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기고2017. 3. 7. 14:54

 

말 아닌 ‘소리들’만 넘쳐나 … ‘하얀 돛’ 만날 그날은?

서용좌의 그때 그 시절 22. 테세우스의 돛
2017년 02월 20일 (월) 10:30:43 서용좌 전남대 명예교수·소설가 editor@kyosu.net

제발 하얀 돛을 달고 돌아와다오!

고대 아테나이의 아크로폴리스 언덕, 아이게우스 왕은 아들 테세우스가 괴물 미노타우루스를 무찌르기 위해서 크레타 섬으로 떠난 뒤 하염없이 바다를 바라본다. 운명은 야속하여 승리의 기쁨 속에 생환하는 테세우스의 배에 검은 돛이 나부끼고, 아들의 죽음을 확인하기에 앞서 왕은 절벽 아래 푸른 바다로 뛰어들고 만다. 푸른 에게해의 전설이다.

 

탄핵소추의 배는 어떤 색깔의 돛을 달고 돌아오려나. 제발 하얀 돛을 달고 와다오! 살아오면서 검은 돛을 달지는 말아다오!

 

특검이다 헌재다 하는 비일상적인 단어들이 일상이 돼버린 오늘, 우리의 삶은 뒤바뀌고 오리무중인 것들로 불투명하기 그지없다. 특히 말이 의미내용을 담지 않고 소리에 불과한 경우가 다반사니, 말과 소리의 구별이 참으로 어렵게 됐다. 그런데도 말을 귀에 담고자 뉴스에 신경이 꽂힌 나날이다. 민낯이 다 들어났는가 싶으면 또 터지는 끝이 없는 진창 속, 그 속을 그만 보고 싶다. 무서운 장면이 나올까 봐서 두 손으로 눈을 가리는 아이의 심정이다. 물론 아이도 손가락 사이를 엉성하게 벌려서 볼 것을 어차피 본다.

그래서 아프다. 많이 아프다. 하지 않았어야 할 일들이 믿기지 않을 만큼 산더미로 드러나는 가운데, 유독 아무 것도 하지 않은 날이 눈에 띈다. 2014년 잔인한 4월 그날, 바닷물과 관련된 개인적인 트라우마 때문에 가능하면 회피해왔던 주제, 세월호 그날. 

 

   
  ▲ 사진출처= 청와대 홈페이지  
 

“그날 저는 정상적으로 이 참사, 이 사건이 터졌다 하는 것을 보고 받으면서 계속 그것을 체크를 하고 있었어요. 보고를 받아가면서.”

 

이 문장을 외다시피 하면서 생각에 잠긴다. 주어는 대통령이다. 대통령은 보고 받으면서 계속 그것을 체크를 하고 있었다. 보고를 받아가면서. 끝. 여기에 주어의 행동은 없다. ‘보고 받는다’는 행동이 아니다. 보고를 받고 나서 취하는 행동, 그것이 행동이다. 더 정확히 말하면 그것도 반응에 불과하다. 그러니까 거의 종일을 행동은커녕 반응도 내지 않으신 우리 대통령은 어물쩍 오보 탓을 하신다.

 

“그날 참 안타까웠던 일 중의 하나가 ‘전원이 구조됐다’ 하는 오보가 있었어요. (중략) 전원이 구조됐다 그래 갖고 너무 기뻐서, 아주 그냥 마음이 아주 안심이 되고, 이렇게 잘 될 수가 있나, 너무 걱정을 했는데, 그러고 있었는데 또 조금 시간이 흐르니까 그게 오보였다 그래 갖고 너무 놀랐어요.” 

 

대통령은 오보가 있어서 아주 안심이 되었고, 조금 시간이 흐르니까 오보라고 해서 너무 놀랐단다. 정상적으로 보고를 받아가면서 안심했다가 놀랐다. 그것이 골자다. 보고를 받는 것이 행동이 아니듯, 놀랐다는 것도 행동은 아니다. 

그날 아침 9시 19분 ‘500명 탄 여객선 조난 신고’라는 긴급속보가 떴던 그날, 오장육부가 있는 사람이면 누구라도 텔레비전에서 눈과 귀를 떼지 못했다. 11시 좀 지나서 학생들 전원구조라는 보도에 안도하다가 곧 다시금 지옥으로 빠졌다.

 

그날, 중요한 사실이 있다. 청와대는 해경본청과의 교신으로 정보가 정확하고 빨랐다. 11시 29분 청와대는 해경에 말했다. “(구조인원이) 161명이면 나머지… 거의 300명이 배 안에 있는 거 아닙니까. 바깥으로 떠 있는 게 없으니까.” 사고의 실체를 청와대는 정확히 알고 있었다. 그럼 대통령은?

오보라는 단어는 도피의 함정이자, 말이 아닌 소리에 불과하다. 그날 그 참사에도 불구하고, 오보 때문에 점심도 편하게 드시고, 오보 때문에 판단이 늦었을 뿐, 재택근무를 하며 ‘정상적으로’ ‘보고 받으면서’ 할 일을 다 하고 있었다는 소리에….

 

갑자기 오리털 이불에 난 구멍에 얽힌 우화가 생각난다. 옛날 서양 이야기다. 부지런한 할머니들은 날마다 오리털 이불을 창틀에 걸쳐놓고 빗자루 같은 긴 막대로 두들긴다. 밤사이의 먼지도 털어내고 오리깃털에 공기가 다시 들어가서 보송보송해지라는 것이다. 그런데 하루는 두들길 때마다 구멍으로 오리깃털들이 날아올랐다. 할머니는 구멍을 찾아냈다. 이를 어쩌나! 어떻게 이 구멍을 없애나! 할머니는 궁리 끝에 구멍을 잘라버리기로 했다. 큰 가위를 들고 와서 구멍을 싹둑. 그런데….

 

구멍은 자를수록 더 커진다. 잘못도 변명할수록 더 커진다. 그날의 행적정리에 따르면, “공식 일정도 없고 신체 컨디션도 좋지 않았기에” 관저에 있었다는데. 만일 대통령이 재택근무가 아닌 출근근무를 했더라면…. 가정은 가정일 뿐이다. 바라건대 더 많은 사람들이 구조됐을까. 아니, 선원들만 구조한 ‘나쁜’ 해경들 때문에 여전히 많은 학생들이 수장됐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그런데 행적정리에는 참상을 인지한 직후에 어떤 조처도 나타나 있지 않다. 그 빈자리에서 괴소문들이 자라는 것이다. 그 괴상한 단어들을 어찌 차마 입에 올려서 스스로 인격이며 국격을 송두리째 내동댕이칠 수 있는지. 그날, 11시 29분 ‘거의 300명이 배 안에 있는 것’을 해경에게 확인한 ‘청와대’의 입은 누구의 입인가. 청와대가, 곧 대통령이, 그것을 알고도 즉시 마땅한 적극적인 행동을 서두르지 않은 죄 그것 하나, 결과와 상관없이 부작위의 죄 그것 하나가 문제다.

 

그날, 하필 그날에는 ‘컨펌’을 빨리 못 받았을까. 누군가에게서 컨펌을 받는 국가원수라는 이미지는 어떤 단어로도 설명되지 않는다. 명목상 여전히 국가원수이면서 공영방송도 아닌 일인매체로 국민을 만나려는 처사(處事)는 국어사전에서 죄의식 또는 품격이라는 단어가 증발해버렸는가 의심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품격은커녕 논리도 없는 변론들은 말이 아닌 소리들로 넘쳐나니, 최고 수준의 지성과 판단력을 갖추었을 대리인단의 심사(心思) 또한 의아할 뿐이다.

 

눈이 그치듯, 언젠가는 비바람도 그칠 것이다. 우리는 곧 기다리는 하얀 돛을 보리라. 예전에 시인 김수영이 말했던 “시인이 모기소리보다도 더 작은 목소리로 아무도 하지 못한 말을 시작하는” 그런 날을 위해서, 하얀 돛이여, 어서 오라!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