전반적으로는?

기본적으로 지원금이 나오죠, 이 동네는 집들이 있어도 전원 다 해당되죠.

언니만 빼고요?

에이. 뭔 그런 소릴. 저쪽 마을회관에요, 거기 가면 한더위에도 완전 시원하죠. 밤 열시까지 에어컨 빵빵, 아예 썰렁하게 틀고 살죠. 오전엔 열한 시나 되면 반찬이 와요, 어디에서 오는 것인지. 그럼 진작에 와 있던 쌀로 밥을 짓는 거예요, 나라미라 해도 매일 새 밥을 지어먹는 거예요.

나라미? 정부미 말인가요?

예, 나라미. 한글로 나라 다음에 한자로 쌀미자가 쓰여 있어요. 나라 쌀로 거저먹는데, 공짜에다 해주는 밥을 먹으니 나름 호사죠. 그 중 젤 젊은이가 밥을 짓는데, 물론 수당을 받고 하죠. 이리저리 꽤들 받아요. 누군가 가끔 파스다 뭐다 이런저런 약들도 가져다주고, 또 집으로 노인돌보미 나오죠, 어떤 집엔 목욕도우미도 와요. 이발비까지 나오니 살만한 거죠. 어떤 자녀가 그런 효도를 하냐고요.

주인언니는 우리보다 한참 위라고 들었는데, 말투가 전혀 노인 편이 아니다.

그렇다고 노인들 세상은 아니죠. 여전히 인간적 존엄성 유지가 안 되잖아요. 난 어쩐지 노인 편으로 말한다.

존엄성이 뭔데요. 월급처럼 수당을 주어 자식들 눈치 덜 보게 해주는데요. 농지만 있으면 건보료 그런 것들도 다 감면 혜택을 주죠. 결과적으로 땅 뙈기 가진 노인들이 더 혜택이라니까요.

농지가 있으면 외려 감면된다고요?

그래요. 믿거나 말거나 그렇다니까요. 집도 연금도 수준이 넘어서 상당한 건보료를 내야한다, 그럴 때 농지를 소유해서 농사짓는 농부로 등록되면 감면에 해당되는 거죠.

뭐가 뭔지.

아무튼 농지 소유자가 우대?

여러 가지예요. 장애인 처우도 대단해요. 저 위에 어려서부터 약간 다리를 저는 아줌마가 살아요. 얼핏 보면 모를 정도로 살짝. 한데 무슨 차량이, 복지관 차량이겠죠, 일단 데리러 와서 맨날 나들이죠. 한번은, 언니, 나 볼링 갔다 오네, 그러죠. 한번은 수영 다녀온대요. 세상에 승마도 다녀온다니, 그게 장애인이 할 만한 운동인가 말예요. 한번은, 언니 나 요것 좀 사주쇼, 그러는 거예요. 무슨 복지 상품권인데, 다 사용하기가 많으니 나더러 현금화해 달라는 거죠. 모르긴 몰라도 좀 과한, 좀 치우친 지원인가 싶기도 하고.

수중 운동이다 특수체육이다 그런 걸 하게 돼서 기본적으로는 복지가 향상…….

미선이 끼어들다 말꼬리를 내린다.

 

아름다운 찔레꽃 마을에 오면 찔레꽃에 푹 빠져서 꽃가루 범벅이 된 호박벌 이야기라도 들을 심산이었다가, 무언가 평등 같은 불평등을 체감하는 이야기를 듣게 될 줄이야. 우리 모두는 조용했다.

일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이래저래 도움을 받고, 죽어라 일하는 한창 아저씨들이 죽어나가는 거라서.

우리가 머쓱해 하자 잠시 말을 끊었던 주인네가 계속했다.

놀고먹는 사람들은 느는데, 일손은 모자란다고 하고. 일당도 그게 적은 건지 많은 건지 알다가도 몰라요.

무슨 말이세요?

일을 가는 입장에서야 말이 하루 8시간 8만원이라 그러고들 가죠. 하지만 새벽부터 해 넘어 가야 일어서니 시간 초과는 기본. 그런 일도 날마다도 아니니까, 그러니까 일당이 많은 게 아니죠. 허나 일을 주는 입장에서는 사람 하나 쓰기가 무섭다고 그러더라고요. 하루 양파작업 하면 산지 값으로는 양파 열 포대 스무 포대 값을 한 사람 노임으로 주는 것이니까, 열 사람 쓰면 100포대 200포대 값이 그 자리에서 나간대요. 올해도 양파 풍년이라 여기선 다들 죽을상이더라고요. 그런 노임 다 주고 출하를 해도 양파값은 바닥이니까.

모순이네요, 모순. 풍년에 죽을상이라니. 양파 따는 사람 좋으면 양파 주인 망하고…….

무슨 모순씩이나! 게다가 누가 양파를 딴다냐, 캐지!

모처럼 끼다가 다시 핀잔소리를 듣는다. 성주는 말 틀리는 꼴은 못 참는다.

다 알아듣고서 왜 그래, 정확한 단어가 입술에 걸려 머뭇거리기도 하지, 우리 나이에.

얘 또 나이 타령이네, 남아, 제발 조옴!

내 말은 보편성이 그리 없는지, 친구들 사이에서 좀 뒤떨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 대놓고 형광등 취급이다.

 

넌 그래 여태 그걸 몰랐어?

알았다니까. 지금 알면 어때서! 그래 나 형광등이다.

얘 좀 봐, 자신을 좀 아시네. 헌데 실은 고장난 형광등이다.

그러기 십상이었다. 언제나 별 일도 아니었다. 다만 다들 아는 이야기를 몰랐다는 것인데, 좀 억울했다. 예컨대, 미남 사회 선생님이 미녀 음악 선생님하고 그렇고 그렇게 비밀연애중이라거나, 좀 자라서는 우리 반에서 제일 얌전한 차옥순이 벌써 대학 다니던 중 살림을 차렸었다는 등, 그게 무슨 대단한 일이어서 내가 꼭 알아야 하는가 말이다. 어떤 이야기는 알려고 해도 알 수 없기도 했다. 아무개가 약(?)을 먹었고 죽진 않았고 그래서 입원 중인데, 온갖 이유들이 너풀거렸을 때다. 열아홉 나이에 어떻게 정답을 아는가 말이다. 나중에, 훨씬 나중에, 우리들 마흔 아홉에 그 앤 정말로 떠났다. 비행소녀처럼 날라리처럼 옥상에서 아래로 순간에 죽었다. 누가 그 이유를 아는가. 모르면 형광등인가. 고장난 형광등.

 

멀쩡한 양파밭을 갈아엎는데……. 주인이 얼른 화제를 챈다.

왜 멀쩡한 걸 엎어요, 좀 잘 못 된 걸로 갈아엎는 것 아녜요?

그게, 아주 잘 된 상품이라야 보상금이 나와요. 안 좋은 건 갈아엎어도 소용없고요. 그러게 양파가 폭락이었으니, 이제 고추라도 잘 되어야 할 텐데.

고추가 왜요?

여기 사람들 양파 해내고 고추들 따는데요. 그게, 작년에도 양파 완전 망치고 나서 고추농사나 기대했다가 것도 안 되니까 그 사단이 난 거예요.

사단이?

탄저병 알죠, 타들어가는 병. 거기다가 컬러병이라나 노란 반점들이 생기고 그랬다네요. 양파에 고추에 둘 다를 망친 어떤 집에서 그만, 그만 세상을 떴죠.

어머나, 그렇게까지. 정인인 곧 죽는 소리다.

분통이 터지면 그럴 수도 있나보죠. 의욕이 완전 바닥이 났을 수도 있고.

맞아요, 주인네가 계속한다. 그런데 사람 목숨 모기 목숨이에요. 탁 하고 때려잡은 모기 잊어버리듯, 죽은 사람 금방 잊어요. 완전 잊죠. 바로 그러고 나서 벼농사 목돈 나왔으니까 덩실덩실이죠. 그때 태풍 차바던가, 암튼 벼들이 다 쓰러져 누어버렸잖아요. 그럼 관에서 나와서 피해 정도를 조사해 가죠. 몇 퍼센트 어쩌고, 다 죽었다고 적어가죠. 그런데 실은 다시 일어나는 벼들도 있어요. 꺾이지는 않고 살짝 눕는 경우죠. 그럼 수확이 외려 약간 느는데, 관에선 조사해간대로 보상금이 나와요. 그러니 복불복이죠.

그렇구나. 얘들아, 복중에서 최고의 복은 뭘까, 전화위복이래. 금세 기분이 좋아진 정인의 말에…….

 

글렀네.

뭐가, 나남이, 뭐가 글렀냐고? 전화위복이라니까 글렀다니!

아차, 또 들켰다. 나는 여기 들판을 본 처음 순간에, 만일 다음 생이 가능하다면, 내 죽은 양분이 모여서 다시 사람으로 태어나는 일이 행여 가능하다면, 땅 넉넉한 곳의 농부로 태어나고 싶다고 생각했었다. 남자로 여자로? 그건 상관없겠다. 남자 여자 차이가 무슨 대수라고. 다만 지금 생에서보다 튼튼한 몸과 맘으로 태어나서, 투박하고 든든한 집을 지어, 지금처럼 단 둘이서가 아니라 아이들을 여럿 낳아 왕창왕창 떠들썩하게 함께 살며, 무심해 보이는 땅과 대화하면서, 뭔가 씨를 심어 넣고 자라는 것을 바라보다가, 다 자란 놈들을 먹기도 하고 내어다 팔아서 다른 소용되는 물건들을 사기도 하고. 운전면허시험에도 합격하고, 튼튼한 차 하나 있음 가끔은 아이들이랑 어쩌면 읍내 문방구에도 서점에도 가고……. 그런 생각을 하다가 들킨 것이다.

아니, 나는.

너는 뭐? 시골 살 생각을 하려다가 글렀다 이 말이지? 성주는 뭐 넘어가 주는 법이 없다. 제 남편도 칼칼한 아내가 성가셔서 자주 아픈가.

남이가 어떻게 시골 살아. 얘는 벌레라면 질겁하는 걸 몰라. 파리모기도 호들갑인데. 쟤 지금 가방 속에 모기약 잔뜩 있을 걸. 더구나 흙속에 숨어 있다가 꿈틀거리며 나타나는 것들이라면. 얘가 어떻게 시골에서 사냐고! 정인은 모르는 것도 두둔해주는 애다.

누가 시골 산댔냐. 나는 그저.

그저 뭐냐니까.

그저, 땅이란 것도 온난화다 자연재해로 힘들 거다, 뭐. 엉망으로 작물이 안 되고, 또는 트렌드에 밀려 외면당하고. 시골도 이상향은 아니구나, 그런 정도.

그래, 남이 그냥 내버려 두자. 시골에 살고픈데 살고 싶지 않다. 이 애 모순인 것 한 두 번이냐.

누가 모……, 미선에게 대꾸하기도 전에 말은 끊긴다.

시끄럿! 그리고, 이상향이 어딨다고! 너흰 어디 이상향을 알아? 유토피아란 말의 뜻이 어디에도 없는 곳이니까, 이론상으로도 없는 거라고! 없으니까 이상향!

왜 그래, 미선아. 무섭게. 누구라도 가고 싶은 곳, 가서 살고 싶은 곳, 그런 건 있잖아. 성주도 놀랐는지 이번엔 구겨진 나를 돕는다.

그래, 그것까진 아니라 해도 가보고 싶은 곳들은 있지. 왜 버킷리스트라고. 우리 나이쯤이면 그런 것 있잖아. 언니, 안 그래요? 슬쩍 주인을 쳐다보는 정인이는 말도 동글다.

그러게. 다들 어디로 떠나고 싶어하는 건 아닐 거예요. 난 이곳이 이상향은 아니지만 이곳으로 만족하는 편이예요. 사람들 가끔 오고, 것도 나쁘지 않죠, 외톨이란 느낌을 없애주니까. 시골 사람들, 이제 정 들고, 음식에도 따라가고. 건 그렇고, 밥 오기 전에 …….

 

주인은 저쪽 부엌에 가더니 냄비를 들고 나왔다. 처음 내어 놓은 옥수수 쟁반에 이어서 두 번째다.

바지락 먹어볼래요?

바지락이요? 요즘 먹을 생각을 안 했는데요.

가까이 싱싱한 수산시장이 있어요, 버스터미널 근처요.

어머나, 알들 굵다.

국물 엄청 시원하네요.

돌아돌아 도시로 나간 놈들보다는 싱싱하겠죠. 그런데 누구 바지락 알러지는 없겠지요?

설마요.

은근히 음식 알러지들 많더라고요. 여기 가끔 오는 지인 중에 낙지 알러지 있는 사람 봤어요, 목포 살면서.

무안 사람 아니어서 다행이네요.

그게 아나필락시스라고, 알레르기 질환이지만 중증이죠. 원인 물질에 노출되면, 먹거나 뭐 그렇게, 벌에 쏘여서도 그렇지, 그럼 심각한 전신 증상이 나타나는 거예요. 은근히 땅콩 같은 식물에도 큰일 나는 사람들이 있어요. 심하면 혈압이 떨어지고, 호흡곤란, 숨이 막히죠.

봤어?

아니, 쓰여 있어.

얘 미선인 우리 도서관입니다, 언니. 정인이가 또 너스레다.

사람 무안하게시리. 미선인 웃고 만다.

아나필락시스 뭐? 음식물 알레르기 종류이겠지, 좀 심한. 복숭아 만지지도 못하는 애들 많았잖아. 우유 못 먹는 애들도.

다르지, 우유 알레르기라 해도 두드러기나 피부염 정도이지만 아나필락시스는 쇼크까지 오는 경우라니까. 다시 미선이다.

우유 참 희한 해. 우유로만 크는 아이들이 대부분인데.

그래도 우유 못 먹는 사람들 은근 많다. 소화를 못 시켜 종일 더부룩하거나 배 아프고…….

그건 또 좀 다르지. 그건 유당불내증이라고 장내에 유당분해효소가 부족해서 그러는 것이고.

미선인 아는 것도 많다. 공부를 하는 사람은 어느 분야에서도 탁월해지는가 보다. 아마 공부가 재미있어서 이것저것 다 공부하는 것일 테다. 난 뭐가 재미있을까.

 

내 나이, 나이 탓하며 멈춰 있는 건 나이 탓하기 딱 좋은 나이라서 일까. 58년생들은 아직 법적으로 노인은 아니다. 더하기 65를 하면 2023년이 되어야 노인이다. 노인에 대한 인상은 대부분 부정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라던가, 그런 옛날 옛날에도 그랬다. 노령자는 지나치게 비관적이고 불신이 강하고 악의적이며 의심이 많고 편협하다, 그랬다던가. 어느 시대 어느 나라이고 노인은 노인이다. 너는 거의 노인이다.

우린 거의 노인이야.

남아, 갑자기 노인은? 그리고 거의 노인이 뭔데?

그게, 우리가 거의 노인이 되어있다는 말.

재미있네. 노인이면 노인이고, 아니면 아니지, 무슨 거의 노인?

그, 그게 말이야, 임신은 거의 임신 조금 임신 그런 말이 안 맞지만, 노인은 조금 노인 거의 노인 그런 말 되는 것 아냐?

그래서? 남이 너 거의 노인 하겠다고? 난 안 할래.

하련다고 하고 뭐 그런가…….

시끄러. 바지락 국물이나 좀 마시자.

 

바지락 국물 - 별로다. 싫다. 음식들 중 싫은 음식이 많다거나, 무엇에서도 재미를 느낄 수 없다는 말은 하지 못한다. 친구들은 차마 비정상이란 말은 하지 않지만 고개를 설레설레 흔들 것이다. 타고난 음식불감증, 재미불감증, 그런 것도 있을까.

아차, 불감증이란 단어는 금기어인 것을. 왜 불감증이란 단어가 금기일까. 단어 그 자체로는 감각이 둔하거나 익숙해져서 별다른 느낌을 갖지 못하는 일에 불과한데. 예컨대 도덕적 해이 비슷한 말로, 도덕적 불감증이 문제다, 뭐 그런 데에도 사용한다. 그러니까 재미불감증이란 말을 좀 쓰면 어때서. 말 하자!

 

미선아, 우유 소화 못하거나, 재미 소화 못하거나 뭐가 달라? 난 재미를 소화하지 못한다, 그 정도. 소화불량증이라 그럴까 보다.

나남이 히트다, 오늘. 유당불내증은 아니고 재미불내증이시다고?

재미있는 말이네. 재미있는 것을 몰라?

이 정도가 무슨 재민데. 재미없어, 하나도. 재미불감증이라지 뭐. 내가 고집했다.

그렇구나, 나남이. 나남이는 오늘 재미가 없으시단다.

아니, 그런 단어들 재미없다고!

그래도 오늘 여기 나들이가 재미없지는 않다고! 그렇게 정리하자고! 정인이는 무엇이든 동글게 끝내려 한다.

미안해도.

이 얘 말꼬리 좀 봐, 기어코 재밌다 그러지는 않으시네.

친구들 참 재밌다. 참 재미있게들 사네요. 자주 와요, 여기. 난 오랜만에 이렇게 편하게 떠들고 하는 것 보면서 신나는데요. 주인 언니가 거든다.

우리, 좋아 보이죠?

그럼, 그러믄요.

 

 

좋아 보이는 얼굴들을 하고서 하루가 간다. 툭 터진 정자에서 시골 옥수수도 먹고, 싱싱한 바지락에다 논밥을 먹으면서 담소한다. 그렇게 좋아 보이는 얼굴들로 헤어진다. 좋아 보인다는 것이 꼭 좋다는 말이 아닌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더 좋아 보이는 얼굴의 미선이 늦을 새라 서둔다. 모태싱글로 똑 부러지게 잘 헤쳐 나가는 미선이 보기 좋다. 보기에 좋다. 속으로는 어떤지 아무도 모른다. 표리부동이 꼭 나쁜 말도 아니다. 속마음 다 내비치고 살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살자면 그 나름대로 표리부동일밖에. 그러니까 엉큼한 표리부동은 경계해야겠지만.

 

오늘은 무슨 행사냐? 토론이야, 강연이야?

차에 오르자마자 정인이 캐물어도 미선은 대꾸가 없다. 전문적인 일에 관한한 우리들하고 별반 나누지 않는다. 답답하리라.

내가 화제를 바꾸었다. 난 외려 자꾸 뒤가 켕긴다. 양파 값, 일 값, 시소처럼 오르고 내리고 연결되어 있잖아. 양파 값이 내려도 임금은 올라야 하고, 임금 오를수록 양파 주인은 내려가고…….

미선이 곧장 들어온다. 최저임금 올라가면 영세 고용주를 죽이고, 고용주 살리려면 최저임금 못 올리고. 정책 입안자들의 기본 고민이지. 모순이기도 하고. 도처에 이해 충돌이지!

시소가 바닥을 친들, 그래도 땅속으로까지 들어가는 건 심했어. 뭔가 잘 못이야. 왜 죽어! 일 년 내 농사 지어놓고! 성주가 잽을 넣는다.

잘못인 것 한둘이냐! 어찌 보면 사는 게 다 잘못이지.

남아, 뭔 말을 그렇게 해. 켕긴다며. 그런데 죽은 게 잘 한 거야? 사는 것이 왜 잘 못! 볼에 부드러운 바람 느끼면서 한낮 살았으면 좋은 날 아니냐고! 정인이 속상해 한다.

이게 무슨 좋은 날이야, 그저 그런 날이지. 있어도 없어도 되는 숱한 날들 중 하루.

그렇다고 오늘을 버리냐, 예까지 자알 살고서.

잘 살지 않았다니까, 그냥 살았지. 나도 버틴다.

그렇다고 버리냐고! 오늘을 버리면 어제에서 내일로 어떻게 건너 뛰냐. 내일로 안 갈 거냐고?

내가 안 간다고 내일이 안 오는 것도 아니고, 있으나 마나 한 날들, 있어도 없어도 그만인 시간들이 허무해서 하는 말이지. 쓸모없는 생은 이른 죽음이라고 했어.

누가? 명언이야?

앗, 괴테의 이피게니다! 나남이, 그건 좀 다르지. 미선은 정말 박사다.

뭐가 달라. 아무짝에도 쓸모없이 숨만 쉬고 있으면, 이미 죽음이 와 있는 거라고. 죽은 거라고. 형용사 빼고 말하면, 생은 죽음이다.

누가 이애 좀 말려라. 또 시작이다. 말 수 적고 얌전하던 애가 이상한 말 터뜨리는 것 가끔 심하더라. 이것도 모순이냐?

너까지 왜 이래. 모순 소린 자꾸 듣다보니 어째 거슬린다. 찔레꽃 향기 듬뿍 묻혀 가면서 웬 철학들이냐고.

힘들어서 그래. 넌 괜찮아? 하루하루가 괜찮아?

어때서?

미선아, 분위기 좀 바꾸자, 음악 큐! 경쾌한 하루를 마치고 귀가하는 우리들……

 

음악 소리가 들려오자 감긴 눈 안쪽에서 정인이 모습이 솟는다. 신발 소리가 사뿐하다. 앞뒤가 함께 닿는 발걸음은 맨발인 듯 가볍다.

박자 말고 선율을! 선율을 타라고요! 예, 그렇게. 아니, 고개는 들고요. 배를 등 쪽으로 민다고 고개를 내밀진 마시라고요! 앞가슴 활짝, 화알짝 펴서 쇄골까지 당기도록! 에이, 뒷가슴은 견각과 함께 앞쪽으로 밀고…….

 

선율이구나, 멜로디…….

남아, 무슨 소리? 무슨 선율?

어디에 가 있냐고! 얘가 점점…….

또 들켰다. 요즘에는 생각이 튀어 나와서 속마음을 들키는 일이 부쩍 늘었다. 싱그러운 정인이가 부러웠나? 허리를 뒤로 젖하고 걷는 모습이 우아하다.

뭐냐니깐!

아니, 갑자기 정인이 신발 소리가 멋져서. 마술이야, 천천히 걷고 싶음 천천히 사뿐히 걷고 싶음 사뿐하게.

발걸음 소리가? 어디서? 네 옆자리에 푹 앉아계신 정인이 발자국 소리가 지금 들린다고?

응. 선생님 목소리를 따라 나긋나긋, 박자가 아니라 선율을 타면서 사뿐사뿐.

박자 말고 선율을 타면서 사뿐사뿐 - 너 우리 댄스교실 와봤어? 정인이 놀란다.

아니, 그냥 생각이 난 거야. 생각하면 안 되냐 그래? 우물쭈물 변명으로 간다.

실은 우리들 다 댄스교실 다녀야 해. 운동 중에 최고라잖아, 음악이며 상대와의 교감이며, 단순운동과는 비교가 안 돼. 미선은 댄스에 관해서도 정답을 안다.

그게 쉬운 일은 아니지.

정인아, 그게 그런데 아침 아홉시라고?

아, 그만 둬. 새벽밥 먹고 춤추러 갈 일 있남요? 정인인 취미가 되시니까 쭈욱 하랍시다!

갑자기 음악이 꺼지며 차가 멎는다.

내려, 얘들아, 오늘 여기서 한꺼번에 푼다. 알아서들 흩어지라고! 씨유!

너 여기 미국 아니다. 잘 가라고, 라이드 고마웠어.

오염된 한국어구만. 하긴 단일민족도 아닌데 뭐. 샬롬!

나마스테!

 

 

지하철 타러 내려갑니다. 오고 가는 것을 혼동하는 일이 없겠습니다. 여럿이 함께 내려가기 때문입니다. 실은 지난번에 문화전당역에서 금남로 쪽을 탔어야 했는데 남광주 쪽으로 갔다가 당황한 적이 있었습니다. 잃어버린 시간 때문보다는 낭패감 때문에 더 속상했었던 기억을 지하철 탈 때마다 하게 됩니다. 방향을 잃는 일이 어디 지하철에서 뿐이겠습니까. 처음 순간 1°만 살짝 틀어져도 엄청 달라져버리는 인생길을 살아가노라면.

그런데 인생이 직선은 아닙니다. 아예 꺾어 가기란 쉬운 일이 아니겠지만, 슬쩍 각도를 옮길 수는 없는지요. 과제를 수행하는 중에 주위의 사물이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집중력은 우수한 성질이죠. 하지만 도가 넘으면 병입니다. 인생이 과제인 한 그렇지요.

귀를 베어가도 몰라요, 쟤가!

어려선 숙제를 하거나 책을 읽다가 핀잔 듣기가 일쑤였답니다. 그때는 핀잔 속에 칭찬의 냄새가 끼어 있었습니다. 지금 와 생각하니 그게 꼭 칭찬받을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결국 길을 바꾸어 갈 줄 모르는 사람이 되고 말았습니다. 가는 길이 가고 싶지 않다면, 바꿀 수도 없다면, 어찌합니까?

모순에서 찔레꽃으로 앙파로 춤으로 숨 가쁘게 상념을 옮긴 오늘, 오늘 하루가 갑니다. 들고나는 이 없이 닫혀있기 일쑤인 현관문을 벗어났으니, 조금은 더 사는 것 같은 하루였습니다. 여럿이 섞여서 슬금슬금 앞으로 갔을지요. 앞이란 어디일까요. 목적지를 앞이라고 해야 할지요. 목적지는 어디일까요.

남은 날들 중에서 하루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몇 날이 남아있을지 누가 압니까. 모르는 것에 대한 불안으로 숨이 막힙니다. 모르는 것은 흔히 어둠이라고 표현합니다. 창밖에 어둠별이 떠오릅니다. 오늘밤이라는 이름의 밤이 올 것입니다. 어쩌면 밤새 숨이 막히겠지요. 아니면 내일 밤에, 어느 밤에. 아득히 혼자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0. <전남여고문학> 6호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편소설『숨』  (0) 2020.11.25
  (0) 2020.06.21
이름  (0) 2020.03.20
교수신문 2017 - 과분한 대접  (0) 2019.09.11
나무  (0) 2019.08.26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9. 9. 11. 12:57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3809


아무리 생각해도 <교수신문>으로부터 과분한 대접을 받았다. 
30회 걸쳐 가벼운 칼럼을 쓴 일밖에 한 것이 없는 나에게.
2년이 지나서,  <방송통신대학 위클리>에 역시 가벼운 글 하나를 쓰고서 생각이 난다.

장편 <흐릿한 하늘의 해>가 출판되었을 때, 그리고 그 작품으로 "놀랍게도" PEN문학상을 받았을 때......

 

‘글쓰기’ 절실해 떠난 강단 … “오늘 가능한 일에 몰두할 뿐” - 교수신문

때로는 한 국가의 지식인으로서 냉철하고도 날카롭게, 때로는 어머니 같은 마음으로 따뜻한 시선으로 이 나라, 이 사회를 바라보며 글을 쓰는 교수가 있다. 현재 에 ‘서용좌의 그때 그 시절’을 연재하고 있는 ...

www.kyosu.net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0455

 

“과분하고 기적 같은 受賞 … 쉽지 않지만 예술의 길 계속 갈 것” - 교수신문

2017 PEN문학상 소설 부문 수상의 영예는 서용좌 전 전남대 교수에게 돌아갔다.에 인기 연재칼럼 ‘서용좌의 그때 그 시절’을 집필했던 서 명예교수는 이화여대 독문학과 1회 졸업생으로, ‘글쓰기’에 좀더 매...

www.kyosu.net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순  (0) 2020.06.21
이름  (0) 2020.03.20
나무  (0) 2019.08.26
누수  (0) 2019.08.26
시베리아 아님 블라디보스토크  (0) 2019.05.09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9. 8. 26. 11:23

나무

 

나방이나 채소밭의 상추도

밤에 달을 쳐다보면서

어쩌면 꿈을 꿀 지도 몰라요.

- W. G. 제발트,

『아우스터리츠』에서

 

나무를 사 올까봐. 나무 심는 식목일이네, 벌써.

퇴근길에 말예요?

응. 작은 꽃나무를 고를까? 낼 쉬는 날이고. 아차, 낼은 마침 산소에 가는 날이네, 4월 첫 토요일. 이번엔 한식과도 맞아 떨어졌으니 딱 좋네. 산에다 심을 거면 좀 큰 나무를 살까?

산에다 나무를?

그냥. 사방에 산불도 나 쌓고. 올핸, 낼 한번 같이 다녀올까? 생각해 둬요.

 

닫히는 문과 함께 사라지는 말꼬리에 대꾸를 하지 않았다.

우선 소파에 털썩 앉아서 달력을 들여다본다. 오늘 식목일은 청명과 겹치고, 낼은 한식, 다음은 음력으로 집는 삼짇날이다.

언제부터인가 시월상달의 시제는 봄으로 옮겨졌다. 음력 시월이면 눈 내리던 풍경일 때도 있었다. 시월 보름치는 ‘꾸어다’라도 한다 했던가? 보름께 올 눈비가 미리 올 때도 있었고, 바람까지 부는 언덕은 늘 추웠다. 나무들도 칼바람을 가려주지는 못했다. 음복이라고, 바깥에서 먹는 음식들은 다 식어 빠지고 말랐어도 유쾌하게들 먹었다. 밥은 그런대로 스티로폼박스에 보관해서 미지근하지만, 코펠 두 개로 끓여대도 국물을 데우기가 문제였다. 어떻거나 세월은 흐른다. 집안마다 어른들이 세상을 뜨시고 땅 속으로 자리를 옮겨갔다. 차츰 세대가 바뀌니 참석자들이 점점 줄었다. 방식에서도 이것저것 원칙을 지키려는 뜻이 수그러들었다.

우선 축문을 한자로 쓰거나 읽을 수 있는 사람들이 드물었고, 한글로 써오기 시작했지만 그것도 어색해했다. 소지(燒紙)를 두고서도 의견이 분분했다. 축문을 잘 못 읽더라도 분축(焚祝)이 대신해주니까, 우리들 기원이 충분히 전달되라고 하는 것이제. 암, 연기와 그을음이 하늘 높이 오를수록 감응이 크시지요. 손바닥으로 축문을 들어 올리는 시늉을 해가면서 소지를 생략할 수는 없다는 의견도 있었다. 반대도 만만찮았다. 밭두렁에서만 산불이 비화되는 것 아니라고, 축문 태우다 산불 내는 것을 조상님들이 원할 것 같냐고. 축문을 못 태울 거면 쓰지도 읽지도 말라요 뭐요, 설마. 갑론을박에서는 매사에 매우 이성적인 사람들이 결정권을 쥔다. 그래도 그쪽도 향불까지는 어쩌지 못했다. 절이 끝나면 향대 가득 생수를 부어 향을 끈다. 아예 불씨를 말린다, 아니 적신다. 꺼진 불도 다시 보자, 좋은 일이다. 상차림도 완전히 간소화되어 주과포로 한정되었으니 따로 불 피울 일도 없다. 삼삼오오 차들로 나누어 타고 어느 식당에 가서 함께 점심을 나눈다. 이만하면 되었지, 조상님들도 우릴 기특하다 여길 것이네. 조상님들 아니라면 이리 모이기가 쉬운가. 옳은 말이다. 크게 나눌 것 없으니 다툴 것도 없는 일가들, 화기애애하다.

 

부엌은 아직 널브러져 있다. 아침 차리고 먹고 설거지, 점심 차리고 먹고 설거지, 저녁 차리고 먹고 설거지. 꼭 밥을 먹고 나면 그때야 오는 거지가 뭘까요? 답은 설거지! 며칠 전 라디오 영어방송에서 느닷없이 한국말 아재개그가 흘러나왔으니 웃을 밖에. 오늘은 그리 웃고 싶지 않다. 설거지하면서 벌써 다음 끼니 반찬 생각이라니, 무얼 먹을까. 무얼 먹을까. 무얼 먹을까. 무얼…….

삼짇날엔 진달래 화전이 얌전하다지만 맛은 여린 쑥을 따다 섞어서 찐 쑥떡이 일품이다. 내일 쑥떡이나 좀 해서 따라 나설까. 근년 들어서는 주과포라 해서 약식 시제를 드리니까 여자들이 음식에 매달리는 일은 사라졌다. 혹시 쑥떡을 하게 되면 오미자차나 보온통 하나 가득 담아가면 되겠지. 오지랖도! 뭣 하러 종일 부엌에 틀어박히나. 시키지도 않은 짓을 사서 할 것까지는 없지. 봄날을 즐기면 될 일이다.

 

봄은 4월이 되어야 봄 같다. 소프라노로 불리던 4월의 노래가 떠오른다, 4월의 시다. ‘돌아온 사월은 생명의 등불을 밝혀든다.’ ‘빛나는 꿈의 계절아’ 하더니, 왜 또 ‘눈물어린 무지개 계절아’라고 읊었을까. 이 행은 앞뒤가 맞지 않다. 내가 원래 시적 감흥력이 낮아서겠지만 이해가 잘 안 된다. 빛나는 꿈이 눈물어린 무지개가 된다!? 시인들을 시를 곧장 이해하기란 난수표 해독이나 다름없다. 세기의 시인이라는 한 시인은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 내고……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우는’ 시간이라면서 4월을 왜 가장 잔인한 달이라 읊었을까. 100년쯤 흘러 먼 나라에서 막 피어나는 라일락 송이들을 몇 백 송이 째로 깊은 바다 속에 수장할 것을 미리 감지라도 했다는 말일까. 시인은 예언자도 신도 아닐 텐데.

아서라. 4월은 자연스럽게 무엇인가 움트는 시간임이 분명하다. ‘머리맡에 씨앗을 두고 자는 달’이란 긴 이름으로 4월을 부르는 인디언도 있다고 했다. 비슷한 다른 인디언들은 ‘생의 기쁨을 느끼게 하는 달’이랬다지. 씨앗을 뿌리며 느끼는 기쁨만 한 것이 있을까. 내 손으로 뿌린 씨앗이 뭐였더라? 있기나 한가? 분꽃 몇 알? 먹을 것이 아닌 볼 것을 위한 씨앗이지만, 귀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새까만 씨앗에서 어찌 그리 예쁜 꽃이 피어날까. 경이롭다는 말은 씨앗이 싹을 틔우는 것을 보는 일에 쓰는 게 가장 적합하다. 게다가 꽃잎이라니! 유용성은 다음 일이다. 먹을 수 있는 것만 유용한 것도 아니다. 배가 불러도 불러도 불행한 사람들도 있으니까. 나 또한 배가 불러서 이러고 꼼짝 않고 앉아만 있는 것인지.

 

 

전화다. 집 전화다.

핸폰 왜 안 받아? 카톡도 안 보고!

안 받았어? 가만, 어딨더라? 충전기에 안 꽂혀 있는데 어딨나! 미안. 그런데 왜? 아침부터 급해서 전화야?

티비 안 보고 있냐고!

왜?

밤새, 아니 아침에도 티비 안 보냐고!

뭐, 산불 말야?

텔레비전을 켜니 불길이 아직도 훤하다. 무서우리만치 타고 있다. 밤새 손을 쓸 수 없었단다. 동 튼 지가 언제인데 여태도 못 잡았을까? 아니, 그 이상이다. 소나무 가지들이 송진으로 불타며 비화해서 100km를 날아갔단다. 설마 잘 못 들었나? 강 건너 불구경이라고, 텔레비전을 보고 앉아서는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없다.

은숙이, 은숙이 강릉 간 거 알지?

뭐야? 강릉엘? 지금 강릉엘?

그래, 어제 갔잖아. 케이티엑스 덕에 아침은 서울에서 먹고 강릉 가서 여유 있게 점심 먹고 있다고 자랑질이더니. 오후엔 경포대 바다를 볼 거라고 하더니만.

이 봄날 무슨 바닷가.

바닷가 타령이 아니라니까. 강릉 일박이라고 했으니 이 불길 속에 강릉에 있었다는 말인데, 지금 연락이 안 된다니까.

호들갑이네. 그곳 사람들 집들이 문제지, 관광객들이야 빠져 나왔으면 된 것 아냐?

설마겠지만, 여자들만 갔다는데 일단 걱정이 되잖냐.

별일이야 있을라고.

하긴. 그런데 올케가 발언권이 세서 좋은 일도 있더라고. 그 집은 시누올케들만 남자들 다 떼어놓고 잘도 뭉치더라고. 해외도 가요, 며칠씩이나. 하긴 해외여행이야 어차피 여자들이 대세 아닌가. 남자들은 직장에 매어있는 동안에.

그러니 어쩌자고?

몰라 몰라. 그냥 연락이 안 되니까 여기 저기 돌리고 있지.

뉴스를 보면…….

친구가 불길 속인데 뉴스만 보고 있어? 매정하긴! 끊어!

성주는 전화를 걸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급하게 돌아선다.

 

매정하긴! 그래, 매정하다. 나는 매정한 편이다.

남이 씨, 그렇게 매정한 사람 아니잖아.

아뇨, 나 매정해요. 인정머리 없고 매정한 사람, 그게 나예요.

매사에 이런 식이다. 내가 따뜻함 넘치는 푸근한 전업주부의 인상을 주지 못 함을 알고 있다. 지적인 커리어우먼도 아닌 것이 따뜻한 사람냄새도 없으니, 뭔지 누구에게라 할 것 없이 미안하다.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 모두에게? 똑부, 똑게, 멍부, 멍게! 누가 그런 분류를 해 놓은 것인지. 멍게는 나를 두고 하는 말이다. 멍청하고 게으르고. 공감하는 일조차도 멍하고 게으르니까.

게으르지 말자. 멍청한 건 못 고쳐도 게으름은 개선할 수 있겠지. 우선 설거지나 마저 끝내자. 점심은 굶자. 간단하다. 간단한 하루가 흐른다.

조용한 한낮이다. 넷플릭스 - 영화의 세상으로 가보자. 두 시간은 좋게 지나갈 것이다.

텔레비전에서 영화이야기가 진지하게 흐르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거기서 들었던 어떤 제목을 검색해 보았더니 아직 넷플릭스에 들어오지 않았다. 눈에 띄는 제목들도 있다. 〈내가 너를 사랑할 수 없는 10가지 이유〉- 셰익스피어의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변형이라는데. 아니, 청소년 버전인 모양, 패스! 〈첫 키스만 50번째 〉- 뭐야, 기억상실증인가? 정말 그렇다네. 단기기억상실증으로 매일 만나는 남자를 매일 처음 만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여자의 이야기란다. 첫 키스? 사랑은 키스로 시작되는가? 그럼 나에게 사랑은 없는 것이다. 고개를 젓게 된다. 입맞춤이 그리 쉬운가. 그것이 사랑의 충분조건인지 모르겠지만 필수조건은 아니다. 머리카락을 만지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듯이 입맞춤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어 마땅하다.

 

조용해! 엘뤼아르가 말한다. ‘포도로 포도주를 만들고/ 숯으로 불을 지피며/ 입맞춤으로 인간을 만드는 것/ 그것이 인간의 뜨거운 법이다.’

‘쇼드 르와’, 엘뤼아르님, 죄송합니다. ‘입맞춤’은 그냥 상징으로 쓴 거죠? 진짜 묻고 싶은 것, 물을 수 없는 것은 그 제목이다. ‘좋은 정의’라고? 좋지 않은 정의가 있다는 말인가요?

 

 

아차, 이건 아니다. 헛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게 된다. 대문 밖으로 나가자. 아스팔트를 조금만 걸으면 흙길도 나온다. 길이라기보다는 도로 아래 천변의 산책로에 오솔길만큼 흙길이 남아 있다. 치유로서의 흙길을 찾아보자. 맑고 따뜻한 봄 날씨라더니 변덕을 부린다. 빗방울 냄새가 난다. 벌써 빗소리가 들린다. 몇 걸음 걷지 못하고 집으로 향한다. 천변으로 오르내리는 층계 근처에 노점상이 있다. 오징어튀김과 어묵이랑 떡볶이를 판다. 요샌 김밥도 있다. 봄날 어울리는 메뉴는 없다. 봄날엔 봄날엔 봄날엔……. 봄날에도 배는 고프다. 아침에 뭘 먹었더라? 지금은 몇 시나 되었을까. 오징어튀김과 어묵과 떡볶이를 보다가 김밥을 집어들고 들어왔다.

점심 거른다는 거짓말. 김치 통에서 큰 무쪽만 달랑 하나 꺼내서 김밥을 씹는다. 아, 역시 여러 가지 맛이 서로를 죽인다. 왜 김밥에는 여러 가지가 한꺼번에 들어갈까. 우엉김밥, 계란김밥 그런 것은 왜 없을까. 일본사람이 하는 초밥집에서 오이김밥을 먹었던 기억을 떠올린다. 수십 개 메뉴 중에서 오이김밥을 주문했는데 정말 오이만 들어있었다. 일본어는 완전 깡통에 영어도 별로라서 겨우 큐컴버를 알아보고 시켰을 뿐인데, 너무 괜찮았다. 평소에 내가 김밥을 헤집고 속을 빼내면 함께 먹는 사람들이 으레 한마디씩 한다. 자장면이나 비빔밥을 비비지 않고 먹을 때도 더러 궁시렁댄다. 이렇게 혼밥이니 누가 나를 탓할 일은 없겠다. 이럴 거면 그냥 묵은 김치를 잘 씻어 물기를 빼고 햇반을 하나 덥혀서 김밥을 말 걸 그랬다는 후회가 스민다.

 

톡! 은숙이다.

내 걱정했었다고? 미안. 강은숙 완전 무사함다. 서울서 온 팀들 따라서 어제 강릉 철수, 서울 가서 밤새 놀았지. 늦잠 자고 뭐 좀 먹고 톡 볼 시간이 어딨어.

됐다, 그만. 우리 모두 성주 등쌀에 괜스레 놀랬지 뭐.

성주 미안! 고맙고! 울나라 기차 엄청 대단해. 새벽에 눈 비비고 출발했지만, 서울서 아침 먹고 강릉서 점심이 상상이 돼? 경포대가 당일 된다니까!

옹심이 맛 워뗘?

메밀전병 먹고파.

마음대로 드쇼! 직접 가서 먹어보삼! 강릉역서 시티투어도 있더라. 10시 전에 강릉역 도착해야 하니 당일로는 불가. 2박3일 한번 가자. 오죽헌, 주문진수산시장, 도깨비 촬영한 해변가, 물론 정동진 포함. 제대로 못 보고 와서 서운타.

못 보고 나오길 천만다행이지. 불구덩이 속에서 어쩔 뻔!

아슬아슬하지도 않아? 거길 다시 갈 맘이 난겨? 언제 불똥이 날아올지 모르는 그곳엘?

이 불이 여름까지 계속 타고 있다고 하냐?

비화! 날아다니는 불! 그거 소나무라 더 그렇다네. 옛날에 불쏘시개로 송진을 썼잖아.

완전 벌거숭이라니, 새까만 숲, 상상이 안 돼.

암튼 벌거숭이 숲 보려고 관광객 밀릴 일은 없을 테니 한번 가자.

밀리긴. 관광지가 유지되려나 모르겠네. 웬만히 타버렸어야지.

그러니 더 가보자. 숲 말고, 시티투어도 말고, 경포대 가자니까.

누구 경포대 목매는 사람 있다냐?

한 두 사람 카톡에 따라 붙더니 곧 수다로 수선스러워진다.

나! 라고 하려다가 말았다. 친구들이 그때 그 옛날 일을 기억하고서 저러는 걸까. 강산이 서너 번 바뀌기 전 옛날이었다.

 

 

경포대로 갈 거다, 우린.

철없던 그때, 내게서 뜬금없이 튀어나온 말이 경포대였다.

어딘데? 언제? 왜?

동해안 말이야, 여기선 꽤 먼 곳이라서 가보고 싶을까.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모래사장이래. 1㎞도 넘는 해변을 거닐며…….

뭐야, 누구랑?

아니 뭐, 언젠가 결혼을 하면 말야.

결혼? 너 결혼 생각하는 누군가 있어? 그런 거야?

이 엉큼이 응큼이!

누구였더라, 날 막 때리는 시늉을 했었지…….

신혼여행을 경포대로? 꿈꿈스럽게 웬 동해바다야?

기껏? 신혼여행이면 제주도엘 가야지. 서귀포의 낭만을…….

아니, 대체 누구랑! 지금 장소가 문제가 아냐, 누구냐니까!

 

그때 벌써 우리는 전통과 서양이 뒤범벅되는 시절을 살고 있었다. 전통혼례는 촌스럽게 받아드려지고, 새하얀 웨딩드레스가 로망이었다. 명화극장에서 본 《졸업》에서처럼 하얀 웨딩드레스를 입고. 물론 도망은 아닌, 처음부터 마음에 드는 신랑과…….

우리는 《졸업》의 마지막 장면 때문에 유난히 개똥철학을 폈었다. 버스에 올라앉은 둘을 위한 테마음악이 ‘침묵’이었기 때문에, 마지막 그 애매모호한 표정 때문에, 그 불안한 눈빛 때문에. 하긴 젊음이란 개똥철학을 먹고 사는 시간이었다.

 

누구나 그 나름 새로운 출발을 두려워하기 마련이다. 출발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변혁이다. 그럼에도 출발은 생각과는 다른 출발이기 십상이다. 나도 처음으로 새로운 출발을 생각했었던 경우와는 전혀 다른 출발을 했다. 경포대에서의 출발을 접었기 때문에 신혼여행지는 정 반대쪽 남쪽이었다. 마침 겨울이라서 남쪽이 안성맞춤이기도 했다. 그런데 밤새 눈이 많이 쌓였다. 남북을 관통하는 큰 도로에 차가 오르질 못해서 호텔 근처 정방폭포만 봤을 뿐 종일 호텔에서 어슬렁거렸다. 찬바람에도 해변을 거닐면서 경포대 바닷가 생각을…… 하지 않았다면 거짓말이다.

귀가 윙윙거렸다. 하늘이 바다 속으로 곤두박질쳤다.

남이 씨, 나남이 씨!

허겁지겁 나를 부축하여 일으키는 신랑을 밀치며 다시 한 번 고꾸라졌다. 호텔 로비 쪽으로 들어오자마자 그는 나를 긴 의자에 눕혔다. 그리고는 곧 얼굴 양쪽을 붙잡고 흔들었다. 제가 의삽니다, 신랑이고요. 걱정들 마십시오. 자, 비키세요. 사람들이 몇 모여들었는데, 제복을 입은 직원들도 있었던 것 같다. 괜찮습니다, 저리 좀 비키세요!

그렇게 곧 동서남북을 회복한 내가 어찌어찌 앉을 수 있게 되자 그때서야 사람들이 흩어졌다. 그렇게 더 얼마를 앉아있던 내게 그는 뜨거운 커피를 가져왔다. 괜찮은 거죠? 괜찮죠, 남이 씨?

 

괜찮은 거냐, 남아! 너 괜찮아? 너 정말 괜찮은 거냐고!

시간을 거슬러 가면서 가슴이 떨려온다. 나는 정말 괜찮다! 나는 그때도 괜찮았고, 지금도 괜찮다. 그 뒤로도 어쩌다 이석증이 일어나 성가신 일이 있었지만, 그건 아무래도 좋았다. 지나가면 흔적이 없으니까. 내가 처음 이석증을 일으킨 그날, 그 남쪽 바닷가에서 들은 소리들, 그런 소리들이 문제였었다.

남아, 춥지 않아? 우리 이 모래밭 끝자락에서 순비기나무꽃 찾아볼까? 중부 이남에 피는 꽃이라지만 난 꼭 경포대 바닷가에도 피는지 찾아보고 싶었단 말야.

왜 하필 순비기?

아니 뭐. 내한성, 내염성을 다 갖췄으니, 좀 춥더라도 이 바닷가에서도 살아있지 싶어서. 있더라도 잘 안 보여서 세심하게 찾아봐야 해. 회색빛 잔털에 벽자색 자잘한 꽃망울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데, 얼른 눈에 띠지 않지. 꽃을 보려면 여름에 한 번 가자.

벽자색이 뭔데? 푸른 자색?

푸르스름한 회색빛. 푸르스름 보라스름 그런 회색.

보라스름이 다 뭐야! 응, 알겠어, 보라 냄새!

보라 냄새는 또 뭐야. 색깔에 무슨 냄새!

색깔마다 냄새가 왜 없어! 어떤 보라에서는 제비 꽃 냄새, 어떤 보라에서는…….

에이, 그거야 나도 알지. 핏빛에서는 피 냄새!

그만 해. 그건 아냐.

 

나는 정말 괜찮고, 순비기나무꽃을 찾던 선배도 괜찮을 것이다. 우린 경포대에 간 적도 없으니 괜찮지 않을 이유가 없다. 우리는 입술을 살짝, 아주 살짝 스친 것만큼만 가까웠고, 입술을 아주 살짝 포갠 사이란 아무 사이도 아니니까. 다만 더는 누구와도 입술을 포갤 수 없는 것, 그것은 그냥 내 문제다. 곰곰 생각해 보면, 어느 두 사람 사이에서 입술을 포개는 것은 대단한 접촉인 것 같기도 하다. 입술이야말로 싱그러움과 관련된 어떤 신성한 곳이니까. 그에 비해 남녀의 접촉이라고 할 때 흔히 떠올리는 거기 그 곳은 생명의 창조와 관련된다 하더라도 적나라한 열기와 혼돈과…….

 

 

아이스 블루 톤이다. 톡이 아닌 전화소리다.

남이야, 나.

그래 은숙아, 왜? 톡 봤는데, 보고 있었어. 산불 용케 피했으니 잘 됐다 뭐.

남이야, 나.

뭐? 왜?

나, 누굴 슬쩍 본 것 같아.

누구를?

그 선배, 식물인간.

뭐라고? 선배를? 언제, 어떻게?

강릉에서지 어디야. 바닷가에서 나와서 감자옹심이 먹으러 가는 중에. 길에 지나가는 사람인데 왜 그리 닮았는지.

설마.

지나가는 모습이 틀림없었어. 옆의 사람이 귀에 올려대고 말을 하는데, 약간 오른 쪽으로 기우뚱 하고 그렇게 들으면서 걸어가는 모습이…… 그 뭔가 독특한 자세 있잖아.

시끄러, 잠시 지나가는 사람 모습을 보고 웬 옛날 생각을 해. 세월이 언젠데.

가슴이 덜커덩, 내가 왜 덜커덩이었는지, 암튼 틀림없었다니까. 애들 톡방엔 쉬쉬할게 염려 마.

 

 

약간 기우뚱 하고서…….

그랬다. 그는 그때 젊은 시절에도 약간 기우뚱 기울고서 걸었다. 키가 비쩍 커서이기도 하지만, 사람들의 말을 잘 듣기 위해서다. 실루엣을 보면 피사의 사탑이었다. 가까운 친구들은 그를 가리켜 피사라고도 했다. 물론 식물인간이라고 돌려서 말하는 게 보통이었다. 그 시절 우린 참 너무나 순진해서 남자친구 이름들을 대놓고 부르지도 못했었다. 식물인간이라고 하는 것은 그가 뭔가 동물적인 에너지를 발휘하는 화끈한 멋이 없었기 때문이었지만, 또 그가 입만 벌리면 식물 이야기를 했기 때문이다.

 

식물 이야기. 나는 지금도 식물 이야기를 듣는다. 그의 입을 통해서가 아니지만, 식물 이야기는 널려있다. 『나무수업』이라는 책도 재밌다. 『동물 속의 인간』 보다 더 먼저 번역된 책이다. 둘 다 독일인들이 쓴 것이 흥미롭다. 아니, 둘 다 인간적 식물과 인간적 동물에 대해서 쓴 것이 더 흥미롭다. 동물만 인간적인 것이 아니다. 나무들도 인간적이다. 인간적이라고 하는 부분은 우리 인간들처럼 공감능력이 있다는 것을 넘는다. 경쟁하고 부대끼며 지혜를 발견하면서 살아간다는 점에서도 인간과 닮았다. 정말이냐고? 식물도 설마 그러냐고? 내가 식물 관련해서 책들을 다소 무조건 사 보는 습관이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런 책들의 광고를 보면 그 식물인간이 저자일까 흠칫 놀라기도 하는 이 심정을 부정하지는 않겠다.

나무가 경쟁을 하는 것쯤은 우리들 감각으로도 안다. 햇빛은 중요한 경쟁대상이고, 햇빛 잘 드는 자리를 위해 다툼 할 것이라는 것을 안다. 다들 햇빛을 향해 키를 키우고, 햇빛 쪽으로 굽는다. 이태 전이던가 『나무수업』을 처음 읽었을 때 친구들에게 무슨 말을 하다가 그때도 호들갑이란 핀잔을 들었다. 5월 초 학교 후문에서 만나 점심 먹고 캠퍼스 내를 산책하던 때였다.

 

아, 이 이팝나무들 좀 봐. 곧 전체가 하얀 천지가 되겠네. 아카시아도 곧 만발할 테니까. 감탄사는 대게 정인이가 시작한다.

그러게, 이건 팥배나무 아냐?

팥배건 콩배건, 난 정말 하얀 꽃들이 좋더라. 어쩜 이렇게 싱싱하게…….

나무도 영양분을 두고 친구들과도 적들과도 나눈대. 『나무수업』이란 책에서 봤어.

미쳤냐. 움직일 수도 없는 그놈들이 무엇을 나누고말고 해.

아니, 막 움 터서 자라나는 새끼들에게 직사광선을 가려주려는데, 옆의 나무들과 합세해서 큰 가지들로 가려준대. 지나친 햇빛을 막는 거라고. 너무 빨리 자라서 아무 것도 학습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지. 겁 없이 막돼먹지 말고 느리게 자라기, 뭐 그런 것. 느리게 자란 놈들이 장수하는 거래.

말도 안 돼.

아스팔트 가로수들이 왜 빨리 죽냐면…….

죽냐면?

숲을 떠난 아이들은 말하자면 집 나온 아이들이래. 처음엔 햇빛도 마음대로 누리고 뿌리도 맘껏 뻗지. 그러나 곧 아스팔트 속 단단한 물질들에 길은 막히고, 살려면 하수도관이라도 뚫어야 할 지경이 돼. 하수도 뚫리면 도로는 범람하고. 몇 백 미터도 자랄 뿌리들인데 막혀서는, 참 불쌍도 하지. 우린 숲의 나무를 데려온 순간 그들을 고아에 장애자로 만드는 것이야.

야, 여기 인간적 인간 나셨네. 얘가 요새 점점 더해요.

왜 그래. 일리 있는 말이다야.

그렇지. 동물애호가들도 더 나아가 식물애호가가 되어야 해. 난 물론 이기적 동물이라서 겨우 내 몸 내 주변 관리도 잘 못하지만.

그러니까 나무들에게도 알맞은 삶의 형식이 있다는 말이지. 간단하네. 아스팔트로 끌려오지 말고, 그건 유배니까. 아니, 사람들 좋으라고 기쁨조 노예로 끌려온 거니까. 완벽한 흙, 적당한 온도와 수분을 갖춘 흙 속에서, 숲 속에서 사는 것이야. 가능하면 같은 종끼리 모여서. 그러니까 사회적 욕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완벽한 흙을 갖춘 진짜 숲에서 성장하는 거야. 언제 책 가져와 봐, 나도 좀 보자. 미선이 거들어줘서 너무 다행이었다.

그렇다니까. 그렇게 해서 터득한 생존 지식을 후손에게 물려주지.

뭐야, 식물들이 자녀교육까지?

아니란 법 있어? 나무의 자녀교육, 참 좋은 말이네. 나무답게 사는 법, 그런 책이 있을 법 하네. 바람소리로 전달되는 책이.

날아가라 날아가, 상상은 자유다!

상상 아니라니까. 숲 전문가, 동물 전문가들이 쓴 책이니까.

이 애가 아직도! 너 책을 100퍼센트 신뢰하는 거야? 까만 글씨면 무작정 모두 믿느냐고!

난 글씨를 믿는 편인가 보다. 까만 글씨, 인쇄되어진 말은 확실히 무겁다. 말은 다소 즉흥적으로 튀어나오니까 독이 묻어도 살짝 묻은 것이지만, 글은 다르다. 곰곰 생각했고, 썼고, 아마 다듬었고…….

 

 

나무들 일단 들여올까?

대문을 여다 말고 그이가 말만 먼저 들여보낸다.

어, 왔어요? 나무들 큰 거예요? 뭘 샀는데! 뭐가 되었건 들여오세요. 현관에 두든지 발코니에 내놓았다가 가져가야죠. 차 안에다 두면 불쌍해.

그런 남이 씬 불쌍찮게 집밖에 나갔나요? 오늘도 집안에만 있었어?

그냥 좀. 빗방울 때문에.

그렇다니까. 사람이 바깥바람을 쐬야, 통풍이 돼야……. 내 무서운 말 한번 할까? 외로움은 치매의 지름 길이예요!

치이!

미안, 미안. 여기 봐요, 자잘한 것 두 종류. 둥근 측백, 이것들은 양쪽 앞 쪽으로 심을까 해서 둘. 또 배롱나무가 좋을 거래서 하나 샀네, 자손들이 우애를 한다나 뭐라나. 장소가 아직 마땅치는 않지만, 낼 보고서 심으면 되겠지.

배롱나무는! 가로수로 널려 있는 게 배롱나무들 아녜요? 새삼스럽네.

좋은 게 좋은 거니까.

 

대충 씻고 와요! 저녁이 좀 늦었네요.

아무래도 나무들 고르다 보니까.

반찬은 밖에서 장만해 왔으니 걱정 없네요.

내가? 내가 반찬 장만을?

예, 울 할머니가 ‘가만 있거라, 반찬 장만해서 먹자’ 그러시면, 좀 기다렸다 시장하거든 먹자는 말씀이셨거든요. 실은 아버지 기다리시면서.

그런가. 시장이 반찬이다, 그 말이군. 그런데, 와우, 이 부추전! 이런 거면 배가 안 고파도 맛이 넘치겠네요. 물오징어에 알새우까지 넣어주니 입이 호강이군. 내가 오늘도 뭘 그리 잘 살았나!

애 많이 쓰셨죠! 환자 보는 의사님들 모두.

감기 환자들 기침 냄새 가래 냄새 맡고……. 이런 말은 밖으로 내뱉지는 않는다. 그런 생각만으로 난 벌써 음식이 목에 걸린다. 애를 써서 먹을 양식을 버는 일이 짠하다. 남편 뿐 아니라 세상 누구나 다 짠하다. 먹을 것을 벌어야 하는 숙명이라니!

 

대강 치우고 앉으니 텔레비전에서는 여전히 불길이 활활 타고 있다.

속초 의료원 큰 일 날 뻔 했더만. 세상엔 괜찮은 사람들이 더 많아. 지성으로 환자 대피시키고 보호하고.

어쩌냐. 숲이 저렇게 완전히 타버리면 개미가 돌아오는 데에도 13년이 걸린다네요.

그러게나. 그런데, 개미? 개미라고? 남이 씨 개미 무서워하지 않았어?

무서워하기까지는. 예, 개미 무섭죠. 어딘가로 옷 속으로 스며들 것 같은 느낌. 스멀스멀, 그래서 숲 속에 잘 안 가죠.

안 가기는, 아예 못 가지. 우리 그러니까 숲 속에 가 본지 얼마나 되었을까.

갑자기 숲 속은! 숲 속에 꼭 함께 가야되는 것도 아닌데 왜 안 가시고 그러시나?

아, 나야 가죠. 더러 가 봤죠. 남이 씨랑 숲 속에 함께 갈 수 있을지 이제부터 희망을 가져도 되나 싶어, 반가워서 하는 소리지. 가까운 축령산 편백 숲이라도 함께 가는 거요! 점심 먹고 거기 가면 피톤치드 확확 뿜어져 나오는 시간이니까 딱 좋을 텐데. 40킬로쯤인가, 한 시간도 안 걸려. 개미 무서우면, 가자마자 비닐천막 깔개를 넓게 깔고 삥 둘러서 모기 진드기 약을 뿌리면…….

아서요. 누가 개미 무서워 안 간다고 했나요.

그럼 왜?

 

새삼스럽다. 내가 숲을 피한다는 생각을 왜 할까. 산소에 갈 일 있으면 대강 따라 가는 편이다. 그러니까 일이 있으면 간다. 숲이나 밭이나 엄밀하게 말하자면 흙속에는 작은 동식물들이 섞여있는데, 그것들에 가끔 놀란다. ‘나방이나 채소밭의 상추도 밤에 달을 쳐다보면서 어쩌면 꿈을 꿀 지도 모른다’ 비슷한 말을 읽은 기억이 난다. 그렇게 꿈꾸는 상추를 밟기도 하고 뽑아서 먹기까지 하면서 나방 애벌레를 보면 무섭다. 사람, 아니 어떤 위협적 생물의 발자국을 느끼면 동그랗게 몸을 말고서 도망가는 작은 생명들, 어쩌다가 으깨어져 뒹구는 물컹한 어떤 것들이 무섭다. 나를 해칠까 봐서 두려운 것이 아니라, 너와 내가 바뀌었을 상황이 생각나면서 무서운 것이다. 나는 너를 무심코 밟았고, 어쩌면 내가 너였을 수 있고, 그런 것 말이다. 동물들과는 동일시가 되나 보다. 그러니까 생명이 무섭다. 곧 또는 조만간 손상되거나 사라질 생명이 무서운 존재다.

남이 씨, 나남이 씨!

응, 예.

올봄엔 정말 숲에 한번 갑시다. 아스팔트로 계속 달리다가 잠깐 숲에 들어가는 건데 못 갈 것 없겠죠? 쌍계사 벚꽃 길을 섬진강 따라서 종일 걷는 사람들도 있대요. 우린 그냥 어디로든 30분만 걷다가 딱 뒤로 돌아 하고 오면 될 텐데.

그렇게 유명한 델 어찌 가려고요. 꽃구경은커녕 사람들에 떠밀리고.

사람 참. 사람이 사람 속에 섞이지 그럼 코끼리 사이에 섞일 테요?

철새 따라 섞이지, 날 수만 있다면.

철새라고? 철새라!

아니, 만일 우리가 어딘가 다른 동물 그런 데 섞일 수 있다면, 그런 상상이라도 해본다면, 새가 낫죠. 것도 철 따라 이동하는 철새가.

웬 철새 찬양!

지금이 철새 대이동 시기니까 서해안에 가면 엄청난 새들을 볼 수 있다던데. 우리나라 새들이 500종이면 텃새는 100종류도 안 되고.

어, 거의가 다 철새네!

왜 철새들은 이 시기엔 북쪽으로만 나는지. 두루미 기러기는 벌써 시베리아로 떠나고, 어떤 놈들은 일단 우리나라에 들렀다가 시베리아까지 올라갈 것이고. 삼짇날이니 제비도 남쪽에서 올라오겠네. 바다제비며 슴새들 번식지도 따로 있대요, 가거도. 이름도 예쁜 가거도에.

남이 씨, 참. 워낙 방콕이 취미인 사람이라 철새 같은 건 전혀 관심 없는 줄 알았네요. 몇 십 년을 함께 살아도 모르는 것이…….

그거야, 사람이 변해서죠. 누구라도 변하죠. 할 일 없이 앉아서, 뜸부기다 뭐다 노랫말 때문에, 아니면 시 같은 데에서 귀에 익은 새 이름들 찾아보다가. 그런데 난 파랑새가 진짜 새인 줄도 몰랐다니까요. 파랑새는 그냥 상징으로, 파란 꿈에 대한 상징 같은 것으로 알았죠.

직박구리 그 이름을 찾느라고 온갖 새 이름을 뒤졌다는 것은 말하지 않았다. 말할 수 없었다. 말할 수 없다. 새 울음소리 때문에 내 생전 처음 듣는 청혼을 흘려들었다고, 아니, 새 울음소리를 핑계로 청혼을 흘려들었노라고, 그것을 누구에게 말 할 수 있단 말인가. 나랑 결혼해, 괜찮겠지? 난 정말 못 들었다. 괜찮겠지? 너 나랑 결혼하자고! 그렇게 가까운 소리를 흘려들으면서 나는 나무 위 새 소리만 듣고 있었다. 하늘을 향해 내지르던 새 소리, 나뭇가지 꼭대기, 먼 데 새소리만 들었다. 키 큰 은목서 위의 그놈들은 직박구리였다. 내 첫 이별의 자리에 함께했던 새, 새 이름을 뭣 하러 애써 찾았는지, 누가 알랴. ‘훌우룩 빗죽새’라고도 불리는 시끄러운 직박구리, 그 울음소리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

우리 남이 씨, 나는 한 마리 파랑새 되어 저 푸른 하늘로 날아가고파~ 그런 것이네.

뭐예요. 그 노랫말을 어떻게?

어떻게 외우냐고? 남이 씨 노래인데, 당근 나도 외우지. 사랑한 것은 너의 그림자, 지금은 사라진 사랑의 그림자~.

무슨 내 노래가 있고 그런가.

그러게 말도 안 되는 소릴 왜 해요. 날 수 있다면 철새 따라간다는 소리는 뭣 하러. 죽었다 깨나도 사람이 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 그렇다는 거죠 뭐. 찹쌀이 있으면 팥을 빌어다 찰밥을 해먹을 텐데 시루가 있어야지, 그런다잖아요.

뭐예요? 찹쌀도 시루도 암 것도 없다고? 우리 말 참 재밌네. 옛날이야기들엔 밥 타령이 많아.

좋아요, 말 나온 김에 찰밥을 찌죠. 낼 찰밥 해서 따라갈게요, 산소에.

어, 정말? 웬 찰밥! 여럿 먹이려면 남이 씨 힘들 텐데.

맛으로 나눠 먹을 것 좀 하는걸요. 다른 건 잘 못해도 찰밥 찌는 건 쉬워요. 찹쌀도 팥도 시루도 다 있는데요 뭐.

어마무시 고마워요!

낼 몇 시에 출발? 10시쯤 나갈 거죠? 그럼 시간 충분해요. 가만 나물 감이…….

혼잣말을 하면서 다시 부엌으로 향한다.

 

오늘 밤은 길어질 것이고, 그런대로 시간이 잘 갈 것 같다. 곡식들 꺼내려 뒤편 발코니로 나가 밖을 본다. 살짝 내리던 비는 멎었고 바람이 살랑거린다. 나무 잎들도 살랑거린다. 여전히 비를 품은 냄새일까. 낼 산소 가는 일이 죽이 되든 밥이 되든, 비가 내려야한다면 비가 내려야 한다. 먼 데 불을 끄기 위해서라면 우리도 비를 맞자.

그 땅의 나무들은 언제나 돌아오려나. 개미들 돌아오고 나서도 또 그만큼의 시간이 흘러야 새들이 날아든다는데, 나무들은 또 몇 년을 더 기다려야 움터서 자랄 것인지. 그렇게 새로 자란 나무들을 보게 될 일은…… 아마 없을 것이다. 그들은 느릿느릿 저절로 자라나서 하늘을 가리도록 무성한 잎들을 낼 것이다. 누군가가 숨죽이고 자신들을 기다렸을 것일랑 꿈도 꾸지 못할 것이다. 훗날 새파란 아기들이 태어나면 그들 선조가 겪은 대재난을 이야기해주려나.

얘들아, 세상엔 피할 수 없는 재앙도 있는 법이란다. 불이라는 게 비화하면 우리 나무들은 속수무책으로 타버린단다. 다만 그 잿더미 속에서 부활하는 기적을 꿈꾸는 거야. 어째도 꿈은 꾸는 거야. 살 떨리는 긴 기다림으로, 후훗, 살 한 점 남아있지도 않았지. 그래도 흙은 우리를 영원히 버리지는 않는단다.
---------------------

전남여고문학 2019, 5호, 222~242쪽.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  (0) 2020.03.20
교수신문 2017 - 과분한 대접  (0) 2019.09.11
누수  (0) 2019.08.26
시베리아 아님 블라디보스토크  (0) 2019.05.09
발자국  (0) 2019.05.09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9. 8. 26. 11:08

누수

누수 때문에 이 난리다. 우리 발코니의 누수가 아래층 발코니 천정을 망치고 있단다. 페인트를 망가뜨리고 이러저러 피해가 났다고, 방수공사를 해달라는 당당한 요청에 어쩔 도리가 없었다.

사실 나는 기껏 누군가의 1㎡ 공간에서 살고 있다. 우리 아파트 값이 누군가가 소유한 1㎡의 값이라니 분통이 터지다가도, 아냐, 이건 기적이야, 하는 생각을 한다. 내 키가 크진 않지만 1m 보다는 2m쪽에 가까우니, 그 금싸라기 1㎡를 갖는 것보다 이만한 아파트를 갖게 된 것이 그나마 요행 아닌가. 문제는 닭장이나 진배없는 이런 아파트에 살다보면 공동생활 때문에 감내해야 하는 것들이 많은 점이다. 층간소음은 기본이다. 애들은 뛰게 마련이고, 윗집에서 옛날식 제사라도 드리는 날이면 도마소리 그릇소리 밤중까지 한낮이다. 그뿐이랴. 고요한 밤중에 들리는 너무 세밀한 화장실 소리는 산다는 일에 비참함을 더한다. 노랫말에 나오는 언덕위의 하얀 집까진 아니더라도 괜찮은 곳에 괜찮은 주택을 소유하기란 쉬운 일이 아닌 줄 안다. 알면서도 비참한 것을 어쩌랴. 상황에 알맞게 구부러져야 산다, 쯤은 알게 되는 세월을 살았다. 나는 밤중에 화장실에 가게 되면 일단 수도꼭지를 세게 틀어놓아서 누군가의 귀에 들릴지도 모를 적나라한 소리를 감추려고 애쓴다. 누군가를 위한 배려가 아니라 나에 대한 예의다. 시답잖은 말인가. 아무튼 내 요상한 귀는 못 듣는 것이 많으면서도 한밤중에 어딘가에서 들려오는 물소리는 흘리지 않고 잘도 듣는다.

그만한 층간소음 쯤은 일상이다. 일상의 흐림은 폭우 쏟는 태풍처럼 밀려오는 누수문제와 비길 바가 못 된다. 윗집의 누수는 시간적으로 다툴 문제는 아니다. 참아가면서 기회를 볼 수 있으니까. 하지만 아랫집에서 점잖게 혹은 점잖지도 않게 클레임이 들어오면 용서가 없다. 꼭 우리 집 문제만이 아니죠. 그냥 두면 아파트 전체에 균열이 번질까 봐서……. 이런 이타적인 언동에 무슨 수로 맞서랴. 당장에라도 발코니의 살림들을 꺼내고 방수공사를 해야 한다. 한 해 걸러 앞뒤 발코니 공사다. 지난 번 뒤쪽 발코니 때는 누수 원인과 상태를 전문가의 말로 들었을 때 사실 놀랐다. 소금이 범인이라니! 묵히는 소금가마니에서 염분이 흘러내려 차츰 시멘트를 부식시켰고, 그러 인해 상당한 누수가 진행되었다 했다. 발견이 다행인 셈이었다. 치울 살림들도 장독대 몇 개와 선반들에 보관하는 곡물들, 빈 통들 등 어수선한 물건들 정도였다. 이번엔 다르다. 앞쪽에도 햇빛이 필요한 장독대들이 있고, 문제는 가히 영국풍 정원이라 할 얽히고설킨 화분들 때문이었다. 천정에 닿아서 이미 비뚤게 올라가는 선인장들은 수도 없고, 물론 한 사람의 힘으로는 움쩍도 못할 종려나무 분이며, 넝쿨장미에, 세상에 시누대나무까지. 자잘한 분들도 그 숫자로는 사람 손을 타게 마련이다. 지난 번 공사도 했던 업자 양반이 물건 치우고 들이는 것도 맡아 해주겠단다. 낮 동안엔 나 혼자 뿐인 것을 알고 있으니 다른 방도가 없다는 것도 아는 때문이리라.

점심 먹으러 나갔던 사람들이 돌아오는 기색이다.

커피 드셔야죠? 설탕은 어떻게요?

아무 거나 주시쇼. 다달하면 더 좋지라.

서둘러 단감도 몇 개 깎아낸다.

밥 막 묵었는디라.

어쩌가니. 아따, 근디 싱싱허요이.

보쇼, 화분 내놔붕께 베란다 엄청이나 넚소이. 저짝 끝에 하나 이짝 끝에 하나 침대도 놓겄구만이라.

텀턱스럽네.

아니 진짜여. 보쇼. 이라고 넓은 베란다 봤소? 그나 저 화분들 다 디려놓지 말고 이라고 훤허게 사시쇼.

먼 감놔라 배놔란가. 나중에 양주 간에 헐 일로 가지고서는.

그려 언능 해불게 시작협시다.

아무도 발코니라고 하지 않고 베란다라고 말한다. 사장부터 그러니까 그럴 게다. 주택공사의 설명으로는 아파트엔 베란다가 없는데……. 이런 따위의 말이 통하지 않는다. 아무렇게나 소통이면 그만이다.

우리가 발코니를 확장해서 발코니가 넓은 건 아니다. 반대로 발코니를 거실로 집어넣지 않아서 발코니가 넓은 것이다. ‘발코니 확장’은 옵션인데, 우린 그냥 발코니를 유지하기로 했다. 거실이 발코니까지 확대되어 훤히 비치는 유리창 하나로 바깥과 구분된다는 것은 아찔한 느낌이었다. 옛날 집들은 문풍지 하나로 바깥과 구분 되었지만, 창호지는 뭔가를 가려주는 맛이 있었고, 마루도 있었다. 무엇보다 그것은 방과 마당의 사이였다. 발코니 유리창 밖은 말 그대로 허공이라서, 공기가 주인인 곳, 나랑은 아무 관련도 없는 곳이었다. 발코니는 일단 완충지가 되어준다. 전체적으로 사용 공간이 좁더라도 안정감을 더해준다면 그 편이 좋을 성 싶었다.

그건 그렇고. 왜 햇빛 잘 드는 앞 발코니에서 누수가 생기는 것일까. 웬만한 습기는 하루해가 말릴 것 아닌가. 하기는, 화분들 속의 흙이 머금고 있는 습기들이 바닥을 스물 네 시간 습하게 하는지도 몰랐다. 화분과 화분 사이들도 늘 물기에 젖어있기 마련이다. 뒤 발코니 누수의 범인은 소금이었고, 이번에는 흙인가 보다. 흙은 물기를 품고 있어서 탈이고, 염분은 그 자체로서 시멘트를 녹인다. 물리 화학이다. 사는 것이 과학이다.

발코니가 없었으면 화분들도 없었고 누수도 없었다, 라는 말이 되나? 모르겠다. 거실로 확장되었더라면 거실에 화분들이 있었을 것이고, 거실에서 누수가 발생했을지도 모른다. 아니, 거실은 난방이 되기 때문에 그 정도의 누수는 스미거나 말랐을 것이다. 모르겠다.

오늘로는 다 혔소.

어, 빨리 끝내셨네요.

방수 처리허기 그거는 기중 쉽소. 요고 방수제 잘 되야라.

아 그래도 낼 내가 한 번 더 입혀야쓰제요.

낼 또 하세요?

낼은 나 혼자 와서 살짝 한번 볼라부러야제라.

그럼 타일은 언제?

그거야 이삼일 재와야 방수가 지대로 되니께로. 연락 디리께요.

우르르 사람들이 나갔다. 거실은 여전히 마당 다름없다. 문에서 앞 발코니로 기역자로 깔아놓은 은박지 통로는 흙투성이 발자국 그대로이고, 화분을 대강 들여놓은 저쪽 끝 방까지도 여전히 임시변통으로 깔아져있는 은박지 위가 지저분하다. 지저분이라는 말로는 도저히 모자라다. 집 안에서 신발로 다니는 길과 슬리퍼로 혹은 맨발로 다니는 길이 어떻게 구분될까. 앞으로도 며칠을 더.

옛날엔 흙길 밟기가 일쑤였다. 아주 어려선 댓돌만 내려가면 그대로 흙이었다. 아니 신발 속이 흙 그대로인 어른들도 있었다. 속에 지푸라기 같은 것이며 흙모래가 들어간 신발을 벗어 놓고 샘가에서 찬물에 발을 씻던 아주머니가 떠오른다. 미역 짐인지 뭔가를 한 짐 이고지고 팔러 다니는 행상이었는데, 아무튼 뭔가를 가지고 집에 가끔 들리곤 했었다. 마루 끝에 걸린 밥 바구니를 내려서 그럭저럭 나그네 밥상에서 한술 뜨고 나면 대신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는데, 애어른 할 것 없이 넋 놓고 귀를 기울이곤 했다. 내 팔자 어느 세월에 비단길로 다녀볼이거나…….

그때 우리는 어렸고, 길은 길인데 흙길이니 비단길이니 하는 말이 애매하게만 느껴졌다. 비단이라고 하면 할머니 치마 지어 입으신 그런 비단일 텐데, 누가 그런 비단으로 길을 만들까 의아했었다. 그런 길이 있기나 할까. 어떻게 비단으로 길을 만들까. 비단신으로 걷는다 해도 곧 찢어질 텐데. 비단신이라는 것도 아장거리는 아이들에게 방안에서 걷게 신겨주는 장식품으로 밖에 생각이 안 되었다. 자동차가 다니는 큰 길의 아스팔트를 제외하면 길이란 원래 흙길이었다. 길은 흙이었다. 누가 비포장도로라는 말을 하면 나는 이상하게 느껴진다. 필요에 따라서 포장 했으면 포장도로이겠지만, 비포장도로라고 하면 그것도 포장되어야한다는 말인 것 같아서 이상하다. 왜 꼭 다 포장해야 하는가. 길은 원래 흙인데, 왜 어둡고 힘든 길을 흙길이라 비유할까. 요즘에는 흙길과 대비되는 말이 비단길이 아니라 꽃길이다. 내 아가, 꽃길만 걸어라! 모든 부모들의 소원이다. 순탄하고 순조로운 경로를, 평안하고 행복한 길을 살아 가거라!

행복한 - 행복이 뭘까. 심심하면 하는 버릇대로 ‘행복’을 검색해 보려다가 서점을 찾아본다. 행복이라……『행복한 불행한 이에게. 카프카의 편지』라니. 애매해서 눈에 띤다. 행복하면서 동시에 불행한 사람? 책의 부피를 보니 곧 외면할 마음이 생긴다. 1,000쪽이 넘는 책을 무슨 수로 읽나. 이런 건 폭력적이다. 어라, 『나는 행복한 불량품이다』라는 얼핏 매력 있는 제목이 눈에 들어온다. 가만, 행복한 성공작품이라야 최상이겠지. 성공해도 불행할 수도 있으며 성공하지 못해도 행복할 수 있다는 아편서인가? 아차, 나는 행복하지도 않은 불량품이라면? 행불행과 성공여부를 생각하게 하는 책이라면, 이런 것도 사절이다.

행불행의 피안이라고? 그건 못된다. 소확행이란 유행어를 듣고도 화가 나는 심보인데 뭐. 따뜻한 빵을 찢어 먹는 행복, 따뜻한 햇볕 아래에서 낮잠을 즐기는 행복? 그게 무슨 행복인가. 잠시의 기분 좋음, 더러 안락함 정도가 행복일 수는 없다. 그건 어쩌면 마약이나 다름없다.

내가 왜 열을 내느냐고? 나를 위해서는 아니다. 젊음을 위해서다. 내가 젊을 때 그리 야망을 갖진 못했었다. 그건 성격 문제였을 것이다. 작은 온실에서 자라면서, 개성도 없고, 못 났으니까. ‘멍게’ - 그래서 놓쳤다. 나의 의지로 무엇인가를 이루는 삶을 놓쳤다. 마음에 있었던, 마음에 있었을 사람을 놓아버렸다. 겁이 나서. 그의 청각장애가 무서웠다고 변명하면서 살아왔다. 말하지는 않았지만 그리 생각하고 살아왔다. 더 정직하게 말하자면…….

누수, 누수가 두려웠었다. 그것은 내 인생에서 무엇인가가 새어나갈 것에 대한 두려움이었다. 선배가 청각장애라서, 그것이 전부는 아니었다. 그가 속해 있을, 그에게 묻어있을 어떤 것들이 두려웠다. 나로서는 알 수 없는 부분, 그가 나 말고 다른 누군가와 캠퍼스 잔디밭에 앉아 있는 뒷모습은 생경했다. 해는 저물고…….

하지만 그것들은 나에게는 터부였다. 나는 질투 같은 단어를 저열하다고 생각하고 증오했으므로, 선배가 어느 다른 여학생 또는 남학생 선배 또는 후배와 단둘이 앉아있는 장면을 목격해도 정말 아무렇지도 않다고 생각했다. 다만 각각의 대화는 다를 것이라고 상상하고 그렇게 믿었다. 나랑은 식물이 거의 전부다. 한번은 우연히 대학생과 노동자의 독서량에 관해서 말이 튀어 나왔을 때 얼른 회피한 쪽은 나였다. 나는 물론 안 들은 것까지도 다 듣는 귀를 가졌기 때문에 들을 필요가 없기도 했다.

너희는 입학하자마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가까워진 선배로부터 시각교정용 독서를 권유받는 거야. 여학생들은 조금 덜한가?

…….

시각을 교정한다니까. 그런데 대학생들과 노동자들의 독서량이 크게 다르다고 생각해? 아냐. 노동자들, 월소득 5만 원 이하를 열악한 환경의 노동자라 치자, 이 저소득층 노동자 40퍼센트가 독서를 즐긴다는 거야. 취미 독서가 30퍼센트. 전문서적과 문학작품을 읽는 것도 20퍼센트씩이야. 독서를 통해서 스스로 여타 노동자와는 다른, 소위 교양을 갖춘 인간임을 상상하고 믿는 것이지. 하긴 텔레비전이 게까지 보급되지도 않았었고.

…….

무반응인 내게 선배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가져다주었다.

이건 읽어봐야 할 거야. 교양 아냐!

제목은 동화나 환상소설 같았다. 책을 읽어나가자 곧 무거운 마음이었다. 낙원구 행복동 사람들이라니! 주택개량 사업 지구로 선정된 동네. 자진철거를 하지 않으면 강제철거 당해야 하는, 그러고도 철거비용까지 물어야 하는 기막힌 약자들의 이야기였다. 철거 현장의 비애. 초라한 밥상이 끝나기를 못 기다리고 들이닥치는 철거반원들이 더욱 초라하다. 그들 또한 상황이 열악하지는 낙원구 행복동 사람들이나 마찬가지일 사람들인데, 권력의 하수인인 동안에는 착각 속에서 권력자가 된다.

예상은 했었지만, 내용이 너무도 무거웠다. 다만 울고 싶어졌다.

다 못 읽었어, 그만 읽을래. 다른 사람들 빌려 줘.

그때 선배에게는 다 읽지 않았다고 둘러댔었다. 말하기가 싫었으니까. 선배가 책들을 여럿에게 빌려주기 좋아하는 것도 알고 있었다. 이건 비밀인데, 나는 선배가 풀밭에서 나누는 대화들이 S교육인 것도 알고 있었다. 누가 내게 슬쩍 귀띔해 주었기 때문이었다. ‘S가 무슨 약자인지는 알지? 말할 수 없는 그것!’이라고 하면서. 그뿐만이 아니었다. 교육하는 선배들이 S라고 알고서 후배들에게 일대일로 교육하는 내용들이 ‘실은 꽁이야, 더 상부 지도부에서는 그리 알고 있는 거야.’라고 자못 조용히 일러주기도 했었다. 바로 일 년 위 고교선배였는데, 자기 오빠도 그런 일을 하니까 안다고, 대단한 사람들이라고 말해주었다.

대단?

대단하지 그럼. 도시빈민의 참상과 좌절의 고리를 끊어내려는 운동인데.

고리를 끊어? 그래도 다소 폭력적인…….

아서, 잊어라.

분신자살 같은…….

잊으라니까. 폭력의 고리를 끊어내기 위한 폭력이라는 이해가 쉽진 않지. 드라마 속의 말이지만, 폭력만이 도움이 된다고 했어, 폭력이 난무하는 곳에서는.

뭐야?

잊으라니까. 넌 잊어.

고리가 끊겼나?

최근까지도 난쟁이 동네 이야기는 끊어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었다. 신도시 계획을, 계획이 있다는 것을 발표한 이래, 설왕설래하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좋자고 하는 일이니 당연히 기대하고 반기는 쪽이 있겠지만, 그 반대도 있다. 만일 그린벨트 지역에 신도시가 들어서게 되면 녹지만 없어질 뿐 기존 주민들의 삶을 더욱 피폐하게 만들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개발될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농민이며 영세한 가구들이 그곳을 떠나야 하는 것이 문제란다. 우리보다 어디로 가라고 하남요! 몇 억씩 갖고 새 아파트 못 산다고 아우성치는 젊은이들이 어째서 불쌍한가, 지어 준다 해도 못 사는 우리가 더 불쌍하제. 그런 말들이 텔레비전 화면에서 지나간다.

노후 아파트 단지 재개발의 경우에도 입주권만 가지고서는 새 아파트에 입주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상당수라는데……. 그러니까 행복동의 고리가 끊어 졌는가 말이다.

아니다. 아닌 것 같다. 동네 저쪽에도 아주 쇠락한 5층짜리 아파트에 내로라하는 건설의 재개발 조합원 모집 어쩌고 현수막이 걸린 지 오래다. 색이 바랄 지경이다. 그 앞 버스 정류장에 서 있던 여자들의 말소리가 들려온 적이 있다.

징혀, 열 두 집인가는 절대로 도장을 안 찍는다잫아.

열 두 집이 아니라 스물 두 집이라여. 이백 세대가 고 사람들 땜시에…….

꼭 그렇게 말할 거는 못 되제. 우리야 어찌다 봉게 고 돈이 됭게 말이제만. 아무케도 아들 덕이제. 근디 아조 노인들도 있잖여, 자석들도 노인들일 턴디.

그렇기는 허지. 놈의 집 아닌게로 이대로 살다 가먼 된다, 그러고 사는 양반들도 있겄제.

새로 입주권을 통째로 준다고 안 혔냐. 일원 한 장 더 안 보태고.

근디, 그 말이 사실일까. 쪼까 걱정도 되고이.

사람 참, 준다고 혔으니 주제이. 우리라도 흔들리지 말장게.

잘은 몰라도 재개발이 모두에게 좋은 건 아니라 했다. 조합인지 건설사인지에서 주겠다는 보조금 보다 조금 더 얹어 입주권을 팔게 되는 사람들이 꼭 나온다 하니까. 그럼 그들은 어디로 가나. 만일 오늘도 그렇다면 1978년의 아버지 ‘난장이’는 지금도 어디선가 굴뚝 위에 올라가서 죽는 것일까. 40년 세월, 강산이 네 번 바뀌어도 고착된 틀은 그대로다. 행여 더욱 견고해진 것은 아닐까.

『난장이가 쏘아올린 공』이 200쇄를 찍는 기록을 세웠을 때, 이어서 출간 30년엔가, 작가의 인터뷰가 특이했다. 소설가로서의 보람과는 무관한 말이었다. 아직도 그 책의 내용에 공감해야 하는 현실이 괴롭다고. 그 비슷한 말로. 내 말이. 세상이 어떻게 한 발도 더 나아지지 않는가 말이다. 그런데 그 소설가는 요샌 뭘 쓰나? 세상이 여전히 똑 같다면?

유명 소설가를 내가 걱정할 때가 아니다. 나 자신이 한심하다. 오늘 누수공사를 시작했으니 아직 며칠을 더 매달려야 한다. 집은 먼지투성이인데, 청소는 않고 옛 생각에 잠기다니. 하긴 바로 그 누수라는 단어 때문인 걸 어쩌나.

누수가 시작된 순간은 언제부터였을까. 내 인생 말이다. 청혼을 흘려들은 것은 귀나 청력 때문이 아니었음을 고백한다. 어느 순간부터 시작되었을 누수가 내 머리를 적시어갔고, 마음까지 견고함을 잃었을 것이다. 선배가 단순한 교양 교육이 아닌 S교육을 담당하는 대단한 사람임을 알게 된 순간이었을까. 나는 대단한 사람이 실은 두려웠다. 우물 안 개구리였던 나는 막연하게 작은 삶과 작은 행복을 꿈꾸었었다. 요즈음 말로 소확행이다. 그래서 요즈음 젊은이들이 소확행 어쩌고 하는 일에 신경이 곤두선다. 삶은 소확행으로 재단되어서는 아니되는 무엇이다. 살만큼 살고 보니 그렇다. 우리 아버지 보다 더 오래 살고 보니 확실히 그렇다.

강아지한테 미안한 말이지만, 누군가의 무릎에서 졸고 있는 강아지나 고양이에게는 소확행이 괜찮은 가치일는지 모른다. 어차피 누군가에게 소유되어 버렸으니까. 야생의 개와 고양이에게 하는 말이 아니라, 반려동물 말이다. 만일 요즈음 젊은이들이 소확생을 가치로 받아들인다면 그것은 그들이 구조의 신에게 소유되어버렸다는 뜻이 된다. 현상의 구조 앞에 무릎을 꿇었거나 외면한다는 말이다. 이 구조는 외면한다고 해도 거기 그대로 버티고 있을 것이고 더욱 강해 질 것이다. 그들이 이 구조에 굴한다면 더는 할 말이 없다. 그래도 하고 싶다. 그렇게 살고 나면 너무 허무할 뿐이라고, 너무 허무해서 감당하기 힘든 노년을 맞게 된다고. 노인이라고 해서 시시함과 허무함을 다 참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아차, 이 난리 통에 혼났겠네요, 남이 씨.

그이가 현관문을 열면서 뱉는 소리다. 신발을 벗을까 말까 어리둥절해 한다.

마침 수요일이었다. 수요일엔 신경과 유 원장이 오후 진료를 쉬고 교회 일을 보기 때문에 이비인후과 유 원장도 일찍 귀가하는 날이 많다.

거기선 그냥 신고 들어와요. 화분들 좀 보고, 이쪽으로 오면서 벗으면 되죠.

와, 남이 씨 청소 제대로 못해서 어쩌나. 이제 좀 잘 참으시나? 그런데 화분들 다들 괜찮겠지? 키가 큰 놈들 옮기느라 엄청 고생했겠네. 아니, 이건 비뚜로…….

거야 거실 천정에 닿을 거라서 그렇게 놔 둔거죠. 목을 자를 수도 없고.

이 가시들은…….

방법이 없어요. 그렇게 그렇게 놓아두는 수밖에. 저것들 다시 다 들여놓을 거냐고 아저씨들이 걱정들이던데요, 뭐.

웬 걱정들! 남이사.

그냥 할 말 없으니 하는 소리들이죠.

그러게. 나 씻을게요. 오늘따라 새삼 집밥이 그립네. 점심 메뉴가 카레였거든. 난 아무래도 조선밥 체질이라.

식탁으로 오는 그이의 손에 책이 하나 들려 있다.

배고프다면서요.

으응, 밥 먹고 읽으려고. 신경과 유박 말야, 재미있는 책을 많이 읽어. 이번엔 『동물 안의 인간』 그런 책인데 왜 동물들이 생각, 감정, 행동에서 우리랑 비슷한지 그걸 쓴 거야.

아, 시원 상큼하다.

연분홍빛 물김치를 들이키면서 그가 심하게 너스레를 떤다.

이건 또, 구이보다 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고. 부추가 편육에 어울리는 것 그런 걸 여자들은 어떻게 알죠?

새 밥도 못 했는데 뭘 그래요.

아, 무슨. 이렇게 메인이 훌륭하면 새 밥 아니면 어때서. 새 밥 했으면 많아서 못 먹죠.

먹는 것 마다 칭찬하는 것은 외교일까 작전일까. 그냥 생활인가 싶다. 공동생활의 노하우 같은 것일 게다. 그런 노력을 하지 않으면 머리를 장악하고 있는 화제가 터져 나오기 십상이다.

글쎄, 쥐가 사람 뺨친다네. 전기충격을 받은 다른 쥐를 보면 보는 것만으로 그대로 얼어붙어버린다잖아.

단순히 옆에서 보는 것만으로?

실험에선 그렇대. 암튼 쥐에게도 공감능력이 있다는 말이지.

쥐에게만 있나 보죠.

무슨 말이 그래요?

인간에게, 현대인에게 그런 공감능력이 있나?

대개는 있지요, 남이 씨, 왜 그렇게 까칠하세요!

아니, 쥐는커녕 파충류만도 못한 경우가 하도 많아서.

뭘 그렇게 평가절하하시나. 인지기능을 관장하는 대뇌피질은 인간 고유의 뇌기능이랍니다.

인지기능이 딱히 뭔데요?

가만 있자, 어째 구두시험 보는 느낌이네요. 보자, 인지라면 지식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조작하는 능력이니까……, 에이 관두고. 암튼 인간을 인간으로 만드는 것이 대뇌피질이라는 것인데, 그 신경세포가 얼마나 되는지 짐작이나 가? 140억이래, 믿거나 말거나.

그만, 그만. 인간도 동물이라면서 또 동물과 엄청 다르다니. 내 머리가 아프기 시작하는 소리 안 들려요?

아프면 그만 둘게, 질문을 하지 말던지. 머리 아픈 소리가 다 뭔데, 참!

머리 아픈 소리, 우지끈.

소리가 들려요? 상상력도.

동물 먹으면서 이야기까지 동물 하지 말죠. 소화 잘 되게.

동물 이야기로 소화 걸리는 우리 남이 씨, 어째야 좋을까.

내 저녁밥이 끝나고, 그러니까 설거지와 뒷정리를 마치고서 소파에 앉자 그이가 계속한다.

것 참 대단하네. 인간과 동물의 같은 점이, 아니 같다네 뭐. 기뻐하고 화내고 하는 것도 몸과 머리 반응이 인간과 완전 같다네.

그렇겠죠. 인간이 포유류니까요, 뭐.

포유류가 감정이입 능력은 물론 학습도 하고 의사소통을 한다는 건 알려져 있잖아. 그런데, 맙소사, 트릭을 쓰기도 한다네. 맘에든 암컷과 짝짓기 하기 위해서 대장을 따돌리는 협동이라니, 약한 놈들이 그렇게 상부상조도 하고. 심지어 개성도 있고, 똑부와 멍게 그런 차이가 있는 거래, 첨부터 개성이래. 또 인간성을 지니고 있다니, 동물의 인간성, 이상한 말인가?

개성이요? 인간성도? 감정이입을 인간적이라고 한다면 거야 그러겠네요. 개들의 감정이입능력 대단하잖아요. 주인의 무덤을 7년을 지켰다던가 뭐 그런.

그 정도를 넘는다니까. 쥐들이 알츠하이머를 피하는 방식이라거나, 모르모트가 사회적 스트레스를 피하는 법?

쥐가 알츠하이머에 걸려요? 그걸 예방도 하고?

뇌 구조가, 아예 기능이 같은 거라네.

알츠하이머 - 요즈음 들어 드물지 않게 듣는 단어다. 곧 죽는 질병은 아니지만 비가역적이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애매해서 사전을 찾아보았던 생각이 난다. 치료해도 이전 상태로 회복될 수 없다는, 그냥 치료 불가라는 뜻이다. 정말 질병인가 아닌가 질병코드도 찾아보았다. 있다, F00. 손가락 사전 참 좋다. 온갖 지식이, 세상이, 내 손안에 있소이다!

그런데 알츠하이머 등 뭐든 치매 같은 것을 앓게 된다면, 치매환자가 된다면, 이 시시함과 허무감 대신 가벼운 만족감에서 지낼 수 있으려나? 내가 벌써 신경세포 손상으로 지능, 의지, 기억 따위가 지속적으로 본질적으로 상실되는 그 병에 노출될 리는 없다. 생각만으로도 무섭다. 언젠가 지능이 떨어지고 기억이 사라지는 것 까지는 크게 손해될 것이 없다는 생각도 든다. 지능과 기억으로 특별히 해야 할 일도 없어질 테니까. 하지만 의지가 상실된다니! 의지가 상실된 상태 - 그런 일을 100퍼센트 피할 수 있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그러니 소확행인가. 그저 따뜻하게 그렇게 살라고?

소확행 - ‘갓 구운 빵을 손으로 찢어 먹는 것, 서랍 안에 반듯하게 접어 넣은 속옷이 잔뜩 쌓여 있는 것, 새로 산 정결한 면 냄새가 풍기는 하얀 셔츠를 머리에서부터 뒤집어쓸 때의 기분……’ 어느 일본 작가가 30년 전에 쓴 말이 이제 와서 한국에 퍼뜨려졌단다. 물론 그 자체로서는 기분 상쾌해지는 장면이다. 냄비에 갓 지어 고슬고슬한 밥에 섞박지 무 한 쪽을 얹어서……. 그런 안락한 순간을 말하자면 나라도 열 스물은 센다. 하지만 안식과 힐링, 그것도 젊은 나이에 안식과 힐링만을 구한다면 다들 늙은이야? 늙은이라고 해서 안식과 힐링만 구하하는 법도 없지.

일전에 동기들 단톡에서 누군가 말했었다.

젊어서는 눈 뜨면 무슨 일이 일어나길 바랐는데, 이젠 제발 아무 일 없기를 바라네.

뭐라? 아무 일 없기를 바라면서 눈을 뜬다? 그런 것 같기도 하지만 서글펐다. 아무 일 없기만을 바란다면 사는 것일까? 무엇하러 눈을 뜨나? 잠이 깨니까 일어나고, 배가 고프니까 먹고……. 그보다는 조금 더 무엇인가를 느끼고 싶었다. 느껴야 한다고 느꼈다.

여생이라고, 그런 단어는 없어. 없어야 해. 사는 날까지 생이지.

한 마디 보탰다. 손가락이 방정이다.

무안했을까? 활동성이 줄어드는 것은 활동성에 관해서만 맞는 말이다. 활동성이야 어림과 젊음과 늙음 사이 포물선을 인정한다. 하지만 생이라고 하는 것이 활동성이 전부는 아니다. 생은 소멸 전까지 생이다. 어떤 형태로든 생이다. 그렇게 긴 말을 쓰지는 않았다. 철학 하시네! 잘난 체는! 그 다음 말들이 미리 들렸다. 그냥 넘어가 주는 법이 없어요. 누구 무서워 말 올리겠냐. 언제부터 저리 ‘까탈스럽게’ 되었다냐. 귀가 아프다. 한 마디 보탠 걸 후회했다. 삭제하고 싶다. 맨날 이렇다. 말하고 후회하고, 또 잊고서 말하고 후회한다.

후회라는 것은 요상한 놈이다. 무엇을 하고서도 후회하지만, 놓아버려서, 아무 것도 하지 않아서도 후회한다. 사는 일에서 무엇인가가 새는 걸 막지 않으면 정말 낭패다. 새는 줄도 모르고 있다면 더욱 난감해진다. 대부분 몰라서 방치하게 된다. 알고도 모르는 척 살기도 한다. 현상유지가 중요할 때도 있다. 나의 현상은…… 언제부턴가 근처에 있었고, 남편이 되었고, 내 아이의 아버지가 된 사람과의 공동생활이다. 그 나름대로 안정된 수입과 화초 기르는 취미를 가진 남자다. 이이는 모가 나지 않아서 어디에고 부딪거나 그러지 않을 것이다. 혹시 그렇더라도 그리 크게 부서지지 않을 것임에 틀림없다. 의과대학에 다니는 학생들, 의대생들은 공부가 너무 부담되어서 S주의에 물든다거나 하는 잡념(?)의 기회가 적었을까. 오빠는 의대를 그만두었지만, 개인적인 문제였지 사회와의 갈등 때문은 아니었다. 그냥 내 생각이 그렇다. 오빠의 그 당찬 후배는 오빠의 맘을 알았는지 몰랐는지, 오빠의 상처를 아는지 모르는지. 그냥 의대 잘 마치고 성형외과를 개업해서 거의 떵떵거리고 산단다. 지방의대 출신답지 않게 강남에다 병원을 내는 배짱이 배틀의 성공이었다고! 연예인도 드나든다는 그 병원의 1㎡는 얼마나 값이 나갈까. 의대동문의 날이면 그 성공신화가 둥둥 떠다닌단다. 오빠가 그렇게 떵떵거리는 사업가(?) 아내와 살아간다는 상상은 불가능하다. 오빠가 의대를, 그 ‘후배’를 피해 달아난 것은 잘 한 일이었을 것이다. 누가 무엇을 선택하든 그것은 대개의 경우 잘 한 일이다. 무엇인가를 못 견디어서 피했거나, 무엇인가를 죽도록 좋아서 선택했거나 다 잘 한 일이다.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이란 시에 보듯, 가지 않은 길은 다만 동경으로 남을 뿐이다. 간 일이, 그러니까 걸어온 길이 잘 온 길이다. 무엇인가가 좀 빠져나간, 누수 정도의 상흔이면 좀 어떤가. 견디면 견디는 것이다. 만일 소금이 시멘트를 녹였듯 현재의 삶이 녹아내리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살림집 아파트가 낙원구 행복동 어딘가에서 날마다 올라간다. 간헐적으로 누수문제가 터지고, 성가시고 돈도 들지만 공사를 하면 막는다. 막아진다. 이 아파트는 아직 단단하다. 단단해 보인다. 더구나 앞 뒤 발코니 모두 누수공사를 마치면 거의 완벽해질 것이다.

내게서 새어나가는 것은 무엇으로 막을까. 내게서 새어나가는 것은 어쩌면 실존의 파편들이다. 미세한 파편이지만 끊임없이 새는 느낌, 이 느낌 때문에 말라간다. 누수의 정체도 모르면서 살아 있으면서 말라가는 나무다.

-------

PEN 문학 2019. 7.8월호 vol. 150  121~136쪽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수신문 2017 - 과분한 대접  (0) 2019.09.11
나무  (0) 2019.08.26
시베리아 아님 블라디보스토크  (0) 2019.05.09
발자국  (0) 2019.05.09
한 꼭지 - 편지, 메피스토에게  (0) 2018.03.15
Posted by 서용좌
English2018. 9. 29. 17:59

Between Heat and Cool

 

 

Written in English by Yong-Jwa Suh

Edited by Scott Findlay

 

 

It's hot!

Summer in Korea is hot and rainy. In late July this year, it is awful. Every day is a tropical night, in which the lowest air temperature does not fall below 25°C. And this year, it's been like that for a month!

 

Shit!

You are surprised at yourself. You never ever say those kinds of words, so it's strange. You look around everywhere, and fortunately, there is no one around. Yes, you have been home alone for many days. Nobody touches you. No one will blame you.

You pick up the crochet needle. You do some sort of homework, knitting or crocheting as a volunteer for a knitting club with the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At first, it began with learning how to knit and crochet. 'Learning and service' was the catch phrase. You could not accurately imagine what 'service' entails, but it must be related to giving those knitting supplies to people who need them. You just thought, knitting or crocheting will free you from your boredom.

You always need to do something that takes a long time without much effort. People say, 'time is money', but your time is worthless. You cannot stand the time without work. What people call 'free time' makes you puzzled and embarrassed. It does not take much time to eat, clean and wash. Time does not go by watching television.

This time crocheting foot mats is not easy. Pure cotton thread is thick and hard to pull. You have a sore arm and become impatient. You think about the speed of others. Whatever you do you want to be average at least. But your hands do not follow your will. That's life.

 

And August begins with the highest temperature ever recorded, 41 degrees Celsius at Hongchon County, located not in the southern part, but in the middle of the peninsula. The highest temperature ever recorded was 40 degrees C on August 1, 1942.

 

Wow! It's too much!

You look around everywhere, and this time there is no one, too. You stir your head. You do not know who you are talking to. You are frightened. Am I going crazy? It's because of the heat, this awful heat. No one can be normal in this scorching heat. You mumble alone. What was the highest temperature in the world? You check your cell phone, Hanie. She is the only friend who tells you almost everything you care about. - Periscoping is very useful, when you want to search rather than receive messages or even phone calls. - She answers: 'According to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s, the highest temperature ever recorded was 56.7 °C (134.1 °F) on July 10, 1913 in Furnace Creek (Greenland Ranch), California, USA.' Wow, about 20 degrees above the average human body temperature. It's really murderous. It would be murder! Soon we human beings will certainly die, yes, die out, just like the dinosaurs suddenly perished long ago.

You pull the thread with all your power. Oops! The thread is tied in a knot. You have to cut it and connect it again. Embroidery snips! You need it immediately, but it is not there where it's supposed to be. You hurry up and rummage through the balls of yarn. There is also a lot of cloth that you put on quilts these days. Ouch! Your fingertip sweeps over the scissors. It's your right index finger. Anyway, the tip of the scissors is sharp, and it is even an embroidery snips! Scissors are made of iron, so you have to remove blood from the wound to avoid tetanus. Tetanus is said to be a disease in which Rilke was stabbed by a thorn while trying to turn a rose to his lover. No, it's not true. Hanie shows, 'The leukemia which killed Rainer Maria Rilke had been almost reluctantly diagnosed.' So the tale about the myth concerning the onset of his illness was, even among his myths, the most absurd. Though it was true, that Rilke gathered some roses from his garden to honor a visitor, the Egyptian beauty Nimet Eloui. While doing so, he pricked his hand on a thorn. This small wound failed to heal, grew rapidly worse, soon his entire arm was swollen … and that was just a melancholy event more than a year before his death. You become embarrassed to play with the gossip story and run into the bathroom. Misfortune overlaps, and it is kind of Murphy's Law. You slip on the bathroom floor and support your body with your left arm. Shit! It hurts! Your wrist is definitely injured. You do not think it is hurt badly, but just let go of knitting crochet. So the evening comes, the night comes and a normal day will come.

But this time it is not normal. Your left wrist hurts severely and swells up, so that it is hard to wash your face. You have to run to the hospital early in the morning. Your wrist is fractured, says the doctor, and he puts a temporary cast on your left wrist from your hand to near your elbow. After two days, you need a full cast for six weeks or longer. You cannot do knitting homework anymore. You could not envy the speed of other members. The knitting club will work well without you, the slowpoke.

 

Summer is usually the season of cyclonic storms and monsoonal rains. But this year there was a severe runoff along with a heat wave. In August the late rainfalls are characterized by heavy showers, often exceeding 200 millimeters of rainfall in a day. On August 16, the 19th typhoon of the season, Typhoon Soulik developed and headed north; the news says it will penetrate the Korean Peninsula. In Jeju Island, two people were swept out to sea by the waves near a waterfall while taking pictures in the rainstorm. One has escaped from the sea by himself, but a female is missing. Sad news. The next day Soulik makes landfall over Haenam County near Gwangju where you live. The wind blows and blows again. If you go outside, your umbrella will be blown away. You will not even be able to open the umbrella, wearing a plaster cast on one arm. You do not go out to take pictures with one hand. Surely you will not die today. Counterfeit, the irony of fate. A broken left wrist is your luck.

 

Luck?

Since that damn cast on your left arm you are terribly bored. You wander in the living room and go out on the balcony. The weather suddenly gets cold after a long rain. How is the smell of oxygen? You try to hold the porch railing with both hands. You hesitate for a moment. Will the injured wrist hinder or help from leaping? You look back once at the knitting work that has stopped for weeks.

..........................

 

2018.11.30. Between Heat and Cool, 제4회 세계한글작가대회 기념 영문대표작선집

The Collection of Poetry & Prose in English to Celebrate the 4th International Congress of Writers Writing in Korean, The Korean, International PEN, 2018, pp. 501-503.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