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로이2013. 11. 17. 13:01

 

 

우빈과 성빈이 예인피아노학원에서 발표회를 가졌다.

 

 

우빈이 곡명 : <하차투리안 소나티나 No. 3, 3악장>

http://youtu.be/mVk0fun8oIo

 

 

성빈이 곡명 : <눈송이 래그타임>
 http://www.youtube.com/watch?v=WynJiwZTMVw

 

 

우빈은 사정을 다 이해하지만,  

성빈은 왜 할머니 할아버지가 올 수 없느냐고 '따지듯이" 졸라댔다.

하지만 11월 8일이면 서울 다녀온 일주이로 안되는데다가 9일에 일이 있었다.

생전 처음으로 세 가지 일이 한꺼번에 -

그중 마지막이 이동원과 장사익 음악회에 초대받은 일이었다. 

 

                  ▼

                             

                         

 

 

가을 비가 주룩주룩 내렸고,

살아있는 자매들 넷, 나부터 민, 진, 희 - 배려가 넘쳐 병(?)이라는 민이 남편이 기사와 기사를 담당했다.(카발리에와 드라이버) 

 

넷의 공통점 - '용'자를 이름에 지니고 있고,

                  박수를 치지 않았고,

                  2G를 쓰며 활영도 하지 않은 것.

 

진이의 후회 : "심장에 남은 사람"을 녹음하지 못한 것!

                             

 

 

 

 

 

긴 어디에서 그런 노래를 들을 기회는 없을 것이다.

우리 같으면 '가슴에 남을' 사람을 병원에서나 쓰는 '심장'이라 하니까.

사람이 '귀중하다'?

우리는 사람에게는 그렇게 쓰지 않고 물건을 귀중해 하니까. 

 

 

나는 <또 기다리는 마음>을 서럽게 서럽게 들었다.

정호승의 시에서 과거형을 현재로 바꾼 의미도 아프게 다가왔다. 

 

 

<찔레꽃> - 장사익은 이 노래를 위해 태어난 것일까?

               육신이 없는듯 가볍고 비장하기가 어떻게 가능할까?   

               그래도 그 사이 나는 다른 찔레꽃 가사를 떠올렸다.     

 

 

<봄날은 간다> - 이동원, 장사익 두 소리로 들었다.

                     이 노래는 이동원이 불러야 하는가?

 

이동원 - 속 없이 말하자면 그가 또 무대에 설까?

그의 흔들거리는 건강이 염려되어 다시 한 번 볼 수 있기를 희망했다.

 

 

       

 

 

                         

 

 

'사사로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무 것도 못 하고 안 하고  (0) 2014.06.07
2014년 시작  (0) 2014.02.26
손바느질 인형만들기  (2) 2013.11.17
외할머니 묘소 - 고창군 하고리 왕버들나무숲  (0) 2013.11.02
일고 58회 홈커밍  (0) 2013.10.15
Posted by 서용좌
사사로이2013. 11. 17. 11:31

 

 

2013.10.31. -

이화독문과 행사를 마치고 우빈-성빈을 만났다.

늦은 저녁이라 잠옷 차림이었지만 할머니를 위해 할로윈 포즈를 취해준다.

 

 

 

    

        요렇게 귀여운 아이들 때문에 인형 만들기를 

                                   서둘렀다, 서둘러야 했다, 서둘고 싶었다.

 

 

 

 

 

 

미국에 살고있는 수빈은 가을부터 5학년(우리나라에선 4학년)  - 안경을 썼다.

우빈은 돼지엄마 인형 때부터 연초록을 좋아한다.

꼬마 성빈은 아무래도 발랄한 빨강을 선택했다.

이 인형들의 특징은 달도르프 인형의 얼굴이라는 것,

그리고  솜싸개를 제외하고 한땀한땀 손바느질을 했다는 점이다.

 

                -  아이들아, 그리 예쁘지 않더라도 사랑해주렴! 이름도 지어주고!

 

 

 

 

 

 

 

 

 

 

 

 

 

 

이건 할아버지의 인형이다.

"그럼, 나는?"

인형들 셋이 손녀들 것이어서 떠날 것을 알게되자, 할아버지가 말했다.

할머니는 4번째 인형을 만들었다. - 서재 지킴이가 되었다.  

 

 

 

 

 

 

 

우빈이에게 약속했다, 인형 옷 한벌을 더 만들어 주겠다고.

 원피스 만들고, 앞치마 만들고, 완성된 것이 맨 아래

                 ▼

 

 

 

 

 

 

 

 

 

 

 

 

 

Posted by 서용좌
독문학2013. 11. 2. 18:18

 

 

이화여자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창립 50주년 기념

 

 

 

 

 2013.10.31. 늦은 5시

 이화여자대학교 ECC관 이상봉홀

 

 

 

 

 

 

                                                                                            이화뉴스에서 펌

 

  의자 줄: 나(1회), 남재은(2회), 이정화(8회), 이난희 교수, 이병애 교수,

             김선욱 총장, 김영호 교수, 조종남 회장, 이재돈 학장, 차범근 내외.

  왼쪽: 맨 앞 최민숙 교수(5회), 다음 엉거주춤 박종재 아나(40회), 끝 유현자(18회).

 

 

 

 

 

   1회: 나, 김영애, 정수자(대구), 이병애 교수님, 김영호 교수님, 민용자, 김경희

식사 끝이라서 미리 간 친구들도 있어는데...

 

 

       

         답사 - 서용좌(1)

 

          이화뉴스에서 펌

  공로패 증정

 - 이정화 동창회장(8) to 남재은(2), 민용자(1)

 

 

 

답사: 추억의 인사말씀 -

 

  2013년 시월의 마지막 날, 우리 이화여자대학교 독어독문과 창설 50주년을 맞아, 이렇게 여러 귀빈들 와주시고, 김선욱 총장님, 이재돈 학장님, 또 조종남 총동창회장님께서 축하말씀들 해주셨으니, 졸업생의 한 사람으로서 감사말씀 밖에 더 드릴게 없겠습니다. 특히 오랜 시간과 공을 들여 이 자리를 준비하신 독문과동창회 임원 여러분, 지켜봐주시고 격려해주신 독문과 교수님들, 모든 분께 깊이 감사드리며, 멀리에 산다는 핑계로 힘 되어드리지 못해 죄송한 마음입니다.

   우리 동창회장님께 듣기로는, 오늘 제 역할은 독문과 초창기 추억이나 풀어놓는 것쯤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렇게 중후한 분들의 뒷순서인 것을 몰랐다가 조금 염려스럽습니다.

 

  1963년 새 봄, 우리들 열여덟 아홉 살 소녀들은 고만고만한 꿈들을 안고 이화 교정에 들어섰습니다. 선배도 없는 독문과 신입생들의 낯섦. 낯설고 서툴기야 어디 그 봄부터였겠습니까?

 

  기억은 어쩔 수 없이 개인적으로 저장됩니다.

  입학시험 치르던 꽁꽁 언 겨울, 지금 보아선 아기자기 아름다운 캠퍼스는 당시 초중고 12년을 코앞에서 걸어 다녔던 시골아이의 눈에는 거대한 미로에 다름없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점심시간 후 다시 시험장을 향하다 처음 오르막길에서 운동화 끈 한쪽이 풀리고 말았으니 낭패였습니다. 미욱한 성정에 끈을 매고 가는 것과 그냥 좀 천천히 걷는 것 사이를 고민하면서 터덕거리며 고사장 문 앞에 이르렀을 때는 사방은 쥐 죽은 듯 시험이 한창이었죠. 그때 갑자기 시커먼 문이 열리고 하얀 얼굴이 나타났습니다. "학생, 여긴가요?" 하시면서 열린 문 사이로 빈 책상을 가리키시며 들여보내주셨습니다. 시험지를 뒤집어 글자들을 올려놓으시며, 어서 쓰라고 하셨습니다. 감동의 눈물이 눈을 가렸고, 시험지는 뿌옇게 변했습니다. 하필 전공과목 독일어였는데, 1번 문제 ‘voll의 반대말’ 고르기부터 틀렸습니다.

 

  그렇게 저는 김영호 교수님의 너그러움 덕택으로 이화독문과 식구가 되었습니다. 선배가 없어도 우리는 잘 자랐습니다. 무감독시험으로 학점을 주셨던 특별한 경험까지, 우리를 무한정 신뢰해주셨던 고 한영기 교수님, 고 강희영 교수님, 저 개인적으로는 석박사과정까지 배우면서 전부를 다 베껴먹어 고맙고 죄송한 이병애 교수님, 대학원 시절 만난 양혜숙 교수님, 또 이난희 교수님…… 다시 50년 전으로 돌아가자면, 여름에도 까만 스카프를 쓰고 신입생 우리들에게 독일어로 말을 걸어서 정신 번쩍 들게 하시던 고 전혜린 선생님, 사상계에 『북간도』를 연재하시면서 교양국어를 가르쳐주신 소설가 고 안수길 선생님, 그리고 구약성서에선 배울 것이 없노라고 버릇없는 리포트를 써내도 괘념치 않으셨던 기독교문학 교수님들…… 그분들 모두는, 병아리도 닭도 아니었던 우리를 성인으로 성장시켰습니다.

 

  우리는 이병애 교수님의 독일어발음이 시냇물소리 같다고 느꼈기에 ‘시냇물 Bächlein’이라는 이름의 스터디그룹도 만들었고, 그 친구들을 50년 동안 만나며 살았고, 오늘 이렇게 여기 모여 뿌듯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다만 한 가지, 예서 하던 대로 공부만 하며 살면서, 주변을 돌보지 못하고, 저 자신만 무탈한 삶을 살아버린 것에 대한 후회는 남습니다.

 

  삶을 살기 - 인간의 특성 중 하나가 강한 적응력이라고 합니다. 적응력은 인간을 지구상의 생물체들 가운데 우뚝 서게 만들었지만, 그것은 무조건적인 적응은 아니었다고 생각됩니다. 우리가 적응해야할 세상이 그럴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회의가 없었더라면, 인류는 오늘의 문화에 이르지 못하고 한낱 약육강식의 동물계에 파묻혔을 것입니다. 추구해야 할 가치에 대한 끊임없는 의문 - 그것만이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동인이라고, 여기 이화독문과에서 배웠습니다.

 

  이제 우리가 언제 어디에서 또 만나서, 우리의 젊은 날의 고향 이화 캠퍼스와 독어독문학과 시절을 추억하게 될지 기약 없으나, 내빈 여러분, 존경하는 스승님들, 사랑하는 동기들과 후배 여러분들의 앞날에 하늘의 은총이 가득하기를 기원하면서, 이쯤해서 어눌한 추억의 말씀을 마치렵니다. 감사합니다.

1회졸업생 서용좌

 

 


[부록]

 

 이병애 교수님께서 찍으셔서 가져오신 사진 -

 2010년 김영호 교수님 팔순 때  

 

 여겨 볼 것 - 3년 전의 내 옷, 자세히

 

 

 

  오늘 50주년에 입은 옷과

  블라우스까지 일치, 어쩌나!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