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섞어쓰자면서 ‘치맥’은 잘도 쓰는군 |
서용좌의 그때 그 시절 ④ 나라말 한글 |
|
|
|
|
|
|
|
▲ 일러스트 돈기성 |
|
|
한글날이 지났다. 훈민정음 8회갑을 기념해 제정된 ‘가갸날’이 한글날이 돼 지금까지 이어오지만, 정작 한글은 부침을 겪어 왔다. 공교육에서 한글이 통째로 사라졌던 암흑기가 지나고, 우리의 해방은 한글의 해방과도 같은 말이었다. [계속] |
넷, 나라말 한글
한글날이 지났다. 훈민정음 8회갑을 기념하여 제정된 ‘가갸날’이 한글날이 되어 지금까지 이어오지만, 정작 한글은 부침을 겪어 왔다. 공교육에서 한글이 통째로 사라졌던 암흑기가 지나고, 우리의 해방은 한글의 해방과도 같은 말이었다.
해방 직후에는 법원에서는 판검사들이 ‘가갸거겨’를 낭송하면서 한글공부를 했다는 일화가 있었듯, 일제 때 최현배 선생이 국어의 문법 체계를 집대성한 『우리말본』이 최고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듬해는 최남선의 『신판 조선역사』, 이어서 『큰사전』 첫째 권이 간행되기 시작했다. 1차교육과정기(1959~1963)만 해도 국어공부라면 『우리말본』에 입각해서 쓴 교과서로 임자씨다 풀이씨다 꾸밈씨다 해서 낱말의 갈래부터 배웠다. 하지만 한자옹호론자들의 반론도 드세어서, 학교를 배움집, 비행기를 날틀로 해야 하느냐는 공격이 빗발쳤다고 한다. 정작 배우는 우리들은 전화를 번개딸딸이라고 말하는 상상만으로도 재미만 있었다. 오늘날 동아리나 새내기 같은 단어들을 만들어내어 정착시키는 언어감각으로 미루어, 말본 시대가 흔들림 없이 갔었더라면 순 한글의 정착이 더 빨랐지 않을까.
한글다운 한글의 사용은 이제 한국 내의 문제만은 아니다. 지난 달 경주에서 열린 ‘세계한글작가대회’는 세계 각처에서 한글로 글을 쓰는 작가들의 대회였다. 해외라면 주로 교포들의 한글문학을 지칭한다. 대회에서는 한글문학/한국문학의 세계화에 대한 관심 못지않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보급과 교육문제에 대한 관심도 주목을 끌었다. 훈민정음의 상형과 가획의 원리는 소름이 돋을 만큼 정교함을 갖추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한글의 과학적 우수성과 한글문학의 세계화는 별자리만큼씩이나 서로 떨어진 다른 차원의 문제다. 인류의 보편문법이 내재된 글을 다듬어 쓰는 일, 더 궁극적으로는 ‘무엇을’ 쓰는가, 철학이 관건일 것이다. 아무튼 경주 대회는 궁극적으로 한글문학의 세계적인 수용을 꿈꾸는 잔치였다.
그러나 국내 한글의 현실에서는 초등 한자교육을 지금도 거론하는 퇴행에 가까운 행보들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퇴행이라면 단기 3779년 이전으로 물러간다는 말이다. ‘나라말이 중국과 달라서’ 백성을 위해 새로이 스물여덟 글자를 만든 그때를 저버리고, 왜 그 이전으로 되돌아가야 하는가. 4348년 오늘, 다시 특권계급의 전유물인 특종 어휘들 때문에 나라말이 계급화되어 간다. 한글은 이미 영어단어 혼용의 시대를 살고 있다. 높은 양반들은 의제는 시시하니 어젠다를 논하시고, 학계에서도 이펙트를 위해 어떤 어프로치가 좋을지 초이스를 따지는 것이 노멀한 일이 되었다. 낮은 양반들은 건강이야 어찌되었건 치맥만 있어도 행복한데, ‘치’는 꿩이나 닭이 아닌 치킨의 ‘치’자다. 영어에서 소외된 그냥 백성은 키친타월을 치킨타올이라 말해서 비웃음 사기 십상이다. 처음 그 물건 만들어 팔 때 종이행주라고 했음 좀 좋아, 이렇게 말하면 속 좁은 늙은이의 속 없는 불평으로 치부된다. 영어를 섞어야 튀고, 튀어야 팔리는데 무슨 소리!
이 스타일리시한 그레이 톤의 아이템을 입어 줘야 폼이……. 머리 좀 쉴까 하고, 산책처럼 운동화라도 꿰 신어야 하는 것 말고 간단히 좀 쉬려고 텔레비전을 틀면, 한글은 토씨뿐일 때도 있다. 영어단어로도 모자라 한자교육에다 중국어단어 혼용까지 나올 참이라. 어쩐다? 우린 우리 식으로 우리 말 좀 하고 살 수 없는지. 지금 사회에서는 어쨌거나 보수층이 대세라는데, 옛 것 좋아하는 대세가 세종의 옛 정신 좀 본받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해 본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민주적 의미를 지닌 훈민정음은 물론, 공법(貢法) 제정을 위해 겪어낸 지난했던 민주적 과정을, 그 아래 깔린 민주적 사상의 바탕도 함께 배웠으면 싶다.
사족 한 마디. 누군가는 이 글에서 ‘단기’가 튀어 나와서 보는 눈을 어지럽힌다고 나무랄까. 언젠가 공적인 지면에 단기를 꼭 써보고 싶었다. 오늘 날 무엇인가 병기를 해야 할 것이 있다면, 한글과 한자 병기가 아니라 단기와 서기의 병기다. 우리 하던 대로라면 ‘단기(서기)’로, 세계 속에서 먹고 살기 위해서라면 ‘서기(단기)’로, 최소한 새 달력에라도 단기 표기가 있었으면 한다. 육십갑자를 표기할 정도로 전통과 옛것을 존중하면서 단기를 망각하다니, ‘뿌리 깊은 나무’가 되기는 우리가 아직 멀었나 보다.
<교수신문> 2015.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