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기고2015. 12. 9. 18:14

 

끊임없이 지배하려 ‘세뇌’ … 자신 위해 ‘맞설 용기’ 가져야
서용좌의 그때 그 시절 ⑧ ‘사페레 아우데’ 감히 알려고 하라
2015년 12월 09일 (수) 14:05:05 서용좌 전남대 명예교수·소설가 editor@kyosu.net
   
  ▲ 일러스트 돈기성  
 

유난히도 빨리 가을이 저물었다. 사라져가는 가을 꼬리를 잡고 매달리면 수많은 가을들이 딸려 나온다. 1968년 베를린의 늦가을, 서른 살짜리 여성이 공식 석상의 단상에 걸어 올라가서 현직 수상의 뺨을 때리는 장면, 상상이나 할 수 있는 일인가. 만세 삼창처럼 ‘나치, 나치, 나치’를 외쳤다. 숨은 나치 전력자들을 찾아내어 진상규명(?)에 전력을 기울이는 활동가였다. 

당시 독일의 수상은 나치 12년 통치기간에 당원이자 전쟁 중엔 외무부 라디오 정책국 부국장으로 활동했었고, 패전과 더불어 체포돼 18개월간 수감된 전력이 있었다. 전후 독일, 서방측의 온건한 탈나치화 프로그램에서 4급 ‘단순 가담자(Mitlaufer)’ 판정을 받아 면책증명서를 지니고 새 인생을 시작한 식자층은 넘쳐났다. 

변호사, 기민연 연방의원을 거쳐 수상 직에 오른 65세의 거물 정치인에게 모욕을 가한 동기는 간단했다. 독일민족 일부는(특히 청년층은) 나치가 독일의 정상에 서있는 것에 반대한다는 것을 표현하고자 함이었다고. 순간 세상이 들끓었다. 

오늘 이 이야기는 그 정치적 동기와 파장을 해석하려는 것이 아니다. 한 작가가 그 여성에게 파리까지 붉은 장미다발을 보냈고, 다른 한 작가는 그 일을 비난했던 일을 말하고자 함이다. 꽃다발을 보낸 이유는 “작가로서의 행동의 철저한 연속선상에서, 1944년 공습에서 죽은 어머니, 나에게 나치를 증오하라고 심어주셨던 어머니 때문에, 또한 나의 세대, 살아남았지만 교사, TV편집자, 출판편집자 등의 직을 잃을까 염려해서 ‘꽃의 힘’으로 그 여성에게 공감을 표현할 수 없는 나의 세대 때문”이었다고 했다.(하인리히 뵐, <Zeit> 1969.1.10)

 

더보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1852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5. 12. 8. 00:03

 

『국제펜광주』 제 13호가 나왔다.


광주지역에서 영어대역으로 나오는 잡지는 드물다. 전 작품은 불가능하고 우선 시(시조, 동시)와 수필 작품들에 한한다. 그것도 편집국에서 요청하는 매수를 지킨 작품들만 번역을 한다. 한국인 번역의 경우는 반드시 원어민의 감수를 받는다. 이번에는 전남대학교 영문과에 재직중인 Scott F. 교수님. 어쩐지 부끄럼 없이 책을 내놓게 되는 이유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안심은 하지 않는다. “부정한 미녀”와 "정숙한 추녀"의 변주 가운데 그저 ‘이해되는 영어’를 선택했을 만큼, 시란 문학이란 우선 '읽기'가 어려워 번역하기는 더 어려운 종이다. 시인과 수필가, 번역자, 감수자 - 세 차원을 오가는 연결에 종사하다보면 한 두달은 머리가 멍했다.

 

수필 번역자 - Denise Suh는 캐나다에서 이메일로만 작업과 통신을 했다. 12호 작업할 때는 전남대학교 언어교육원 "원어민영어회화" 선생님.

책이 보고싶지도 않은지 오프라인 주소도 안 준다.

 

 

 

 

To our Readers 2015!

 

Joyce Carol Oates once defined the act of writing as an art, one that permits humans to transcend the impermanent and participate in their "culture", fulfilling a need that is equal to the drive to procreate. But there have been times in history when writers had their freedom to write taken away from them, mainly by the governments.

Of course, we know that the Constitution guarantees freedom of speech, freedom of worship, and freedom from want etc. but, sometimes there is a sidereal distance between the Constitution and its practice. In the literature field, the freedom to write what we want to write always walks a tightrope, not only because of state power. Today the neoliberal experiments in the free market economy reach an apex and now only the convertible note, money, dominate the public. Who emphasizes moral culture will pass into a proverb. And then, after that tragic 'plagiarism incident' in June this year another painful word 'literature authority' makes us feel small. Because such authority is, if there is any, nothing but the internal evidence of our inadequacies and weaknesses.

Besides, we poets and writers are required to keep ourselves awake against the hedonistic tendencies in this material-dominated world which is exaggerated deftly with pleasure. And pleasure dies at the very moment when it charms us most, as the saying goes.

However, we members of PEN Gwangju, gathered here in this small book, say we participate in our culture.  

 

Till we meet next year with another book, we shall be with you in spirit.

With my thanks to all members of PEN Gwangju and supporters,

 

Suh, Yong-Jwa

Head of PEN Gwangju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편 - 「삼천리강산에 새봄이」  (0) 2015.12.27
국제PEN광주  (0) 2015.12.14
세계한글작가대회 2015년 9월  (0) 2015.09.22
영호남 문학인 교류 2015  (0) 2015.09.22
작가회의 소설창작교실  (0) 2015.08.11
Posted by 서용좌
수필-기고2015. 12. 7. 23:56

王命 앞에 눈이 다 따갑구나

 

서용좌의 그때 그 시절 ⑦ 적상산 단풍
2015년 11월 25일 (수) 10:47:48 서용좌 전남대 명예교수·소설가 editor@kyosu.net
   
  ▲ 일러스트 돈기성  

가을은 깊었는데 기차여행이라는 꼬드김에 넘어가서 단풍 구경을 나섰다. 기차가 달리는 동안 대체 이런 나들이가 얼마만인가 아득하다는 생각을 했다. 몇 번 안 되는 여행 중에 인상 깊기로는 단연 개성 방문이었다. 남북출입사무소에서 ‘출경’ 수속을 하던 일, 짐을 엑스레이로 통과시켜놓고 ‘녀자출구’에 섰던 기억이 새롭다. 검색대에 서면 사람들은 무조건 불안하다. 카메라는 따로 들고 서있어야 했는데, 배율을 확인받은 디카만 허용됐다.
언니 뭐해, 긴장되는 거야?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1787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