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5.10.02 교수신문 - 서용좌의 그때 그 시절 (3) 밥 이야기
수필-기고2015. 10. 2. 15:52

 

무엇이 우리를 빌어먹게 만들었을까?
서용좌의 그때 그 시절 ③ 밥 이야기
2015년 09월 25일 (금) 11:40:14 서용좌 전남대 명예교수·소설가 editor@kyosu.net

밥이 제일 풍성한 한가위다. 대학에서 강의를 하며 살고, 그것도 붙박이 교수가 되면 어째도 밥은 먹는다. 20년을 그렇게 살고 나면 노후연금도 받을 수 있으니 철밥통 하나를 꿰찬 셈이 된다. 그래서 비아냥의 대상이 돼도 밥을 먹으니 어쩔 수 없다.

   
  ▲ 일러스트 돈기성  
 

노동 시간과 관련지어 생각하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교수에게 비호감을 갖는다. 일주일에 아홉 열 시간 강의를 하고 그 월급을 받다니! 가끔 천재적으로 아이큐가 높고 공부 효율성이 좋아서(?) 골프나 여행 같은 시간 많이 드는 취미를 가진 몇몇 교수들 때문에 더더욱 그런 누명을 쓴다.

그건 누명이 맞다. 우선 연구재단 등재지에 논문을 게재하기 위해서 흘리는 땀을 몰라서다. 등재지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거기에도 의무 탈락률이 ...

셋, 밥 이야기

밥이 제일 풍성한 한가위다. 대학에서 강의를 하며 살고, 그것도 붙박이 교수가 되면 어째도 밥은 먹는다. 20년을 그렇게 살고 나면 노후연금도 받을 수 있으니 철밥통 하나를 꿰찬 셈이 된다. 그래서 비아냥의 대상이 되어도 밥을 먹으니 어쩔 수 없다.

노동 시간과 관련해서 생각하면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교수에 비호감이 된다. 일주일에 아홉 열 시간 강의를 하고 그 월급을 받다니! 가끔 천재적으로 아이큐가 높고 공부효율성이 좋아서 골프나 여행 같은 시간 많이 드는 취미를 가진 몇몇 교수들 때문에 더더욱 그런 누명을 쓴다.

그건 누명이 맞다. 우선 학진 등재지에 논문을 게재하기 위해서 흘리는 땀을 몰라서다. 등재지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거기에도 의무 탈락률이 있고 보면, 2000쪽 독서를 하고 초벌 200쪽을 썼다가 예닐곱 번의 수정 과정을 거쳐서 20쪽으로 촘촘하게 써낸 논문도 탈락의 수치를 겪을지도 모르는 불안감을 떨칠 수 없이 살아가기 때문이다.

그렇게 소위 밥을 먹는다. 자유시장경제 사회에서 - 나는 신문의 경제면 이해도가 엉망인 약점이 있으므로 비슷한 뜻으로 읽어주기 바라며 - 태환권을 획득하는 일은 성스럽고도 소중한 일이다. 인간적 굴욕을 가족이나 돌봐야 할 사람들의 밥을 위해서 감내하는 것이야 말로 위대한 일 중 하나다. 상사에게 모욕적인 언사를 듣는 것은 애교요, 구둣발에 정강이가 까이는 일까지도 놀랄 일은 아니었다, 과거에는. 대학사회라고 아주 예외는 아니었다, 과거에는. 군인들 세상일 때 어딘가 끌려가서 각목을 낀 채 무릎을 꿇리고서 피눈물을 흘렸다는, 지금은 고인이 된 교수도 있었다. 거기에 비하면 총장직선제를 폐지하라는 압박이나 출석부까지를 감사 대상으로 해서 교수를 모욕하는 일 정도는 그것으로 밥을 먹으니 참아야할 일이라고?

미안한 말이다. 밥이 없으면 죽지만 밥만으로는 살 수 없는 것이 인간이다. 유럽연합 골칫거리가 된 그리스의 자살률은 100위권을 훨씬 넘고 10대 수출국 중 하나라는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세계 2위라니 무슨 말인가. 밥과 자살률은 크게 상관관계가 있어 보이지 않는다. 대중은 빵과 서커스로 통치할 수 있다는 정치권의 유구한 지배논리에도 밥 아닌 뭔가를 안겨주려는 꼼수가 들어 있다. 궁극적으로는 지배를 목적으로 하면서도 그 두 번째 무엇을 고려했다니! 어떤 변이로서 말해도 물질 아닌 정신적 무엇이다.

정신을 저당 잡히고 - 그렇게는 못 산다. 살더라도 사는 것이 아니다. 밥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가장 비굴한 자세 가운데도 변명의 숨구멍이 있어야 산다. ‘나라’가 창조경제로 만들어준 밥을 먹고 살지라도, 굴종할 필요는 없다. 밥은 원래 있어야 할 것이었으므로 땅위에 살아가는 사람의 일종의 권리다. 밥에 접근권한이 줄어들어 빌어먹는 기분이라면 권한이 줄어든 과정에 문제가 있다. 거꾸로 말하면, 너무 많은 밥을 제 것으로 갖는 것이 좋은 - 여기서는 ‘선한’ - 일은 아니라는 것이다.

단적인 예가 있다. 세계 71억 인구 중 8억 이상이 기아상태라는데, 유엔식량기구에 의하면 오늘날의 농업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총 식량은 120억 인구가 먹고 살 수 있는 양이란다.(장 지글러, 2014) 식량이 거의 절반이나 넘쳐나는데 굶어죽는 사람들이라니! 이해가 안 되기는 국내 사정도 마찬가지다. 창군 1954년도에 불과 30배 차이였던 일병과 4성 장군의 봉급 차이가 50년 지난 오늘날엔 무려 279배로 높아졌단다.(임종인, 2004) 발전되어온 사회라는 표현이 맞는가. ‘열정페이’라는 이름의 노동수탈이 국가가 경영하는 군대 내에서도 자행된다, 애국심이라는 이름으로.

교수는 교육이라는 밥값을 해야 한다. 인간은 교육받으려고 태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함께 잘’ 살자는 취지에서 조화를 이루도록 교육할 필요가 생겼으니까. 그러나 교수는 밥 눈치 보느라 권력자와 자본의 입맛에 맞춰 학생들을 마구 휘어지게 할 수는 없다. 우리는 돈에 의해서 평가 될 것을 알고서 세상에 태어난 것은 정말 아니니까.

사회는 최고의 가치를 그 구성원인 우리가 선택하도록 열려있는데, 깃발에 새겨진 글자 ‘돈’은 여전히 위력을 떨치고 펄럭거린다. 밥에 저당 잡혀서 깃발에 다른 바람직한 가치를 적어 넣는 일을 저어하고 있기 때문이다.(끝)

 

 

교수신문 9.25.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