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로이2014. 2. 26. 00:34
2014년

 

새해가 되면서 아이들이랑 즐거운 며칠을 보냈다.

 

 

 

 

 

 

세배 후 아이들이 무릎에.....

 

 

 

 

 

공교롭게도 설날이 양력 생일이었다.

먼 데 아들 며느리는 목소리만 들려줄 수 있을 뿐,

조금 먼 데서 와서 생일상을 차려준 대표 아들 며느리에게 고맙다.

푸짐해 보이는 지중해 식 샐러드와 잡채, 나물들, 무엇 보다 시루떡....

채식주의자의 상이지만 푸짐하다.

 

 

 

 

 

생일의 큰 기쁨은 역시 손녀들의 카드 - 열한 살 우빈과 여덟 살 성빈 차례대로.  

 

 

 

 

 

 

 

 

 

성빈은 서울에서 만들어 둔 카드를 잊고 가져오지 않아서 급히 만든 것이란다.

언니는 한 시간도 넘게 만들었다고 설명을 덧붙인다.

우빈의 카드는 정말 정성이 넘쳐난다. 아직 아이인데, 정성들인 시간이 기특하다.

 

 


 

 

 

참, 잊은 것이 있다. 지난 결혼기념일에 조카 윤정이 직접 만들어 보낸 케이크.

보기도 예쁘지만 녹차 가루를 넣었다는 맛이 일품이었다.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3. 12. 17. 09:03

 

국제펜광주지역위원회 - 2013년도 총회

 


 

2013년 12월 14일 빛고을국악전수관 공연장,

총회와 국제펜광주문학상 시상에 이어 펜 한가족의 밤 행사가 있었다.

해마다 비슷한 행사였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신임 회장에 선출된 것!

 

 

 

 수락 인사말씀 - 오른 쪽에는 2부 펜문학수장자들 오소후 , 전숙

 

 

  국제펜광주지역위원회 회장 수락 인사말씀

 

  오늘 2013년 12월

  광주전남 문단사에 아는 것보다는 모르는 것이 백배나 많은 제가 감히 이 자리에 선출되어 수락인사말씀을 드리게 된 것을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우리 국제펜광주광역시위원회는 오늘 『펜광주 11호』 발행이라는 역사를 지니고 있고, 오늘까지 10회에 걸쳐 14분의 국제펜광주문학상 수상자를 내었고, 또 무엇보다 15회의 영호남문학인교류활동을 추진해오고 있는 등, 명실공히 한국 문단에 확실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단체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대단한 단체를 문단 경력도 짧고 사회성도 부족한 제가 한 동안 노를 저어가야 한다고 생각하니 걱정만 앞섭니다.

  돌이켜 보건대 국제펜광주지역위원회는 저에게 글쟁이로서의 글을 안내해주고 격려해준 유일무이의 단체였습니다. 서생으로 살던 제가 제 글쓰기에 홀렸을 때 저는 처음 무작정 국제펜에 가입하고 싶었습니다. 글쓰는 사람이면 당연히 국제펜에 가입해야한다고, 연대의식을 가지고 글을 써서 어떻게든 사회에 작용해야 된다고 믿었습니다. 소원대로 국제펜한국본부와 국제펜광주광역시위원회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작품발표는 물론 2012년 가을에는 경주에서 열렸던 국제펜인터내셔널 대회에 일주일간 참석할 수 있었으니, 첫 꿈은 달성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무거운 짐으로 돌아올 줄은 몰랐습니다. 오늘 걱정은 말로 다 표현할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일당백으로 애정을 쏟아내어 국제펜광주를 지켜오신 우리 회원 문우 여러분들, 온갖 정열을 다 바쳐 그 기틀을 잡아 올려놓으신 김종 명예회장님과, 전 작품 한영대역이라는 전무후무한 회지를 발간해 오신 김영관 회장님의 혁혁한 활동들을 어떻게든 이어가야 하는 자리에 서게 되었지만, 그 어느 것도 장담은커녕. 마치 다음 훌륭한 집행부가 성장 중에 있기 때문에 임시로 수렴청정이나 맡아야하는 기분으로, 어제와 내일을 잇는 딱풀의 기능이라도 해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비겁한 심정으로 여기에 섰습니다. 미래의 집행부가 성숙하면 곧 자리를 떠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비겁함을 이겼기에 감히 이 짐보따리를 맡게 될 모양입니다.

  존경하는 회원님들, 문우 여러분들, 부디 여러분의 국제펜광주지역위원회에 지니신 애정을 속에만 담아두지 마시고 적극 발휘하시어 이 딱풀 집행부가 굳어버리지 않게 감시도 하시고 도와주시면서 내일을 기약하시게요, 고개 숙여 부탁드립니다.

  잊지 마셔요, 오늘의 집행부와 함께 하셔야 여러분의 내일이 기다립니다.

  감사합니다.

                                                                            2013년 12월 서용좌

 

 

펜문학 수상자 전숙 -

전남여고 42회 후배이자 중학교 시절 내가 잠깐 영어 선생님이었으니 제자이기도.

윤숙희, 김미석, 허만진, 황인미, 전숙..... 김상현, 조숙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3. 12. 12. 22:52

 

서용좌 작가 ‘광주문학 올해의 작품상’
광주문인협 내일 시상식

2013년 12월 11일(수) 00:00 광주일보
 

광주문인협회(회장 노창수)가 주최하는 제26회 광주문학상 시상식과

제6회 광주문학올해의작품상 시상식이 12일 오후 6시 용산동

삼영웨딩홀에서 열린다.

광주문학상 수상자는 시 부문 조숙형·이춘배 시인이, 시조 부문 김산중 시인이,

수필 부문에는 탁현수 씨가 선정됐다. 그리고 광주문학올해의작품상 수상자는

서용좌 작가(전남대 독문과 명예교수)가 선정됐다. 작품은 ‘광주문학’ 66호에

실린 ‘포이동 266번지’.

한편 이날 시상식에는 시낭송 및 광주문학인의 밤 행사도 함께 열린다.

문의 062-227-0811.

 

 

 


제26회 광주문학상 수상자 선정

2013년 12월 11일(수) 무등일보



 

 

 

 

 

 

 

 

 

 

 

 


 

 

 

 

 

 

 

          조숙형·이춘배·탁현수·김산중·서용좌씨

조숙형·이춘배 시인이 제26회 광주문학상 시 부문 수상자로 선정·발표됐다.

광주문인협회(회장 노창수)는 10일 올해 광주문학상 시 부문 수상자로 두

시인을 선정했다. 수상작은 조숙형 시인의 시집 '붉은 카펫', 이춘배 시인의

시집 '하얀 강 푸른 별이다.
또 수필 부문에 탁현수 수필가의 '조화를 위한 조율', 시조 부문에 김산중

시인의 '무돌길 따라'가 수상작으로 확정됐다.
올해의 작품상에는 소설가 서용좌씨의 '포이동 266번지'로 결정됐다.
시상식은 오는 12일 오후 열린다.

 

 

 

 

 

 

 

 

 

 

 

 

 

 

 

 

 

 

 

 

  수상

  인사

 

 

 

 

 

 

 

 

 

 

 

 

 

 

 

 

 

 

 

 

 

 

 

 ▼

  

   ▼

광주문학 올해의 작품상 수상 인사말씀

......................................................................................................................

  우선 늦어서 죄송합니다. 피치 못한 사정이 하필 오늘에 중복되어 이제야 여기에 이르렀습니다. 못 오는 것은 정말로 예가 아니다 사료되어 불참대신 지각을 무릅썼습니다. 용서하십시오.

  오늘 2013년 12월 12일, 오로지 글쓰는 일에 전념해 오신 동지 여러분들 앞에서 부끄럽게도 가르치기와 글쓰기라는 이중 얼치기 생활을 해왔던 제가 감히 이 영광스러운 상을 받게 되어 어리둥절하면서도 한껏 기쁩니다.

  이 상은 아마도 제 글쓰기에 대한 상이 아니라 꼭 써야 할 것을 썼기에 주시는 상으로 알고 있습니다. 광주문학 2013년 봄호, 통권 66호』에 기고했던 「포이동 266번지」는 사실 저로서는 혼신을 더욱 기울인 작품이었습니다. 포이동 266번지, 지금은 공식적으로 개포4동 1266번지, 속칭 재건마을을 아십니까. 이곳이 주목을 받은 것은 2011년 6월 그곳의 화재 때문이었습니다.

  1981년, 자활근로대란 이름의 45명을 이주시켜 경찰을 지도관으로 두어 통제하던 곳, 나중에는 베트남 참전 상이용사들, 양재천 주변의 넝마주이들을 이주시키면서, 매번 “이곳이 당신들이 살 터전이다.”라고 약속했던 정부와 강남구청은 포이동 266번지 주민들을 배려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니까 재건마을에 화재가 나서 총 95가구 중 75가구가 전소했지만, 화재 후 몇 달 씩 수거물을 방치해둔 채 임대주택으로 이전을 종용한답니다만, 지금도 마찬가지, 임시로 보증금 300에 월세 6만원을 낼 형편이 안 되는 사람들. 누가 어떻게 무슨 돈으로 신축하련다는 임대주택으로 이주를 할 수 있겠습니까?

 

  그런 상황에서 떠올렸습니다. 제가 공부했던 대로 문학의 스승격인 독일 작가 고 하인리히 뵐의 외침을 기억해냈습니다. “문학은 분명코 사회에 의해 쓰레기로, 경멸적이라 선언된 것만을 그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라던 경구를 잊지 말자고. 사회에 의해 쓰레기로 선언된 것, 또는 경멸적으로 간주된 것을 그 고결성에서 규정지을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이 작가의 글쓰기라는 사실을 잊지 말자고.

 

  그러니 오늘 이 상의 의미는 포이동 266번지 사람들과 함께 하겠습니다. 오늘 여러 회원들께서 스치고 읽지 않으셨던 포이동 266번지」를 이 상을 계기로 다시 찾아 읽어주신다면, 그것으로 이 상의 의미는 되었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더욱 열심히 정신하겠습니다.

 

                                                                             2012년 12월 서용좌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