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기고2010. 12. 1. 23:30

도마뱀

   꼬리를 자르고 도망치는 도마뱀입니다.

작가가, 소설가가 작품을 쓰는 일은 일종의 도마뱀 꼬리자르기라고, 한 덜떨어진 소설가가 내게 말했다.

뭡니까?

절체절명의 순간 꼬리를 자르고 도망친 도마뱀은 그 피투성이 기록으로 작품을 남기는 것입니다. 몸통을 살려낸 도마뱀은 꼬리만을 물고 허탈해하는 독사에 대해 승리감을 가질 것이고. 꼬리를 자른 선택에 관해서 의미부여를 하며.

도마뱀에게라면 위기 탈출이 절대적 선택이겠지만.

겠지만? 그 이상입니다. 천적을 만났을 때 꼬리를 자르고 도망칠 수 있는 건 분명 비장의 무기이고, 예컨대 살모사가 아직 꿈틀거리는 도마뱀의 꼬리에 관심을 기울이는 틈을 타 도마뱀은 목숨을 건질 수 있으면 되었지요. 이제 거기에 그 경험을 잘 다듬어서.

다듬어요? 죽다가 살아온 경험을 쓰면 문학작품이라는 말씀이오?

일단 꼬리 잘린 도마뱀은 특별한 경험을 했고, 그런 처절한 경험이 없는 다른 도마뱀들에 비해. 더구나 잘라진 꼬리는 나중에 다시 돋아난다고 하니까요.

그건 좀 다른 문젭니다, 제 생각엔.

다른?

도마뱀을 노리는 적이 주변에 많을수록 꼬리를 재빨리 자르고 도망치는 개체가 살아남을 확률이 높은 건 사실입니다.

그럼 되었지 뭐 또. 게다가 그것을 가공하여.

그래도 꼬리를 자르는 건 도마뱀에게 큰 부담입니다. 꼬리가 없는 동안에는, 그러니까 그 험한 경험을 작품으로 가공할 수 있다 해도 일단 잡아먹힐 위험이 커집니다. 새 꼬리를 만드는 동안에는 몸통 자체도 자라지 못합니다. 동작도 굼떠지고, 심지어 동료들 사이에서 지위도 떨어집니다. 어차피 소설가의 지위야 꼬리 잘린 도마뱀 수준이지만요. 더구나 이제 그 새 꼬리라는 놈은 더 이상 자를 수가 없답니다.

뭐요? 도마뱀 박사가 따로 없으시군요.

게다가 새로 돋아나는 꼬리는 척추가 아닌 연골조직으로 되어 있어서 다시는 자르지 못한답니다. 소설 한 권 떴다가도 평생 타작만 내놓는 소설가와 다름없지요. 도마뱀으로서도 평생 꼬리 잘라먹은 놈이라는 꼬리표를 함께 달고 사는 것이겠지요. 새 꼬리는 원래 것보다 색깔도 안 예쁘답니다.

예쁘고 안 예쁘고가 중요 하겠습니까? 소설작품은 취소하고라도 일단은 살아남아야 하니까 저는 꼬리 자르는 쪽을 택하겠습니다.

그렇겠지요. 꼬리를 조금만 물려도 그게 독사라면 금방 독이 퍼져 죽을 것이니 잘라야겠지요, 싹둑.

아니 작가님, 뭐 싹둑 잘라낼 원망 같은 것이라도 있습니까?

무슨 말씀이십니까? 그저 따라서 해보는 소립니다. 무엇인가를 끊어내고 계속 살아갈 수 있을지 아닌지는 그리 간단한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아마 누군가는 그냥 그 독으로 죽고 싶어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 일부를, 이를테면 마음, 심장, 가슴 뭐 그렇게 불리는 어떤 것을 잘라내고도 살 수 있을지, 그것을 가공하여 작품화하는 강심장을 가질 수 있을지, 그건 꽤 어려운 선택입니다. 아니 선택이기 이전에 운명입니다.

그냥 죽거나 그것을 쓰거나?

예, 실존과 방법의 갈림길입니다. 삶의 내용인가 글쓰기인가 하는 갈림길.

도마뱀과 갈림길이라. 우린 오늘도 제자리에서 맴돌고 있군요.

그와 내가 구동성으로 말했다. 그와 나는 늘 하나이면서 둘인, 둘이면서 하나인 도마뱀이다. 왜 쓰지도 안 쓰지도 못하는지 언제나 답을 모른다. (문학공간 2010.12월호 통권 253호 40-42쪽)

'수필-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독 - 행복 에세이  (0) 2011.03.01
온 바닷물을 다 켜야 맛인가요.  (0) 2010.12.31
무거운 책들  (0) 2010.04.01
평행선  (0) 2009.12.12
그림자 도시 - 개성 방문기  (0) 2009.03.28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0. 8. 15. 23:58

병든 고향

 

 아따 거 뉴스 한번 징허데.

징헌 뉴스 한 두 번가.

아 거 즈 각시 죽이고 목매단 놈 말여.

그런 놈 한 둘가.

그래도 이거는 참 험채, 으째 그랄 수가. 친딸 아니던가, 친딸. 친딸을 그래놓고 형살고 나와서는 각시를 차로 밀어?

무슨 일인데들 그러우?


마침내 미아리가 나설 때까지 공능과 월곡 두 여자가 뉴스가지고 죽일 놈 살릴 놈 재판을 한다. 이 청소아줌마들이 잠시 만나는 것은 점심시간이 고작이다. 지하 4층, 그것도 계단 아래. 퀴퀴한 냄새. 바닥은 물이 듬성듬성 고여 있다. 하지만 바닥에 스티로폼을 깔고 한 귀퉁이에 이불을 괴어놓았다가, 지난 번 대청소 때 어느 방에선가 내다버린 소파를 가져다 놓았으니 지금은 부러울 게 없다. 이곳은 대학교 평생대학원 건물. 누가 밖에서 들여다본다면 떡 하니 ‘접근엄금’이라는 푯말이 적힌 전기실 맞은편 이 계단아래가 섬뜩하겠지만 대순가.


어마 저거 또 쥐 아이가?

설마, 요샌 아니드만.

나가 그라므 헛소리라?

아니 뭐 헛소리라니. 그냥 당신 겁이 안 많소! 각시 죽인 놈 야그도 벌벌 떨고…….

그기사 암데 가치도 없는 거라서리.


거야 공능이 이해해요, 월곡 저이가 남정네 얘기람 원래……. 미아리가 끼어들어서야 둘은 입을 다물고 김치를 깨문다. 총각김치는 소파 아래 넣어둔 통속에서 익다 못해 쉰내가 나지만 맛있다.


요건 이래 뵈도 중국산 김친 아닌기라.

당신 어깨고 허리고 아파 죽겠다면서도 김친 꼭 해먹나 봐.

그거라도 해 줘야지 어메가 어디 해주는 거이 있어야 말제.

우린 덕분에 돈 안들이고도 웬만한 식당밥보단 낫게 묵네.

그럼 우리가 단돈 86만원 월급 챙기며 식당밥 묵겄어, 미쳤제.


다시 숨을 죽이고 사각사각 총각무우 깨무는 소리만 울려퍼지는 사이 월곡동아줌마는 눈을 감는다. 미쳤제, 하모 미쳤제. 결혼식을 해준다니까 미쳤었제.


친아버지를 모르는 아이는 연속극에서만 나오는 것이 아니다. 아버지 자리가 국군이었는지 도망친 인민군이었는지, 그도 아니면 그 많았다는 피난민 중 하나였는지 가르쳐줄 수 있기도 전에 어머니를 잃기도 하니까. 그렇게 자란 여자애는 더러 밥이다. 남들의 밥이자, 그것이 내 밥이었다. 한 물 두 물 갔을 때서야 뜻밖에 배가 불러왔지만, 반가움 반. 미래가 깜깜한 걸 알면서도 어쩌지 못한 것이 큰 잘못이었을까? 이리 키울 거라면 말이다. 제대로 가르칠 수도 없던 나날. 정말 상처한 사람이 정말 구원처럼 다가왔었다. 처음으로 들어 앉아 살림이라고 차렸고, 처음으로 따뜻한 나날이었다. 따뜻한, 멍청한 나날은 짧게 끝났다. 무섭게 끝났다. 못된 의붓아비는 연속극 말고도 널렸다. 점잖게 생겨도 소용없다. 악마는 원래 여러 얼굴인 것을. 코앞의 홍당무에 팔렸던 내 발등을 찍고 싶었다. 세상 모든 귀신들에게 빌어서 그날 이전으로 땅덩어리를 돌려놓을 수는 없을지. 밤이면 밤마다 하도 용을 쓰다가 그것이 빠지고 말았다. 그것이 빠진 여자들은 원통한 여자들이다. 그것이 빠져도 내 딸을 되돌릴 수가 없었다. 내사 외롭다 못해 불행을 자초했건만, 내 딸은 어밀 두고서도 요모양이라니. 죄인 어미한테 해죽이 웃으려고 애쓰며 시들어가는 내 딸을 어쩔꼬. 딸 데리고 시집가는 죽일 년! 딸 놓아두고 죽을 수도 없는 죽일 년!


고향을 멀리 떠나왔음 머하노.

밥 묵다말고 갑재기 무슨 소리요?

게서 고향 이야기가 왜 나와, 누구 울리고 싶으우?

고향이 어데면 머고. 그래, 고향이 머라.

......................................................

2010 <흐름 위에 멈춰 선 시간>  한국여성문학인회 6.25 60주년 기념 특집, 246-248쪽.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쇼 - <광주문학>  (0) 2010.12.09
불모지에서 더 성한 나무, 문학 - <소설시대> 18 권두언  (0) 2010.11.15
정체성 - <소설시대> 17  (0) 2010.05.25
소설집 <반대말•비슷한말>  (0) 2010.02.25
쪽지 붙였음 - <PEN>  (0) 2009.10.14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0. 5. 25. 12:21
정체성


 

벌써 이태전인가. 그해 겨울에는 제법 매서운 날씨 덕이기도 했지만, 알게 모르게 찾아든 손님들이 괜찮았다. 코앞에 닥친 선거도 뭔가 흥분과 기대와 어순선함으로 발길들을 부산하게 했을 것이다. 선거 담엔 다음대로.


그날도 점심이 약간 겨워서 대처에서 왔음직한 여자들 일행이 들었다. 다섯이서 도착하는 모양새가 차 한 대를 꽉 채워서 나들이 나온 상이었다. 홀에 자리가 마땅치 않아서 내실로 안내하고 나오려니 신발들에 눈이 갔다. 점심에 몰려다니는 여자들이 어디 한 둘이 오는가만, 여자들 신발을 보면 대개 부류를 안다. 여자들은 크게 두 부류다. 오자마자 사이다 한 병 안 시키고 냅다 삶은 꼬막부터 시켜내다 까먹는 여자들이 있는가 하면, 제법 맥주부터 시끌벅적하게 시키는 여자들이다. 처음 여자들이 벗어 놓고 들어간 신발들은 보통 구두인데 비해, 나중 여자들은 여름 겨울 없이 발목까지 올라온 구두들을 신고 다닌다. 보통 신발의 여자들은 입성도 수수한 편이고, 발목구두를 신고 다니는 여자들은 줄줄이 화려한 안경테에 렌즈에도 색을 깐 안경들을 쓰고 다닌다.

물론 꼬막밥장사로 살아가는 나로선 어느 쪽 할 것 없이 반가운 돈줄들이다. 술을 시킨대야 그저 그런 정도, 반찬만 더 주문해대는 여자들 손님이 뭐 그리 중요할까마는, 내겐 여자들 손님이 중요한 이유가 또 있다. 근동에서 나는 유자다 모과다 하는 것들을 설탕에 재워서 파는 부수입으로도 한 몫 하기 때문이다. 식사 후에 한 잔씩 돌리면, 잘 나가는 날엔 한 상 손님 중에서 두어 명은 뭔가를 사들고 간다. 근년에는 집에서 손가는 일들을 잘 하지 않기 때문에 식당에 왔다가 사가는 여자들이 늘어 그 수입이 짭짤한 편이다. 봄에 재워둔 매실로는 진짜 한 몫 건진다. 또 음식에 단맛을 내기 위해 매실엑기스를 당분 대신 사용한다는 입소문 때문에 텔레비전 방송에 두 번이나 뽑혔고, 방송 한 번 나갔다 하면 뜨는 것이 우리 밥장사들 세계다.

그날 팀은 보통 구두와 발목구두가 셋과 둘로 섞이어 있었다. 얼핏 보아도 둘은 입성이 화려하고 나머진 수수한 모양새였다. 그렇게 되면 사이다 한 병 안 시키고 냅다 꼬막부터 까먹을 부류일지 아닐지 순간 점이 안 찍힌다. 그런데 꼬막부터다. 그렇게 삶은 꼬막을 통째로 까먹는 여자들에게 그다음 정해진 전채로 매생이전에 곁들여 꼬막전을 내가면 풍경이 우스워지는 것은 매한가지였다. 사실 내가 밥장사를 하긴 하지만 삶아 까먹는 꼬막하고 꼬막전하고는 맞지가 않다. 그래도 어쩌겠는가. 사람들은 그렇게 해야 좋아하고, 또 그만그만한 식당들에서 거기까지는 정해진 메뉴인걸. 우리 세계에서 승부수라면 첫째가 꼬막 맛이다. 그 다음이 밥반찬인데, 놀라운 말이겠지만 내가 김치를 담그지 않는 사실을 알고 나면 저 맛있게들 먹는 입이 어떻게 찌그러들지. 하지만 뭔 수로 중국김치 써대는 식당하고 경쟁해서 밥을 벌어먹는단 말인가.


아니다. 지금 그 이야기를 할 판이 아니다. 그러니까 그냥 그렇게 보통과 멋쟁이가 섞여 내실에 든 여자들이 중국김치도 속 모르고 맛있다며 밥을 다 먹었다. 거기까진 남다를 게 없었다. 그런데 식후엔 뜨거운 맹물을 달라고 했다. 유자차나 모과차 대신에 그냥 물만 달라는 것이 특이했다. 시간이 좀 되었는지 홀에나 다른 방에는 밥상들이 다 끝난 참이었다. 그래서 물주전자를 들고 간 김에 나도 내실 한쪽에 주저앉았다. 가져온 보자기를 푸는 걸 보니 찻그릇에 찻주전자까지 꺼내놓고 호사를 하는데, 그때부턴 사람들이 좀 달라 보였다. 공짜로 주는 좋은 유자차를 마다는 것이 우선 그랬고, 아무튼 주전자에 끓는 맹물을 붓더니 헹궈서 다시 버리고 하는 품이 일 없는 여자들인가 싶기도 했다. 호사를 하려거든 어디 호텔 비싼 식사나 먹으러 갈 것이지, 밥은 이런 데 와서 겨우 꼬막정식 시켜먹고는 뭔 호산가. 한 여자가 물을 보물모양 여기다 저기다 부었다 덜었다 하는 통에 다른 여자들은 다 그 모양새를 따라 보느라 조용하다. 찻잔이래야 술잔만 한 크기다. 그 잔에 보약처럼 물을 조심조심 따르더니, 한적한 시간인줄 알았는지 나더러도 앉아 함께 차를 마시잔다. 잔이 모자라는 듯, 또 모양이 별 것도 아닌 성 싶어서 복분자회사에서 선전용으로 가져다 놓은 술잔을 가지고 가니까 비슷한 찻잔이 되었다. 하긴 여자들이 칭찬해 마지않던 원래의 찻잔들과 그 찻주전자까지도 여자들 중 하나가 직접 구웠다니 보통내기들은 아니었다. 그러고 보니 장롱 옆 한쪽으로 벗어둔, 그저 그렇게 보였던 반코트가 실은 털을 깍은 밍크쯤으로 보였다. 비싼 밍크의 털을 왜 깎아서 버리는지는 몰라도 깎은 밍크털이 더 비싸다는 정도는 나도 안다. 그러나 또 어떤 여자의 코트는 너무나도 평범한 모직으로, 고등학교 다니는 내 딸애 거나 비슷해 보일 지경. 그러니까 돈들이 달라 보였다. 또 돈들이 같은 여자들끼리만 다니라는 법도 없으니까.


더는 궁리할 것도 없이 차나 한 잔 얻어 마시려니 심심해졌다. 손님들이야 점심장사로는 벌써 파장이고 주방아짐이 있으니 나 볼 일로는 없을 것이라. 가만히 텔레비전을 틀어보니 마침 증권뉴스가 나온다.

오메 쬐끔 다시 올랐네.

무심코 한 말에서 꼬투리를 잡혔다. 한 여자가 따라 붙었다. 아주머니 증권 하시는가 보네요. 잘 하세요?

잘 한다기 보담. 아따, 저 OO카드가 OOO카드 아니요. 그래서 샀던 것인디.

뭔 말씀이오? 거 당……. 

쉿, 입 밖에 낼 말이 있지. 암튼, 그걸 어찌 알며. 아니 그거 참말이래요?

우린 모르지요. 그렇다고들 허니께. 아니 내가 뭐 어디서 들은 풍월이지라.

큰일 날 소리요. 이 세상은 동영상에 나온 것도 아니라면 아닌데. 아줌마, 그런 소리 썸뻑썸뻑 하지 마세요.

갑자기 다른 여자가 나를 향했다. 주식이요? 돈 놓고 돈 먹기를 하신단 말요? 주식에서 아주머니가 이득을 보면, 누군가는 손해를 볼 것 아니요. 거기다 중간 구전 챙기는 증권회사들이 저리들 잘 먹고살고 있으니, 결국 주식하는 사람들이 증권회사 먹이죠. 어떻게 주식해서 돈을 벌어요? 번 것은 순간, 잃을 때가 더 많은 것이 답이요.

나는 머쓱한데, 그러자 갑자기 여러 소리들이 섞였다. 차만 점잖게들 마셔서 조금 다른 줄 알았지만, 말들도 달랐다. 누가 누군지 모르겠다.

처음 여자, 그러니까 둥근 머리가 말했다. 지금 주식시장 자체를 원론적으로 말하긴 무리다, 참아라. 두 번째 여자, 물고기 눈이 나무라듯 계속한다. 저 아주머니 같은 경우 그러니까 거기다 찍는 거야. 그쪽 주식 샀으니 함께 부자라도 될 것이다 싶어서.

또 다른 여자, 안경이다. 그러게. 어찌 거의 다 들여다보이는 진실을 못 본 척 은폐하고 거기다 투표를 몰아주는 국민이라니 대운하도 뭔가 신선한 것처럼 사람을 홀린 것이야.

찾잔 가져온 여자가 말린다. 그건 좀 심한 말이…….

안경이 고집한다. 심하대도 사실이야. 인간은 자연을 너무나 학대하고 있어. 유용성이라고 해도 그래. 전국이 일일생활권인데 물류 운운하는 운하는 낡아도 한참 낡은 꿈같은 이야기지. 지금 옛날 뱃길 복원해서 풍류 즐길 때냐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에서. 우리나라 땅 어디에서도 시간 남짓 운전하면 바다 아냐?

다시 찻잔주인이다. 참아, 정치는 좀. 바다……. 그래 이 바다를 어쩐다니? 그때 안면도 우리 함께 갔었지? 거기서 거긴데.

이제 화제는 그 무서운 태안사고 쪽으로 옮겼다. 사실 태안 기름이 여기 남녘까지 내려오지 말라는 법이 없다. 서안으로는 벌써 어디까지 내려왔다지 않은가. 우리 꼬막장사도 문제가 있긴 있을 것이다. 귀가 더 쫑긋 해졌다.

둥글이 여자다. 그래, 그 긴 해안들이 그렇게 몰살했으니, 어떻게 말로 다 해.

순한 눈에 조용하던 마지막 여자까지 거든다. 결국 자원봉사 팀에 못 끼어본 우리가 뭔 말을 해.

둥글이다. 사실, 집 팽개쳐놓고 나설 상황들은 안 되지.

물고기 눈이다. 1박 2일쯤은 문제없던 것 아냐? 안면도 여행엔 다들 갈 수 있었잖아.

찻잔이다. 그때도 다 쉽진 않았지. 예정된 것이라서, 또 안면도란 새로운 고장에 대한 관심에 무진 애들을 써서 시간들을 맞춘 것 뿐.

둥글이다. 뭐야, 넌 그럼 안면도 여행갈 땐 잘 가고 태안 방제작업 안 따라나섰다고 우릴 나무라는 거야?

물고기다. 나무라기는. 그냥 사람 마음이 그렇다는 거지. 나부터 이 겨울바람에 게 가서 뭔가 하련단 말이 안 나오지. 우리가 젊기를 하냐! 그래 결국 거기 현지까지 어떤 경로로든 자원봉사 떠난 사람들은 존경 받아야 된다는 거지.

안경인가. 아니 글쎄, 이런다고 뭔 수가 있어. 누가 들을까 말인데, 난 딴 걱정이더라. 그 기름 묻은 부직포들은 어디로 간대냐?


말들을 하는 것이 남편이다 시댁식구들이다 흉보고 까부는 여자들은 아닌데, 어쨌거나 무슨 말들이 좀 무겁다 싶었다. 돈벌이에도 관심이 없는지 원. 주식투자다 부동산투자다 안하는 여자들이 어디 있다고. 아니면 통 크게 다들 해놓고 딴소리들인지 원. 어쨌거나 차 얻어 마시며 뭔 말이라도 들어볼 말이긴 했다.


안경: 너희 《불편한 진실》 혹시들 봤지? 나도 우연히 텔레비전에서…….

물고기: 진실이야 원래 불편한 게 더…….

안경: 그런 게 아니라, 환경 이야기야. 거기 앨 고어 있잖아,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귀족 정치인이 아니더라고. 원래 학생 때부터 환경론자였고, 그러니 그런 영화에 나섰겠지. 아무튼 근년에 킬리만자로나 알프스 어딘가 빙하와 만년설이 엄청 녹아내린 이유가 지구온난화 때문이라는 거야 만날 들은 소리지. 그런데 온난화란 게 말뿐 아니라 그 진행 속도가 심각하다는 거야. 인간의 소비행태가 CO₂를 증가시켜 북극의 빙하를 1년에 1%씩 인가 녹여내는데, 20년 내에 플로리다, 상하이, 인도의 대도시 등 해변도시들 40% 이상이 물에 잠기고, 어쩜 네덜란드는 지도에서 사라지게 된다는 거야.

찻잔: 설마…….

안경: 설마가 사람 잡지. 오늘 이렇게 모처럼 잘 먹고 여유를 즐긴다만, 우린 사실 날마다 샤워도 해선 안 되는 세상에 살고 있어. 운동해서 죽어라 땀 빼고 씻고. 개인적으로는 무병장수하겠다는 것이지만, 하긴 계산상으로 하루 죽어라 운동해서 수명 하루 늘리면 그 하루는 다 써버린 것 아냐, 운동하느라. 그럼 피장파장이지. 그래 장수한다고 쳐, 장수도 말하자면 공해의 하나가 되어가고 있어. 인구과잉은 곧 재앙의 시작이니 말이야.

둥글이: 심각한 주제로 가네. 오늘 너 머리 좀 쉬라고 데려오니까.

안경: 아니, 그 사람 말이 우린 이 지구에 용서를 빌어야 한대. 그런 판에 이 좁은 나라에서 잘 있는 물길 놔두고 인공운하라니. 자연은 남용될 대로 남용되어서, 현재 미개발지역이라고 우리가 깔보는 그런 지방에서나 미래가 남아있을 것이래. 운하사업의 일자리 창출 홍당무에 넘어가면 안 되지. 세계경제공황 이후 히틀러가 일자리 창출한 방식이 뭐였게. 성한 사람은 군대나 군속으로 징집하고, 열등하거나 불온하면 수용소로 이송시켰지. 넝마주이나 우범자들이라고 어디 교육대에 쓸어다 넣고 나서 도시 정화했다고 떠들었던 독재도 다 같은 오류를 범한 것 아니냐고.

물고기: 글쎄 공청회 어쩌고 하던 말들도 쏘옥 들어가 버리네.

안경: 하면, 어느 편에 가담해서 진지하게 지원할 수 있어 우리가?

둥글이: 뭐 우리 중에도 운하 지지하는 사람 있단 말이야?

물고기: 모르지, 아니 당연하지. 친구들이라 해서 매사 같은 의견일 순 없으니까.

안경: 이치로는 무슨 일에건 찬반이 있고, 운하계획이 다수당 의견이면 찬성이 많다는 논리가 맞아.

순이: 하긴, 나도 사실 맨손으로 사업가로 성공한 일꾼이 나을 거라 생각했었어. 그건 지금 좀 흔들리지만.

물고기: 누가 인신공격하자는 거 아니잖아. 우리 같은 한물 간 여자들이 무슨 공격의 힘이 있는 것도 아니고.

안경: 그러니까 어려운 것 빼고 줄여서 대운하 말야, 그건 안 된다 그런 거지.

물고기: 아니 그보다도 진짜 문제는 우리 인간이 이 우주의, 자연의 주인이라고 착각하는 것이야. 그 주인이란 말이 큰 문제지. 누가 어디의 주인이냐고. 결국 우리는 지극이 미미한 객으로서 이 자연 속에 잠시 몸을 의탁하는 것뿐인데. 주인이 아니라 객이라고. 내가 객인 것을 확실히 인정하면 내 것 못 찾아먹어 안달할 것이 하나도 없지. 권리가 하나도 없거든. 그냥 내게 오는 모든 것이 고마울 뿐. 오늘 이 맛있는 꼬막을 포식까지 하고, 거기다 이 멋스런 차를 마시고. 이 찻잔이며 주전자를 내 친구가 손수 구워서, 그 손으로 차를 끓이고 그 손으로 잔에 부어서……, 이런 호사 평생에 한 번 하는 것이 이 무슨 복이냐.

둥글이: 어쩌냐, 이 아줌마가 또 철학 한다!

찻잔: 냅둬라, 글쟁이 말쟁이 본업을 어쩐다냐. 생긴 대로 살게 둬라.

물고기: 왜 껄끄럽냐? 나 오늘 속말 좀 하고픈데. 진짜 복에 겨워서 하는 소리야. 우린 세상으로부터 큰 선물을 누리며 살고 있다구. 생명으로 태어난 것…….

순이: 그래, 몸과 맘을 섞은 남자도 선물이요, 게서 나온 새끼들은 얼마나 더 큰 선물! 그 말 하려고?

안경: 아, 새끼들 말이 나와서 말인데. 요즈음 젊은 애들 어쩌면 좋으냐. 저번 선거 말이야, 청년들에게 결혼하면 현금으로 얼마 주고 애 낳으면 얼마 준다니까, 그런 후보에게 찍었다고, 그 말을 아무렇지도 않게 텔레비전에 나와서 하는 거야. 아무리 그렇기로서니, 그걸 올바른 정신으로 한 말이라 믿어? 이익을 준다면 찍는 거냐 말이야? 후안무치. 우리들이 아이들 그리 가르친 것이지만, 해도 너무하지. 결국 눈빛만으로 에이즈도 치료한다는 허풍을 잘 해야 교회가 넘치고…… 종교건 뭐건 광신이상 뭐라 받아들여?

물고기: 그러게 내가 누구인가 하는 정체성이라니까.

순이: 무슨?

물고기: 내가 무엇인가. 동물 - 인간 - 남자/여자 - 이어서 신분…… 그렇게 좁혀 들어가서 나를, 내가 어디에 속하는 생명인지는 알아야지. 그래야 ‘내가 누구인가?’에 가까운 답을 알 것.

순이: 알면?

물고기: 그다음엔 ‘나는 누구이니까 어떻게 사느냐?’ 그런 질문이 오겠지. 물론 거기까진 다 살고 죽어도 모르겠지만 말야.

둥글이: 그럼 해보자, 우린 뭐냐. 동물 - 인간 - 여자 - 거기까진 같다.

찻잔: 또 있네. 아내요, 어머니요, 이제 곧 장모요, 시어머니요…….

물고기: 아니 그건 역할이고.

순이: 역할이 아님, 뭐가 정체성인데?

물고기: 아니 우리가 각자 어떤 집단의 구성원으로서 생각하는 것이 출발이지. 우리가 속한 집단에서 정체성을 찾는다는 것이지. 여성이다 하면, 여성이 정당한 취급과 대우를 받는지, 여성의 정체성이 억압되고 있는지를 인식하자는 것이지. 지금 정체성 정치에선 비단 여성의 정체성이 아니라, 이를테면 우리가 속한 경제적 집단, 서민층, 중산층 하는 구별 말이지. 최근 우리나라 정치는 확실히 최빈층에 초점을 두었거든. 최저 기초생활을 사회가 책임 나눈다는 것이 아름다우면 아름다웠지 왜 무능정치야.

순이: 것도 문제가 없진 않아. 독거노인이라 해도 멀쩡한 사지육신으로, 의료비면제니까 요양병원에서 아예 눌러 살다시피 하는 경우도 있다더라. 기초생활비 한 푼도 들 일 없이 병원에서 먹고 자는 거야. 혼자가 아니라서 외롭지 않고, 가끔 영양제도 맞고. 병원 측에서도 침대 놀리느니 이문이고.

찻잔: 것도 그래. 나 지난 번 장항아리 옮기다 허리가 끔뻑해서 물리치료를 다녀야 했는데, 병원 다니기가 더 피곤해 죽을 일이었어. 우리도 곧 할머니다만, 웬 할머니들이 병원 하나 가득인 거야. 아예 누워서 뒹굴다가 자다가, 치료 끝나고 쉬어가는 방이라던데. 그러니까 할머니들이 전철로 다니면 차비도 안 드니까, 그 폭 대고 차비 정도만 내면 젊고 예쁜 아가씨들이 물리치료해주고 말 걸어주니까 날마다 출근인 거야. 노인들 날궂이 한다고 어떤 자식들이 집에서 다리 주물러주느냔 말야, 함께 살지도 않는데. 날궂이 아니더라도 우리도 저녁때면 다리 붓잖아, 좀 많이 쓴 날은 밤에도 뒤척거리고.

안경: 사실 어떤 제도에도 구멍은 있지 뭐. 그보다 그런 부담을 월급쟁이들이 다 한다는 게 더 문제지. 재벌들 부자들이야 세금을 월급에서 안 떼니 이리 저리 감출 수 있지. 그러니 중산층이 끌려서 내려갔다고 불평하게 될밖에. 내 의료보험료 생각하면 너무 화나. 나야 죽을 때나 병들 때나 일인분 아냐? 그런데 기혼맞벌이면 의료보험 상으로는 독신으로 되어 남편이랑 이중으로 내는 거야.

순이: 뭔가 이상하다 좀.

안경: 그뿐이야? 그럼 우리 애들 가족수당이나 교육비도 이중으로 준다면 말이나 못하지. 그건 아버지한테서만, 그러니까 한쪽에서만 해당된다니까. 주는 것은 중복으로 안 해주고, 떼어가는 건 당연히 이중이지. 그래서 일 없이 요양병원에서 놀며 축내는 비용을 다 부담해주고 말이야. 외로운 노인들이 덕 좀 보는 것이라면 또 참아야겠지. 그런데 부자 병원들이 왜 내가 고생하면서 이중으로 내는 의료보험에서 이득을 챙기느냐 그 말이지.

물고기: 불평은 우리보단 최상위 1%에서 5% 사람들이 더하지, 아예 빼앗긴 10년이라잖아.

둥글이: 그래 누구나 그 나름대로 찬반에 이유가 있나봐. 좀 들어봐, 우리 외당숙이야, 직접. 웬만한 공직에서 은퇴하고서 서울교외로 이사를 가셨는데, 결혼해서 사는 애들도 드나들 것이니 집을 못 줄이시겠더래. 그래서 산 집이 집값이 저절로 오르다보니 종부세가 터진 거야. 기삼백이 아니라 기천이 나오는데 연금생활자가 그런 목돈이 어디 있어. 집을 팔아서 세금을 내야한단 말이야?

안경: 글쎄 여기 무슨 경제학자가 끼인 것도 아니고. 난 잘 모르겠지만, 한 가지는 분명 해. 종부세다 양도세다 그런 부자세금 좀 많이 내고 살아봤음 좋겠네. 가진 부동산들에 세금이 많이 부과된다는 것, 그것 대단한 것 아니냐고. 인구 몇 명 이하 섬에는 완전히 온갖 세금이 면제라 그러던걸. 그럼 그런 세금 안내는 섬생활이 세금 많이 낼 것 고민인 사람보다 질적으로 나은 삶이란 거야 뭐야?

찻잔: 딴은 그러네. 세금 많이 내고 사는 팔자가 훨 낫제.

물고기: 괜히 무능정부다 뭐다 그게 언론정치야. ‘무능정치 10년에 대한 반감’ 운운하는 설문은 그 자체로서 선동적이지. 단순히 ‘정부에 대한 불신’ 정도이면 될 문항을 싸잡아서 10년 무능정치 그렇게 몰아가는 거야. 불만 층이 그쪽에 응답을 하면 이제 10년 무능정치는 사실이 되어버리는 것이지. 그러니 언론이라는 것이 긴가민가 하는 설에 입각해서 뭔가를 주장하면, 설문을 통해서라도 말야, 그럼 그것이 정설이 되어 버리는 것이라고. 그 다음에는 그것을 기준삼아 또 적당한 가설을 만들어낼 반석이 되어버리는 것이지. 그 구조를 제대로 공부한다면 신문방송에 귀기우릴 필요가 없어질 거야. 알게 모르게 노출되어 교양당하는 것이 인간이지. 코미디 한 줄에서도 교양당하고 말고.

안경: 그래서 펜은 칼보다 무섭다고 했던 거지.

물고기: 그럼,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서도 죽이지. 개인이면 또 피해가 작지만, 체제도 펜이 죽이는 거야. 인간의 비판적 정신의 뇌관빼기는 식은 죽 먹기야. 쇠귀에 경 읽기라고? 아니야. 이 매체시대엔 사람들 유도하기가 개 끈에 매인 개 끌기보다 쉽지.


그 다음 이야기들은 더 어려워지고 있었다. 분명 이 여자들은 그냥 놀고먹고 몰려다니는 여자들은 아닌 성 싶었다. 하긴 화투짝 달란 말도, 노래방기계 찾는 말도 없고 보면 싱겁디  싱거운 것이 다르긴 달랐다. 나는 양심에 한 가지 찔리는 일이 있어 그 자리를 슬그머니 피했다. 내가 바로 주식 투자해놓고 거기다 표 찍은 그런 사람이었으니 말이다. 난 그래도 표 찍으러 갈 때 까지는 사람이 일단 부자로 살아봐야 되지 않겠냐던 통장 박씨의 말에 수긍이 갔었다. 정말 부자 세상이 한 발짝 다가온 느낌이었다.

박씨는 꼭 그렇게 말했었다. 대통령이 뭐라요, 우리 같은 사람 잘 살게 해주면 그만 아니요. 후보가 워낙 부자니까 더 이상 부정을 안 해먹을 것 아니요.

나는 의아했다. 부자들이 가난한 사람 속 알기나 한다요.

박씨는 뭔가 확신했다. 아따, 가진 재산이 몇 백억도 넘는다는데, 뭘 더 꿍쳐 묵겄소. 가진 재산 다 내놓겄다 하지 않았소!

쬐금 수긍이 갔다. 그런 양반들이야 뭣 누러갈 때 올 때 맘 다르고, 그러든 않겄지라.


그런데 상을 좀 치울까 들어가서 다시 듣게 된 이야기는 더욱 불안한 내용이었다. 여자들이 여자들 알기를 매서웠다. 아니 남녀 간에 사람들 알기를 알알했다. 누가누가 한 말인지 이젠 분간이 안 섰다. 대충 이런 말이었다.

짝을 두고도 정분이 나는 일이 왜 생기느냐. 그래서 짐승만도 못한 것이란 욕이 있지.

아니 짝짓기 본능이 뭐 나빠. 본능인데. 본능이 단혼제가 아닌 것을 유독 기독교도덕이 신도 하나요, 남편도 아내도 하나라고 가르쳐서 그렇게 못 밖아 두니까 본성이 발동하는 것이지.

게서 기독교가 왜 나오냐? 그럼 일부다처를 은근히 인정해온 유교가 나았단 말이냐?

종교는 빼, 제발. 문제는 본능보다 더한 데에 있어. 거기에 권력과 지배가 들어가니 문제지.

웬 권력?

권력이지. 여자가 왜 약자이게, 권력이 없어서 그렇지. 가정에서 권한이 적으니 항상 눌렸지만, 지금 세상이 바뀌어 가고 있잖아. 고개 숙인 남자, 그 정도는 곰팡스런 말이지. 요샌 여자들이 집장사다 주식이다 큰돈을 만지잖아. 그래 남편들이 죽 쑤고 살기도 하나봐.


이 대목에서 난 움찔했다. 밥장사는 아무래도 내 주관이다. 남편이야 가게 문열어주고 문단속하는 일 말고는 모른다. 기껏 셔터맨 신세다. 장부 간섭도 못하게 내주장이 되었고, 주식이다 은행관리도 내주장이다. 돈 얻어다 쓰는 셔터맨. 남편도 그래서 점점 무력해지는 걸까. 밤이고 낮이고 남편더러 느림보 다름 아닌 꼴이라고 나도 제법 잔소리 큰소리 아닌가.


가만 보니 물고기 눈이 말이 젤로 많았다. 돈과 권력은 한 칼의 두 날일뿐이야. 어느 경우나 돈 많은 집에서 며느리 들이면 아들이 처갓집 종 되는 것 시간문제지. 아내의 부정? 그런 것 챙기는 것도 권력이 있을 때 말이라니까. 전에 우리 어머니들 세대에 행주치마에 눈물 찍어 바르며 밖으로 도는 남편 돌아오기 학수고대하던 것? 영화에서나 볼 걸. 지금 어떤 아내가 그래? 아내가 하다못해 남편월급통장이라도 돈줄을 쥐고 있으니, 여자들 세상이지. 남편이 아내의 남자친구를 봐줘야 하는 세상이라고.

설마.

있는 층에서야 제각기 사생활 존중한다는 미명으로 서로의 행복추구권을 위해 서로 모르는 척 살고.

그럼 없는 층은?

없는 사람들은 서로 참지. 그나마 날품이라도 들여오는 서방이 안 들어오면 뭘 먹고 살까 해서 참고, 또 그나마 각시 나가버리면 어떤 여자가 와서 밥이라도 해주랴 싶어서 참고.

설마.

그래 설마야, 설마 아내들이 다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그럴 수도 있다는 말이지. 호스트바가 번연이 성업이고, 그곳에 꼭 남편 없는 여자들만 드나든다는 법 있어? 왜 그 유명한 한 때의 황태자, 돈 많은 권력층 남자야 그렇다 치고, 그 귀부인 여자가 따로 호스트바 단골이라 소문났었지. 물론 뜬소문일 수도 있고. 하긴 지난 세대 여자들이 당했던 설움을 복수라도 하는 행태인가 봐. 아직 물론 그런 독기가 다 퍼진 건 아니고. 여전히 선량하고 가족밖에 모르는 바보 현모양처들이 많지만. 또 맞벌이여잔 더하지, 바람날 시간이나 있어?

시간 있다고 바람이야? 그만들 해. 왜 그리 희망 없는 소리들을.

여전히 여성에게만 윤리적 잣대가 까다롭다는 거지.

하긴 사시나 붙고 공무원이나 교사가 되어야 동등한 대우지, 일반 급여는 동일노동에 동일임금제라니 어림없지. 불평등고용에서 시작하니까 야침 찬 젊은 여자애들이 묘한 수들을 쓸 밖에. 그 쩡아사건도 남자들 일각에선 전혀 다르게 말한대잖냐.

전혀 다르게?

그래, 전혀 다르게. 그 사건에선 박사학위만 고장이었다는구나. 그것만 가짜가 아니었으면 아무 일도 아닌 거래. 그래서 심지어 억울하겠다고 동정한다는 게야, 세상 남자들이. 그만한 일, 권력층 중년과 미모의 젊은 여자 이야기는 밥 먹고 차 마시고 운동하는 일과 하나도 다를 것 없는, 그렇고 그런, 아예 이야기 거리도 안 되는 일상인데 그랬다는 거야. 그 높은 양반의 불운은 하필이면 교수자리 탐낸 여자와 엮인 것뿐이라는 거지. 그걸 빼면 어떤 범죄적 요건이 아니라, 그저 좀 쏠쏠한 일상이라는 거야.

뭔 말이 좀 이상하네. 남자들 입장에선 전혀 흥분도 분노도 할 일이 못된다고?

그러니까 결국 들어맞네. 여자가 두뇌가 크면 가슴이 없다고 했던 말. 남자에겐 가슴이 큰 여자면 된다, 두뇌가 큰 여자는 재앙을 가져 온다 뭐 그런 말. 젊은 여자가 보석이나 명품만 탐했으면 실컷 사 줄 수 있었는데, 사회적 지위까지 탐해서 골치 아파진 것이로군.

아니 뭐, 그리 의기소침해 할 것 있어? 대다수의 선량한 우리 남편들은 그렇지 않지. 그건 특권층 이야기야. 특권이 많아지면 반대로 단점도 많아지게 돼있어. 평범한 우리들이야 무슨 억하심정으로 세상 남자 여자를 다 욕해?


정리하자면 이랬다. 우리네가 좀 심하다. 우리나라가 너무 좁아서 냄비방이다. 정치인이면 정치인, 연예인이면 연예인, 하고 사는 것들이 다를 텐데. 그런 사람들은 특별히 행복해야한다는 말은 아니지만, 아무튼 삶이 모양새는 달라야 마땅하다. 그런 사람들의 행태가 여과 없이 일사천리로 평범한 가정에 전달이 된다. 돈과 권력이 되면 되는 만큼, 부치면 부친대로, 똑같은 모양새로 다 하려든다. 각각의 정체성을 지닌 고유의 문화가 없다. 청소년이 즐길만한 문화, 중년이나 노년이 즐길 수 있는 문화가 따로 없다. 20대 처녀들에게 반팔 반바지가 유행이면 중년도 똑같이 한다. 딸들이 사다준다는 핑계로 다 따라한다. 딸들이야 부모보다 훨씬 크게 날씬하게 자라서 부풀린 칠부소매를 입어도 나실나실 예쁘다. 그걸 어머니가 따라 하면, 세월 따라 툭 벌어진 어깨에 짜리몽땅한 팔에 짧은 소매기장이 통장수 칼만 같다. 또 요즈음 아이들은 얼굴이 길다보니 꾸냥처럼 앞머릴 잘라도 귀엽다. 하지만 원래 보름달 얼굴에 주름 없앤다고 바람 넣어 볼 살 미어지게 부푼 아줌마들이 앞머릴 똑 잘라 놓으면 얼굴이 그만 반 토막이다. 키까지 더 작아 보인다. 젊은 연예인들이 새까만 머리염색들을 하고 나타나면, 흰머리 염색도 다 새까맣게 따라 해서 가짜인 것만 더 들통난다.


머리를 쓰다듬다 보니 정말 내가 그랬다. 미장원 가니 앞머리 몽땅 잘라서 펴고 뒷머리만 파머하래서 그랬다. 그래서 내 키가 전보다 더 작아 보일까? 반코트도 팔을 두 동강 내어 주름잡은 게 멋있어 보여서 장만했는데. 난 딸 아이 흉내가 아니라 증권회사에서 만난 여자가 멋있어 보여서 그만. 헌데 이 여자들은 먹은 밥알보다 쏟은 말들이 더 많겠네.


외양만 그런 게 아냐. 그렇게 해서 젊은 멋도 노숙한 맛도 구별이 없이 섞인 세상이야. 가치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니까.

뭐 그래도 유행 무시할 수 있어?

‘할 수 있어?’가 아니라 무시 ‘해야 해!’ 아님 내가 누군지 모르게 되지, 점점. 우린 종일 교양당해서 문제야. 정말 너절한 것들 그만 배워야 해. 텔레비전에선 배우얼굴도 제대로 바뀌지 않으면서 여기서 저기서 태어난 악연들이 얽히고설키어 부정한 일가친척으로 드러나는 꽈배기 연속극에 정신 팔지. 억지 코미디를 들여다보며 교양당하지. 어디 어디가면 뭐뭐 맛있는 것이 있다는 호들갑에 그런 음식 못 먹는 내 밥상만 초라하고, 고장마다 명소마다 찾아다니며 맛있는 외식을 하지 못해서 불행하게 느끼게 만들고…….

하긴, 휴대전화 없음 사람 축에도 못 끼지, 불과 몇 년 전까지 그런 것 없어도 전혀 불편하지 않았던 삶을 깡그리 잊어버렸나 봐 우린 지금.

방송이라고 다 나쁘냐, 진짜 교양프로도 있잖아. 우리말에 대한 관심이나 좋은 책에 대한 토론도.

그래도 진짜 교양프로는 한 밤중에나 하더라.

것도 만날 재탕이야. 내가 정말 존경하는 여자, 화가 김점…….

그래, 너 화가되려던 때도 있었지?

무슨 딴 소리!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도 또 보고 또 보면 식상한데, 하긴 아마 그만한 극적인 인물들이 없다보니 재탕이겠지.

누군데? 

그만 두자. 말이 길어, 김치도 못 담가 먹으면서 그림만 그렸다는, 거지꼴에 좀 미친……. 그냥 내가 많이 좋아해서. 그런데 너희들, 선거전이고 뭐고 대강 말하는 사람 이야기 들어보면 무슨 신문을 구독하는지 냄새 안 나던?

냄새? 하긴, 만날 같은 논조를 읽다보면 그대로 동화된다니까. 정체성이 길들여진다고 말하려는 거지 너?

그래, 때가 때이니만큼. 민주주의체제에선 적어도 자신이 지지하는 정당이 있어야 하지 않아? 대의정치가 뭔데? 내 뜻을 대신해줄 정당이 필요하잖아? 아무튼 그때, 그래도 대의를 따른다고, 지역당을 탈출하련다는 그 대의를 믿기로 하고, 그쪽을 따라 정체성을 옮겼거든. 그러더니 이번에 봐. 또 그 변신의 주역들 중에서 날랜 기수를 앞세우고 무리지어 그 정당을 또 떠나는 거야. 그럼 이번에 또 어쩌라는 것이냐고. 난 분명 두 번의 배신은 참지 않았지. 선거 끝나고 헤쳐모이고, 또 선거 앞두고 헤쳐모이면, 어디에 정체성을 기대느냐고. 그래서 아깝지만 버렸어. 그렇게 탈바꿈을 하는 정당은 버리려고. 누에도 아니고 계속 탈을 벗어야해? 그런다고 나방이 호랑나비가 되나? 난 나방이 나방대로 살 제 길을 보지 못했어. 방황하는 나방이 신세? 그것이 선거를 치르는 심정이었어.

뭐야 그럼 넌 우리 쪽에서 보면 이탈표였네. 그럴 수 있어?

그래 이탈이지. 맹목과 맹신으로부터의 이탈이지. 내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야 해. 정체성 정치의 의미에선 늦어도 총선 전까진.

너 말투가 이미 대선에서 그 싹을 보았다는 말 같이 들린다.

그래 그런 것 같아. 지금의 선택으로서는 환경에 기댈 밖에.

환경? 바로 그거야. 환경을 보듬는 정책에 최우선 점수를 줘야 해. 《불편한 진실》 찾아서들 봐, 꼭. 뭔가 영화다 뭐다 예술이 영향력을 가진다면 그런 영화를 만든 사람들을 존경해. 그 한편을 진정으로 본다면 사람이 달라질 수밖에 없어. 이 바닷가 마을들이 물속으로 가라앉을 미래를 경고해주니 말이야.

여기도?

이 바다라고 예외겠어, 완급이 있을 뿐. 공룡들도 그랬을까 싶어. 최강자로서 자연을 장악해서 유용하게 수탈하고 보니, 더 수탈할 자연이 남지 않았을 때 공룡 또한 함께 멸망했을까?

그럼 인간도 외톨이가 되어․…….


멀건 차를 한나절씩 마시며 알쏭달쏭 이야기만 늘어놓던 여자들이 드디어 자리를 떴다. 꼬막들은 시장에 가서 살 양인지, 유자절인 것만 두 통 나갔다. 매실절임은 권해도 다들 담갔단다. 그 나름 부지런한 여자들인가 보다.


*

꼬막식당집 주인여자는 숨을 돌린다. 시간이 점심장사와 저녁장사 정 중간이다. 아까 여자들은 행색도 괜찮고 제법 유식한 것 같은데 주식소문을 모르는 것이 주인여자의 마음에 걸렸다. 여자는 OO카드가 OOO카드라는 소문도 미심쩍어진다. 혹시 허튼 주식을 샀단 말인가? 갈팡질팡. 사실 그 주식이 곤두박질치면 큰일이 난다. 그렇더라도 만일 OOO카드가 사실이라면 뭔가 죄를 짓는 것 까지는 아니라도 좀 껄끄러울 것은 마음이 되기도 한다. 선한 데는 못난 정이 섞여있다.

여자는 안방에서 잠시 뭔가를 추스르더니 슬그머니 가게를 빠져나온다. 가방끈을 어깨에 걸메고서도 가방을 꽉 껴안은 품이 매상 입금하러가는 모양이다. 그런데 가까운 신용금고로 향하지 않는다. 조금 두리번거리면서 네거리를 둘 지나 왼쪽으로 꺾어들자 이상한 열기가 돈다. 증권사 안은 늘 그렇게 덥다. 스팀을 팍팍 때서 그런 것만은 아니다. 죽느냐 사느냐의 줄타기라는 속성 때문에 사람들이 더운 숨을 내쉬는 때문이겠다.

어라? 남대리, 실눈에 이마가 반질거리는 젊은 남대리가 자리에 없다. 그러고 보니 문을 열고 들어설 때 받은 분홍빛 엷은 공기가 착각이었는지, 뭔가 서늘하다. 사람 하나 자리에 없다고 이러나…… 그런데 왜 과장인지 저 구닥다리가 그 자리에 있나? 아니, 자세히 살피니 잠시 비운 자리가 아닌 듯한 인상을 받는다. 결근이란다. 결근. 이상타. 그냥 오늘은 수선스런 날인가 보다, 라고 여자는 생각한다. 괜히 이상한 여자손님들 잡담에 가슴이 쿵쾅거리더니만, 잘 좀 알아보려고 오니 하필 남대리가 결근이라니. 내일은 나오겠지, 하릴없이 발길을 돌려 나온다.


여자는 갑자기 바닷가가 그리웠다. 꼬막으로 밥장사하면서도 실제로 갯벌을 본 것이 언젠가. 밥장사하다보니 계 몇 개도 나가기보다는 계군들이 꼬막식당으로 모이는 편이다. 해외여행간다고 붓는 곗돈은 밥들도 안 먹고 갑장인 일수쟁이여자가 와서 돈만 걷어간다. 만기도 아직 멀었고, 해외가 다 뭔가, 이 수선한 심정으로. 여자는 우선 바다가 그리워지는 모양이다. 꼬막은 많이 나도 이 고장엔 해수욕하는 바다는 없다. 그냥 갯벌이다. 털털대는 버스로 시간 반 쯤 떨어진 여자의 친정 쪽은 툼벙댈만한 바다가 있었다. 원피스만 벗어 깨끗한 돌로 눌러놓고 텀벙대던 시절을 아스라하게 그려본다.

그런데 아까 여자들 이야기 중 바닷가가 가라앉는다는 건 또 뭔가. 친정부모가 묻힌 바닷가가 가라앉으면 어찌될 건가? 여자는 괜스레 불안하다. 지금 바다 끼고 사는 사람들조차 이 터전을 떠나야 하는 일이 생긴다면? 가만있어도 그런 날이 닥치리라던데, 무슨 말이 씨 된다고 그런 소리들을 해 대는가 기분이 나빠진다. 난방도 줄이고 물도 아껴 쓰라면, 그런 정도야 얼마든지 환영할 일이겠다 싶다. 우선 세금 덜 물고. 식구들 단속 좀 해야지. 생각이 여기에 미치자 가끔 유식한 손님들이 오면 그 나름대로 이문이 있다 싶어 오히려 안도감이 생긴다. 여자는 버스를 타려다말고 돌아온다. 저녁 장사시간이 닥치는데 무슨 내일 모레 타령이냐 싶어서다. 여자는 고개를 턴다, 나 죽은 뒤에 바다가 가라앉으면 알게 뭐냐. 새끼들이 안타깝지만, 그 여자들 말이 신선님 말도 아닌 것이고. 그냥 잊기로 한다.


여자는 그 다음날 벌써 유난히 바쁜 하루를 보내면서 어제의 일은 흘려버렸다. 점심이 워낙 붐벼서 증권회사에 나가볼 짬을 못 냈다. 그리고 저녁 늦게야 뉴스를 들었다. 큰 손 여자들이 사람을 시켜 한 증권사 펀드매니저를 납치해서 감금했는데, 돈을 날려버린 분풀이였다는 것이다. 가만, 분풀이라면, 돈은 영 못 받는다는 거네! 가만, 그건 그렇고, 그 여파로 그 쪽 줄에 선 여기저기 자잘한 직원들이 숨어버리거나 했다는데……. 가만, 남대리도 결근한 것이, 설마, 월차가 겹쳤겠지. 설마가 사람 잡는다지만, 설마…….


새해라 해도 아직 꽁꽁 언 겨울밤은 길기만 하다. 언제 날이 밝아올 것인지. 적금이자가 이리 꽝인데, 뽄든가 폰든가 안할 여자들이 어디 있단 말인가. 아이고나, 겨울밤은 길기도 하다. 시집와 첫 겨울 뜨뜻미지근한 아랫목, 한 번 돌아 누어버리면 뻣뻣한 옆 사람 파고들며 날 밝기를 한탄하던 그 시절은 멀리도 사라졌는데……. 어서 날이나 밝아라.


전 날 휘파람 남대리 대신에 누런 과장이 앉아있던 자리에 오늘은 허연 수염의 신령님이 서있다.

네 돈은 은보따리냐? 금보따리냐?

누가 요 세상에 보따리에다 돈을 싼다요? 제 돈은 짜가라도 구찌가방에 넣었지라.

어허, 구자가방은 첨부터 없었니라. 아까 누가 팔자가방을 찾기에 하나 돌려주었고. 지금 남은 건 요 은보따리와 금보따리 뭉칫돈뿐인데, 어허…….

놀리지 마세요. 사과상자나 케이크상자라면 모를까 요즘에 누가 보따리에 돈뭉치를 싼다고 그러실까.

아따, 사과상자를 금전으로 채웠냐 은전으로 채웠냐 그 말인데, 말귀도 참 못 알아듣는구나. 헌데 보아하니 어쩐 형국이냐, 네가 여기 올 팔자가 되기나 하냐, 꽝!


꽈당 하는 지팡이 소리에 놀라 눈을 드니 시계 바늘은 여전히 칠흑 속에 잠겨있다. 다시 눈을 감으니 신령님 긴 수염이 갑자기 딱 중간에서 여덟팔자로 갈라져 양쪽으로 날린다. 털어버리려고 눈을 크게 떴는데 귓가에서는 여전히 신령님 말소리가 왕모기처럼 따갑게 앙앙댄다. 팔자라, 팔자…….

여자는 이번엔 정말 눈을 뜨고 검은 천장을 바라본다. 내가 잘 못 했을까? 돌아가신 울 아부지, 돈 놓고 돈 묵는 일만은 하지 말라고, 땅 파묵고 살든지 고기 잡아묵고 살라고 하셨는디. 박서방이 밥은 먹일게다, 허니 나서도 말고 살라셨는디. 밥장사 나서서 모은 뭉칫돈, 그 돈은 지금 잃었거나 있거나 둘 중 하나다. 이미 정해져버렸다. 불안해도 소용없다. 지난 일이다. 돈 따라 찾아나서 마음을 보챌 것이 아니라, 이대로 원래대로 하면서 잘 살자고 참고 나가는 것이 마땅할까. 내 본 모습, 내 본 삶을 보듬는 것이.

정치성, 아니 정체성이라고? 꼬막밥장사나 하다가 그런 희한한 소리를 듣게 된 내력은 실로 우연이었다. 그 점심 손님들, 그렇게 이해하기 힘든 말이 또 있었을까. 여자는 그래도 그 문제를 파고들기로 했다. 뭉텅이 돈 잃고 미치지 않으려면 거기에라도 매달려야 했다. 나는 본시 돈 놓고 돈 묵을라는 사람은 아니다. 나는 그저 묵묵히……. 하지만 분통이 터진다. 그럼 언제나 사람 같이 살거나. 언제 이 비린내 짠 냄시 다 털고 사람같이 살거나.

내 이름은 숙이, 정숙이, 박실이, 그러다가 은행에 가서는 김정숙이 되었다. 내 이름은 김정숙. 이름 석 자에 돈도 들어 있고, 도장도 서너 개는 된다. 만일의 경우를 위해서, 만일의 경우가 이런 걸까? 아무튼 만일의 경우를 위해서 도장을 은행마다 다른 것으로 팠다. 김정숙, 김정숙, 김정숙……. 정체성이라면 나 자신인 것. 내 돈이 날아가면 나도 날아가는 걸까? 내 돈이 날아가도 내가 날아가지 않으려면 나는 무엇을 붙잡아야 하는 걸까? 여자는 어둠이 스멀거리며 날이 뿌옇게 새도록 제 이름 석 자를 중얼거린다. 김정숙, 김정수욱…….

 

 

소설시대 17호 80-102쪽, 2010.05. {한국작가교수회}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모지에서 더 성한 나무, 문학 - <소설시대> 18 권두언  (0) 2010.11.15
병든 고향  (0) 2010.08.15
소설집 <반대말•비슷한말>  (0) 2010.02.25
쪽지 붙였음 - <PEN>  (0) 2009.10.14
네 번째의 죽음 - <한국소설>  (1) 2008.09.01
Posted by 서용좌
수필-기고2010. 4. 1. 23:00

무거운 책들


뭘 많이 들고 다니시네요, 무겁게!

머리가 가벼우면 책이라도 무겁게 들고 다녀야지요.

남보다 느린 걸음으로 늘 무거운 가방을 들고 강의실을 오갈 때면 주고받는 인사말이었다. 그런 나날, 겨울이었다. 12월 중순 들어서야 시험지 보퉁이를 끌어안고 연구동 층계를 내려오는 늦은 오후, 해지는 저녁. 나는 그날 퇴근길에, 바로 그 층계참에서부터 퇴직을 결심했다. 아무 쓸모없다는 문학수업을 해놓고서 또 아무 쓸모없을 등급으로 나누는 작업을 더는 하고 싶지 않다고, 아니, 그만 하겠다고.

해방은 이렇게 아주 급격한 염증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니까 염증이란 순간에 도를 넘는다. 펌프로 물을 길어 물탱크에 채우는 것을 바라보던 아이. 그렇게 저 만치 아래에서 천천히 조바심 나게 높아지던 물은 찰랑찰랑 가장자리에 차오르는가 하면 어느 순간 밖으로 넘칠 것이다. 하지만 어른들은 탱크를 넘치게 할 생각이 없다. 조금만 더, 조금만 더, 아슬아슬하게 물이 넘치는 순간, 그 순간을 기다리던 심정이 되살아났다.

그렇게 물이 입 속에까지 차올라와 익사당하기 전에 성큼 일어나 물 밖으로 나와 버렸다. 설마 하던 학과 식구들은 평상시 내 분별없는 고집을 떠올렸는지 곧 퇴직을 기정사실화했다. 한 겨울 숨 막히게 애쓴 제자들 중심의 간행위원회에선 내게 두 권의 책을 선물했다. 이름 하여 『창작과 사실. 양심으로서의 문학에 대한 고찰 1983-2009』라는 논문집과 『반대말 ․ 비슷한말』이란 소설집이다. 여러 의미로 양장도 사양하고 흑백을 고집했더니, 책들은 내용 어슷하게 외형도 왜소하다. 표지만큼은 미술전공의 둘째아들이 많은 시간 공들여 만들어준 예술품이다.

나는 3월 한 달을 그 간행위에 참여한 78인에게 각각 책 두 권에 사인을 해서 보내는 일로 살았다. 이름마다 - 더러 동료도 섞이었지만 - 생각해 보았다, 이 젊은이들을 밥벌이 못하는 무능력자로 키워낼 뿐이라는 오명을 듣는데 지친 우리는 인문학을 송두리째 버려야한단 말인가. 인류의 원천적인 무엇, 시공간을 초월한 원형적이고 보편적인 그 무엇이 분명히 존재하리라는 믿음을. 인간을 효용성의 수치로 파악하려는 시대의 어리석음에 그리 쉽게 굴복해버리기에는 청춘이란, 아니, 생이란 너무 아까운 것임을.

책을 나누는 일은 대강 마무리되었지만 새로 서가 정리는 아직 엄두도 내지 못한다. 다 버리고 온 것 같았는데 널부러진 짐짝인 채로 불어난 서가를 보면 부끄럽기 그지없다. 무소유의 가치가 다시 우리를 일깨운 즈음에 더욱. 누군가 신문에 ‘목침용으로도 쓸모 있을 것’이라 평을 한 1296g짜리 번역서나 그 두 배에 육박하는 양으로 써낸 책들이 눈에 들어오면 더욱. 이렇게 별 쓸모도 없이 무거운 책들은 기껏 지나온 세월의 나를 나타내주는 이정표에 불과하리라. 나는 이 시간을 살고 있고, 내일을 살고 싶다. 아직 꿈이 꿈틀대는 내일을. 제대로 교수도 소설가도 아닌 박쥐인생을 이제는 털고 동굴 밖으로 나가고 싶다. 아무튼 박쥐에게도 날개는 있으니까. 마음은 벌써 알 수 없는 자유로움과 환희와도 같은 떨림을 느낀다.

-----------------------------

<아름다운 인연>에서 청탁 받은 글.

'수필-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 바닷물을 다 켜야 맛인가요.  (0) 2010.12.31
도마뱀 - <문학공간>  (0) 2010.12.01
평행선  (0) 2009.12.12
그림자 도시 - 개성 방문기  (0) 2009.03.28
눈이 있었던 것  (0) 2008.11.20
Posted by 서용좌
서평2010. 3. 17. 23:30

      광주일보                                 

獨문학자 서용좌씨 소설·논문집 동시 출간

2010년 03월 17일(수) 00:00

독일문학을 연구하는 학자로, 소설가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서용좌(64 ·전 전남대 독문과 교수)씨가 소설집 ‘반대말 비슷한말’(전남대학교출판부 펴냄)과 논문집 ‘창작과 사실’을 동시에 출간했다.

소설집 ‘반대말 비슷한 말’은 늦깎이 소설가의 십 년에 걸친 작업의 결과물이다.

이번 소설집에는 단편‘쪽지 붙였음’, ‘네번째의 죽음’, ‘마리아 막달레나’, 중편 ‘부나비’, ‘태양은’ 등 12편의 중·단편을 엮었다.

표제작 ‘반대말 비슷한 말’은 명예퇴직을 고려하는 교사가 기억도 잘 나지 않는 제자를 통해 옛 동료와 시공을 뛰어넘어 펼치는 감성과 지적유희를 다룬 독특한 형식의 소설이다.

논문집 ‘창작과 사실-양심으로서의 문학에 대한 고찰 1983∼2009’은 제목에서 알수 있듯이 서씨가 그간 교수로 재직하면서 발표한 연구성과를 엮은 것이다. 서씨의 전공분야인 하인리히 뵐에 대한 연구를 비롯해 페터 슈나이더, 파울 첼란 작품연구 등 학회지와 잡지 등에 발표한 내용이 총망라되어 있으며 독일어 원문 논문도 실렸다.

광주 출신인 서씨는 전남여중고와 이화여대 독문과를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북대 독어교육과, 전남대 독문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독어독문학회 부회장, 한국하인리히뵐학회장을 역임했다. 장편소설 ‘열하나 조각그림’과 연작소설 ‘희미한 인(생)’, 중편 등을 발표한 바 있다.

한편, 이번 소설집과 논문집은 서 교수의 갑작스런 명예퇴임을 맞아 제자들이 중심이 되어 간행위원회를 꾸려 석별의 정으로 펴낸 것이다.

/김대성기자 bigkim@kwangju.co.kr
Posted by 서용좌
독문학2010. 2. 25. 23:30

창작과 사실 - 양심으로서의 문학에 대한 고찰 1983-2009

서용좌서용좌교수명예퇴임기념 논문집소설집간행위원회편,  전남대학교출판부 2010


 



        차례


간행사  ........................ 5


머리글  ........................ 6


하인리히 뵐과 쾰른  ........................ 11


길항작용에서 정체성 추구로

- 하인리히 뵐의 『어느 광대의 견해』와

베른하르트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에서 세대 간의 문제........................ 25


창작과 사실:   하인리히 뵐의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에 나타난

                                                           언론보도의 문제        ........................ 49


행동으로서의 부적응 - 하인리히 뵐의 『강풍경을 마주한 여인들 ........................ 76

 

인도주의와 미학의 긴장: 하인리히 뵐의 풍자물에서 본 서술전략 ....................... 93


“Was ist der Mensch ohne Trauer?”

- Heinrich Bölls Stimme klingt weltweit.   ....................... 113


에.테.아. 호프만의 「모래귀신」의 서술자 ....................... 131


하인리히 뵐의 작가 정신: 예술가 - 시민간의 정체성 문제 ....................... 156


하인리히 뵐의 「검은 양들」과 47동인의 “정신” ....................... 183


하인리히 뵐의 유토피아의 가능성  ....................... 203


하인리히 뵐의 『흔적없는 사람들』의 사제의 침묵: “소수에 대한 이해”....................... 224


기구화된 사회속에서 원시기독교정신의 회복:

하인리히 뵐의 풍자물 「무르케박사의 침묵수집」 ....................... 251


독일의 전후 상황에서 하인리히 뵐의 작품에 등장하는

부적응의 인물들의 기능  ....................... 276


페터 슈나이더의 『렌츠』 연구: 개념과 인지의 불일치      ....................... 302


Heinrich Böll의  『Das Brot der frühen Jahre』에 있어서

 “Aussteigen”의 의미  .......................331


Peter Weiss의 『Die Verfolgung und Ermordung Jean Paul Marats

dargestellt durch die Schauspielgruppe des Hospizes zu Charenton

unter Anleitung des Herrn de Sade』 연구

- 시민사회의 억압하에서 예술의 표현자유를 위한 실험 ....................... 357


Heirich Böll의 『Gruppenbild mit Dame』: 성취거부의 생활원칙  ....................... 400


파울 첼란의 「죽음의 푸가」에 있어서 대위법적 구성의 기능과 효과....................... 439


하인리히 뵐의 『어느 어릿광대의 견해』에 있어서의

순간과 현실에 대한 의미 분석 .......................      471

 


 

간 행 사

 

늘푸른 나무가 고목이 되어도 아름다운 것은, 오랜 세월 묵묵히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그늘을 넓히고 그 그늘아래 수많은 사람들을 쉬어가게 하기 때문입니다. 또 그저 굽어가는 것이 아니라 표 나지 않게 그 안에 수많은 생명을 품고 키워낸, 조용하고도 뜨거운 열정 때문일 것입니다.

늘 같은 자리에서 같은 모습으로 독문학에 대한 열정을 보여주신 서용좌 교수님의 명예퇴임에 많은 동문들과 한 목소리로 존경과 감사를 보냅니다. 가을밤이면 우리의 전통이 된 독문학제를 함께 기뻐하시던 선생님, ‘적나라한 동영상을 접할 때 보다 암시적인 문자책을 읽을 때 우리의 상상력이 무한대로 확장된다’고 하시던 선생님의 말씀이 떠오릅니다. 손가락 하나만 클릭하면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미디어시대에 책과의 소통과 대화의 즐거움을 선물하기 위해 손수 창작활동에 매진하여 자신의 그늘을 넓히신 선생님의 모습에도 다시 한 번 박수를 보냅니다.

이러한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모아 그동안에 선생님이 남기신 열정을 두 권의 책으로 담아 보았습니다. 이 책 안에는 선생님의 냉철한 비평가로서의 모습과 상상력 가득한 창조적인 작가로서의 모습이 동시에 담겨 있습니다. 캠퍼스를 떠나시는 선생님께 후학들과 제자들의 작은 정성이 기쁘게 전달되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이 책안에 선생님을 보내드리는 아쉬운 마음도 함께 담아봅니다.

이후에도 선생님의 열정은 변함없으시리라는 것을 압니다. 이 책들에 아직 담기지 않은 아름다운 작품들이 선생님의 이름을 달고 세상에 태어나는 즐거운 상상을 해봅니다.  

                                                                              전남대학교인문대학독일언어문학과 동창회장

김낙현


머 리 글

 

뭘 많이 들고 다니시네요, 무겁게!


남보다 느린 걸음으로 늘 무거운 가방을 들고 강의실을 오갈 때면 듣는 인사말입니다. 그러면 그냥 웃고 말 때가 많지만, 조금 힘이 남아있을 때는 대꾸합니다. 머리가 가벼우면 책이라도 무겁게 들고 다녀야지요. 그러고는 함께 웃습니다.


둔탁한 울림부터 멋스런 도이치 - 거기에다 제대로 사람이 되려면 『순수이성비판』 쯤은 원서로 읽어야 하리라는 막연한 선택으로 독문학도가 되어 그렇게 규정되어 살아온 밤낮, 한 세월. 어느 결에 인문학이란 젊은이들을 밥벌이 못하는 무능력자로 키워낼 뿐이라는 오명 속에 어딘지 부끄러운 교수가 되어 있었습니다. 물질의 막강한 권세에 눌려 인간이 왜소해질 대로 왜소해져버린 오늘. 나•너의 유일무이한 소중함을, 문학•예술의 무궁한 가치를 논하다보면, 조금 엇박자라고 취급됩니다. 하지만 인간의 가치가 이렇게 바닥에 주저앉은 지금이야 말로 시쳇말로 출구전략을 내놓아야할 때임을 절감합니다. 더 늦기 전에 목소리를 높여 말해야겠지요. 이 물질적•기계적 인생관의 세상에서는 오히려 인간의 가치를 수호할 유일한 균형의 역할로서 인문학이야말로 진정 유용한 학문임을. 인류의 원천적인 무엇, 시공간을 초월한 원형적이고 보편적인 그 무엇이 분명히 존재하리라는 믿음을. 인간을 효용성의 수치로 파악하려는 시대의 어리석음에 그리 쉽게 굴복해버리기에는 청춘이란, 생이란 너무 아까운 것임을.


그런데 저에게는 이 모든 것이 벅차다고 느껴졌습니다. 평소에 궂은 일, 힘든 일 면해준 동료들 덕분에 일없이 그저 강의와 글쓰기에 몰두해온 미온적 자세로는 이제 부족합니다. 지구상에서 우리를 누르고 있는 바위산보다 무거운 세력, 기술에 바탕을 둔 거대자본과 권력이라는 이름의 괴물과 맞싸워 인간의 가치를 찾는 데 힘을 더하기엔 역부족입니다. 새로운 피, 들끓는 정열이 사람냄새 나는 새 기운을 일으키는 모습을 이제는 간절히 지켜보고 싶을 따름입니다.


해방은 간단한 일입니다.

지난 가을학기의 마지막 수업들은 언제나처럼 시험답안지 보퉁이를 껴안고 끝났습니다. 교수직의 나날 중 가장 우울해지는 계절병을 앓는 시간. 아무 쓸모없다는 문학수업을 해놓고서 또 아무 쓸모없을 등급으로 나누는 작업을 더 이상은 견디고 싶지 않았습니다. 해방은 이렇게 아주 급격한 염증에서 비롯되었습니다. 그리고 거의 행복합니다. 위로부터 내려오는 어떤 것도 - 무엇보다 불합리를 - 참을 수 없는, 참고 싶지 않은 세월을 살았나봅니다. 정년을 기다리지 못하고 학교를 떠나려는 몸살도 시들하고, 그렇게 얻은 시간들을 허송하게 될까 두려움도 일지 않습니다.


다만 제대로 가르침을 주지 못했던 제자들에게 늘 미안함에 더해서 이제 논문집․소설집 출간에 마음써준 모두 - 전남대학교독문과 제자들과 동료들, 전북대학교사범대학독어교육과 그리고 광주제일고등학교 제자들 - 에게 감사마음을 전하자면, 어중간한 교수의 어떤 논리로도 늦깎이 소설가의 어떤 필력으로도 모자랄 것입니다. 또한 아무 것도 아닌 이 부피의 논문들을, 또 다른 무턱대고 엄청난 양의 글들을 쓴답시고 혼자 몰두한 그 시간들을 곁에서 참아준 가족들에게도 새삼 고마움을 느낍니다.


분에 넘치는 정에 감사하며……


2020년 2월

 

                             서용좌교수명예퇴임기념 논문집•소설집 간행위원회



고창수 공양환 김낙현 김동중 김득환 김명희 김미선 김민근 김선규 김순임 김용대 김윤숙 김은주 김중웅

김태훈 김형국 김홍섭 남경호 노재봉 류성호 문광일 문미영 문영희 민춘기 박도하 박병옥 박양희 백경철

서기수 서명희 서선호 소현숙 송경안 송원근 신유진 심공섭 심택성 심현주 안영근 안평환 양미경 양우천

유명희 윤중원 이공근 이상훈 이상희 이선화 이소림 이연정 이재인 이희동 임우정 전경수 전영희 정구수

정명순 정문화 정선경 정숙미 정신석 정찬만 정찬종 정현정 정호길 정후식 조경화 조길예 조윤재 조자경

최명규 최   숙 최유영 최향동 하희자 한봉수 한창환 홍진선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0. 2. 25. 23:00

 

반대말 • 비슷한말

전남대학교출판부 2010

 

 

 

 

  차례 

머리글 ―――――4

반대말•비슷한말 ―――――8

쪽지 붙였음 ―――――31

네 번째의 죽음 ―――――55

콩나물 ―――――76

조사 ―――――97

마리아 막달레나 ―――――119

오늘과 이별하다 ―――――140

행복한 수요일 아침 ―――――167

춤꾼 ―――――194

건들장마 ―――――214

부나비 ―――――236

태양은 ―――――263

새롭고 낯선, 그래서 신선한 세계 ―――――315
   - 서용좌 소설의 특성 / 유금호

 

머리글


소설쓰기는 이 정보오락의 시대에 무엇일까요?

유명한 정도가 매년 한국의 노벨문학상 예상 인물들 중의 하나로 꼽히는 한 소설가가 학교에 초빙된 적이 있었습니다. 소강당 강연 중에 그는 시를 못 쓰는 사람이 소설을 쓴다 하고, 소설도 못 쓰는 사람이 평론한답시고 하고, 그것도 못하는 사람이 교수한다고 공언하더군요. 물론 유머였겠지만 가슴이 막혔습니다. 별 볼일 없는 문학 강의 시간 줄여서라도 학생들에게 유명작가를 만나게 하려던 저는 하릴없이 고개를 숙였습니다. 그렇다고 그제서 분발해서 소설을 쓰기로 시작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얼떨결에 소설가가 되긴 했지만, 아무도 저를 소설가라 불러주지 않은 때였습니다.


기자본주의사회에서 교수는 허위의식의 극치의 하나입니다. 어설픈 존경이라는 것도 허울 뿐, 그에 전혀 걸맞지 않게 그들이 하는 노동의 양을 생각해보십시오. 취미 하나 개발하기는커녕 마음 편히 밤잠을 자보는 것이 소원일 것입니다. 그런데 그것도 모자라서 더 많은 시간 글에 매달려도 더 알아주는 사람 없는 소설가의 길에 빠져든 것은 저로서는 실존적 선택이었습니다. 다른 나라 다른 소설들을 파먹느라 밤을 지새우는 하이에나이기를 멈추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그러나 지친 하이에나는 완전히 생경한 글쟁이의 길로 접어들자 표범은커녕 어느 곳에도 속할 수 없는 박쥐 신세가 되고 말았습니다.


그런데도 저는 늘 선택 앞에 깜깜한 채 내팽겨진 우리들의 무력감을 외면하지 못합니다. 앞을 향하고 걸어도 불안한 걸음을 계속 뒤돌아보느라 터덕거리는 어리석음을. 가끔은 먼 데 하늘을 바라며 전혀 다른 상황을 꿈꾸는 우리들의 모습을.


꿈을 꾸는 한, 인생은 늘 불발입니다. 유토피아는 아무데도 없는 곳이니까. 그런데 삶이 점점 녹록치가 않습니다. 한 겨울에도 반쯤 벗고 지내는 사람들이 있는 세상이라고는 하나, 우리들 어디에도 온기라고는 없습니다. 행여 내일 실패하지 않으려고 뇌세포는 주판알로 피범벅입니다. 그러나 그냥 살아있는 것은 모든 생물체에게 주어진 우연한 권리일 뿐입니다. 그보다는 나에게만 주어진 한 가닥 미미한 권리로서, 나는 나로서 살기를 망설이고 싶지 않습니다. 지식산업의 대열에서 살아남느라 정신에 대한 죄악이라고 홀대했던 이미지 - 이제서 이미지에 들려 나로서 상상하기는 어떤가요. 나는 상상한다, 고로 존재한다!


오래 망설이며 겁냈던 글쟁이로서의 실존 -

어딘지 산만한듯하면서도 응집력을 지닌 소설쓰기에 몰입하고 싶습니다. 서사텍스트란 겉보기에만 하나의 통일체일 뿐, 실제로는 사건의 객관적 세계와 서술자의 주관적 세계가 씨줄날줄처럼 얽힌  꿰뚫어보기 어려운 혼재의 장입니다. 등장인물이 느끼는 불평등, 장애 또는 결핍은 서술자를 긴장시키는 힘이 되어 줄 것입니다. 여기에 또 작가의 유희충동에 의한 개입이 의도적으로 시도된다면? 소설을 쓸 때면 저는 거의 전율을 느낍니다, 길은 멀지만 박쥐도 아무튼 날개는 있으니까요.


                                                              ※

 

새롭고 낯선, 그래서 신선한 세계

                         - 서용좌 소설의 특성


           유금호 (소설가 / 한국작가교수회 전 회장)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


문학 표현 양식에 대한 슈클로프스키(Shklovky)의 괘묵은 이 이론은 지금도 상당한 설득력을 지니고 있다. 작가입장이 아니라 독자입장에서도 낯설게 표현된 언어구조물을 통해 원래의 작가 심상에 접근해가는 그 과정 자체를 ‘예술행위’로 파악하는 데 묘미가 있다.

솔직히 서용좌의 소설들을 처음 대하는 일반 독자라면 부분적으로 당혹해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 서사물에 길들여진 독자에게 시도 때도 없이 문맥 속에 끼워드는 작가의 맨 얼굴의 언술과 현학적 수사들이 불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보통 소설들이 작가 메시지를 객관적 서사 속에 용해, 육화시켜 내보여왔다면 서용좌 소설에서는 서사의 행간 속, 작가의 자유로운 사유와 분석, 예증들이 ‘바슐라르’ 이상의 상상력을 가지고 풍요롭게 부유한다.


소설이 꼭 객관화된 서사 속에서 작가의 영혼을 간접적으로 표출해야 하는가,는 현재로도 얼마든지 이론이 있을 수 있다. 근래 소설 이론서들 목차에 과거 앞자리를 차지하던 ‘주제’ 항목이 뒤로 밀리거나 삭제된 경우를 본다. 그만큼 소설양식 자체도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잘 빚어진 찻잔 같던 19세기 식 단편들과는 다른 새로운 접근 속에 용좌의 소설이 놓인다는 것은 현재의 한국문단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일이다.


[…]


사소한 것에서 의미 찾기


아주 작은 사물이 특정한 작가의 촉수에 잡혀 엄청난 질량으로 확대 생산되는 현상을 가끔 볼 수 있다. 영민한 작가일수록 그 사소함에 의미를 확장시키는 능력을 지녔다고 하면 조금 과장된 주관일까. 이 소설집을 읽어본 사람들은 느끼겠지만 서용좌의 촉수는 그런 면에서 매우 민감하다. […]



새로운 시도에 대한 기대


<“나는 하이에나가 아니라 표범이고 싶다.” - 평생을 다른 나라 다른 사람들의 소설들에 파묻혀 살다보면 하이에나로 변해가는 환상에 두려울 때가 있다. 다른 나라 다른 사람들의 소설들을 파먹느라 자판 위를 달리는 손가락들이 하이에나의 발가락처럼 넷씩으로 변하고, 꼬리에 수북이 털이 돋는 느낌에 소스라친다.

그런 순간이면 <새 글>을 열어서 내 글을 쓴다, 갑자기 아주 서툴게. 나의 심장에서 이웃들의 심장에서 일렁이는 소리에 가만히 귀 기울인다. 왜 우리는 저 혼자서 제 삶을 생경해하는 것일까. 가을 비 차갑게 내리면 더욱.>

      

이 글은 작가가 한국소설가협회에서 발간되는 잡지에 처음 소설을 발표하면서 쓴 글의 일부이다.

이 작가가 소설쓰기 보다 독일문학을 연구하는 학자로, 교수로 더 많은 시간을 보낸 사람이라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자기감정의 글쓰기보다 판단하고, 분석, 비교하는 위치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독일 철학자와 문학가들의 삶과 사상 속에 깊이 천착해 온 작가의 소설쓰기는 그래서 서두에서 언급했듯 서사 안에서 때로 현학적 사유들이 출몰하고, 서사의 행간에 직접 언술의 흔적까지 많이 들어난다. 그렇지만 시험 삼아 서용좌 이름을 지워도 서용좌 소설은 서용좌라는 작가를 떠 올리게 할 것임에랴.


분명한 것은 모든 예술이 그렇듯 과거는 늘 새로운 시도들에 의해 파괴되고 창조되게 마련이라는 점이다. 한국소설의 영역 확대를 위해서도 신선하고 개성 있는 이 작가의 앞으로의 활동이 더욱 기대되고 그런 의미, 과감한 도전들이 기다려지는 것이다.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든 고향  (0) 2010.08.15
정체성 - <소설시대> 17  (0) 2010.05.25
쪽지 붙였음 - <PEN>  (0) 2009.10.14
네 번째의 죽음 - <한국소설>  (1) 2008.09.01
콩나물 - <문학저널>  (0) 2007.11.01
Posted by 서용좌
독문학2010. 2. 24. 23:30

통일 도이칠란트 문학의 변화 추이


11회 영호남문학인 교류한마당

2009년 5월 30일~31일

 

 

1. “하나의” 도이칠란트

21세기로의 길목에서 ‘정보오락 Infotainment’의 시대라고 하는 범세계적 문화 패러다임의 교체보다 중요한 문제는 도이칠란트의 경우 통일이라는 변수에 있다. 양 도이칠란트 국가의 정치적 통일이 곧 ‘하나의 도이칠란트’라는 통합으로 이어졌다고 말하는 것은 속단으로 간주되고 있다. “합의가 없는 통일”이고, “장벽은 무너졌지만 분단은 계속”되고 있고, “문화적 식민화” 속에서 “통합이 신속히 이루어지리라는 기대는 환상”이었다는 생각에서 ‘동인-서인 Ossi-Wessi’이 “머리속 장벽”을 두고서 여전히 대치하고 있는 곳이라는 것이다.

전후문학은 패전과 함께 양심의 가책으로 전쟁포로상태로 귀향한, 또는 히틀러소년• 소녀단 유니폼을 벗어던진 세대에 의한 문학이었다. 그러나 친서방정책으로 경제재건을 우선시한 서쪽과 사회주의 이상 실현을 위해 독서대중의 교양화를 꾀하던 동쪽에서, 도이치문학은 크게 다르게 발전할 운명이었다. 서독의 입장은 보수적 문학비평의 취지에서 도이치문학의 통일성이 존재한다고 간주했다. 서독의 자유문학과 동독의 몇몇 비판적이고 수준높은 문학을 포함하면서, 동독의 문학 일반은 정치적으로 교조적이며, 미학적으로는 보잘 것 없기 때문에 전혀 문학이 아니라고 간주해왔다. 반대로 동독의 입장에서 볼 때는 자본주의에 문학적 상상력을 저당잡힌 서독의 문학은 작가를 먹여 살리는 상품에 불과했다. 그에 비해 동독에서는 문학이 인민대중의 사회주의 정향을 고무시키는 교육적인 사명감에 찬 위대한 그 무엇이었고, 작가 또한 약간의 특권계층으로 대접되었다.

이렇게 처음부터 역사의 승리자로서 문학의 황금시대를 맞았던 동독의 경우, 도이칠란트의 통일은 그 자체로서 충격이었다. 통일은 동독의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의 해체라는 의미에서 문화체제의 해체를 포함하기 때문에, 통일 후 소위 청산작업과 변화의 대상은 곧 동독의 문학인 것이다. 서방에서는 ‘이데올로기문학’이라고 격하되는 동안 스스로는 도이칠란트 정신사의 전통을 계승한다고 믿어온 문학이 청산되어야 했다. ‘현실사회주의’의 붕괴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적 글쓰기 방식의 붕괴와 더불어 문화의 시금석이 사라진 공황기를 초래했다.

 

 

1) 통일의 순간 -  폴커 브라운

통일의 순간에 시집 『우리들이지 그들이 아니라 Wir und nicht sie』(1970), 장편 『미완성의 이야기 Unvollendete Geschichte』(1975) 등이 어렵게 출판되어 동• 서독에서 호평 속에 팔리고 있던 중견작가 브라운 Volker Braun(1939~  )은 울먹였다.

 

 

추도사 Nachruf」 (1)

나는 그대로 있는데 내 나라는 서쪽으로 떠나간다.

오두막집에는 전쟁을 왕궁에는 평화를. (2)

내가 내 나라에 발길질을 해댔구나.

내 나라는 몸을 던지고 알량한 장신구마저 던져 버린다.

겨울이 지나면 탐욕의 여름이 오겠지,

그러면 나는 어디론가 먼 곳으로 사라지리라.

내가 쓴 모든 글도 이해될 수 없으리.

나는 여태 한 번도 지녀보지 못한 것을 빼앗길 것이고,

아직 한 번도 살아보지 못한 것을 영원히 아쉬워하리라.

희망은 덫이 되어 내 갈 길을 가로 막고 있다.

나의 소유물을 이제 너희가 움켜쥐고 있구나.

언제 다시 내 것이라고 말하며 모두의 것을 의미하게 될까.



 

강한 자의식의 소유자인 브라운은 동독의 이념을 자신의 소유물로 여기고 거기에 병적으로 집착한다. 이 소유물은 다름 아닌 “여태 한 번도 지녀보지 못한” 진정한 사회주의 유토피아이다. 현실사회주의가 허위라는 사실이 최종적으로 판명된 뒤에도 진정한 사회주의는 결코 포기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고집스런 우울은 수십 년에 걸쳐 진정한 사회주의자들의 비전이었던, 기회가 균등한 곳, 생산적인 인간들의 연대공동체를 집요하게 그린다. 이 시의 정취는 통일과 더불어 발아래 땅을 잃어버린 많은 사람들과 일치했지만, 브라운은 양쪽 비평계에서 비판을 받았다. ‘현실사회주의’가 붕괴된 마당에 ‘진정한 사회주의’가 도래하리라는 환상을 떨쳐버리지 못했고, 또 새로 얻은 개인주의적 자유를 예찬하지 않았다고 해서.

 

2) 통일소설 / 전환기소설

통일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더불어 동쪽 도이칠란트 문단의 새로운 변수는 작가들의 세대교체를 들 수 있다. 동독 최고의 극작가 뮐러 Heiner Mueller(1929~1995)나 “비유적 사고”의 모르그너 Irmtraud Morgner(1933~1990)는 유명을 달리했고, 통일을 불안과 불만으로 받아들이는 브라운이나 아예 하임 Stefan Heym(1913~2001)볼프 등 기성세대는 좌표를 찾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 대신 젊은 작가들에게 통일은 새로운 출발의 계기로 작용할 수 있었다. 그동안 강요받아온 소위 문학에 대한 외세로부터의 간섭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는 점에서, 그들은 통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포착했다. 그들만이 가진 ‘두 체제’와 ‘두 사회’의 경험은 서독의 작가들에 비해 유리한 관점을 확보하는 것도 사실이다. 통일 후 가장 성공적인 신진이라 할 브루시히 Thomas Brussig(1965~  )는 아예 동독은 이야기하기에 좋을 것이라며, 지루한 자본주의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이야기의 무궁무진한 보고라서 “소설가의 천국”이라 호언했다. 이것은 연령의 의미에서의 세대교체 뿐 아니라, 관점의 차이를 반영한다.

그의 『우리같은 영웅들 Helden wie wir』(1995)이 대중적인 괄목한만한 성과를 낼 때, 시대소설로서 ‘통일- 또는 전환기소설 Wenderoman’(3)이 화두로 떠올랐다.


 

소설은 울치트 Klaus Uhltzscht라는 일인칭 서술자의 허무맹랑한 주장으로 시작된다. 장벽붕괴 후 2년쯤 되었을 때 그는《뉴욕 타임즈》기자와 인터뷰를 자청하여, 그의 비정상적 ‘물건’이 전적으로 베를린장벽의 붕괴를 이끌어냈다고 주장한다. 이어서 울치트의 21살 생애가 이야기되는데, 그가 태어난 것은 하필 1968년 8월 20일. 바르샤바조약군이 체코에 진입한 날이다. 그는 유명해지고 싶은 이기적인 관점과 한편 봉사하고자하는 이타적인 관점에서, 사회주의 선전에 기울어 슈타지(4)에 들어가기로 결정하지만, 아버지 역시 슈타지였다는 사실에 놀란다.

특히 마지막 장 “분단된 성기 Der geteilte Pimmel”는 동독 최고의 소설가 볼프의 

<분단된 하늘 Der geteilte Himmel>(1963)을 그대로 조롱한다. 슈타지요원 울치트는 1989년 11월 4일 베를린 알렉산더광장에서 장벽붕괴가 임박한 순간에도 여전히 사회주의의 꿈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 연설자를 비웃는다.  연설자는 유명 피겨스케이팅 선수출신의 트레이너 뮐러 Jutta Mueller(1928~  )라고 생각했었는데, 다음 날 밝혀지기로는 볼프였다. 주인공은 분노하여 외친다. “‘장벽은 없어져야 한다!’라는 한마디 외침이면 되는 것인데 그런 외침은 크리스타 볼프의 입에서가 아니라 로널드 레이건의 입에서 나왔다.” 작가는 이처럼 적당히 소신을 기피해온 볼프가 국민작가로 존경받았던 사실에 분개하며 볼프의 전 작품활동을 ‘얼음 위에서 미끄럼타기’(피겨스케이팅)로 비하한다.

문제는 공격당하고 매도되는 동독의 대들보 작가들이다. 그들은 이처럼 직접 동쪽의 후배 작가들에게서 또는 외곽에서 직격탄을 맞으며, 또한 서쪽으로부터는 “길들여진 반대자들”이었다고 매도당하는 협공에 처해있다. 동독이 “문화보호지역”이었다고 보아도 되는가? 민족의 대변자로서 ‘인간적 사회주의’의 유토피아를 당국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견지했던 지식인 작가유형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의구심은 폭등하고 있다.


2. 분단기의 거장들

1) 도덕성 시비 - 크리스타 볼프

누구보다도 통일과 더불어 논쟁에 휩싸인 볼프 Christa Wolf(1929~  )의 문제의 1989년 11월 28일의 베를린광장 연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독의 독립을 고수할 것인가? 우리의 재정적 도덕적 가치의 폐업 정리세일을 할 것인가? 조국을 위하여 아직도 우리에겐 기회가 있습니다. 아직도 출발점이었던 반파시즘적 인본주의적 이상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반파시즘적 인본주의적 이상’을 위해 조금 더 노력하자는 취지의 발언이라면, 중견 지식인 성직자 정치가 누구라도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누군가는 해야 하는 발언이었는지도 모른다. 오히려 『남은 것 Was bleibt』(1990)의 출판이 그로서는 악의적인 숙명과도 같았다.


 슈타지로부터 공개적으로 추적/감시되는 여성작가의 하루가 이야기되면서 감시와 그로부터 파생된 감정들, 불안, 변화의 결과가 보고된다. 작가는 내면의 독백, 끊임없는 자문과 자기시험을 통해서 정신분열적인 행동을 보인다. (자아의 분열은 국가에 대한 관계에서 볼프의 분열성을 말한다.)

볼프에게 실제로 ‘남은 것’은 거짓과 자기기만, 굴욕에 속수무책으로 내맡겨지는 일이었다. 이미 볼프에 대한 평가는 서독에서부터 흔들리고 있었다.  1987년 11월 FAZ에서 비평계의 황제 라이히-라니츠키의 Marcel Reich-Ranicki(1920~ )는 볼프를 “동독-국가시인”이라고 폄하하더니,『남은 것』이 출판되어 시중에 깔리기도 전에 ZeitFAZ에 악의적 서평이 실렸다. 국가시인이 감시를 받았다니 어이가 없다는 논조에, 국가와 가족처럼 지냈고, 국가로부터 혜택을 누린, 나치스에 복무한 지식인의 후예라고 비판되었다. TV 프로그램 문학 4중주는 “도이칠란트에 혁명이 일어났다. 동독의 작가들은 승리했는가, 불발인가?”라고 비꼬았다. 이는 동독의 작가들 모두에게 해당되는 말로서, 이 순간에는 마치 작품의 질이란 글이 쓰인 장소와 동의어인 것 같았다.

논쟁의 제2기는 정치적 참여를 표방하는 지식인들의 상호 공격으로 번졌고, 1993년에 터진 슈타지 서류철 문제는 볼프의 ‘비공식 협조자 IM’ 활동(1956~1962) 고백으로 비롯되었다.(5)볼프 자신은 이 모든 혹독한 비판을 전환기의 청산이라고 받아들였다.  상당 기간을 미국에 체류함으로써 언론을 피했고, 육신의 병으로 반응했다. 

이것은 『화신 Leibhaftig』2002)에 기록되어 있다. 『메데이아. 목소리들 Medea: Stimmen』(1996)에서는 등장인물들의 번갈은 독백에서 메데이아신화가 재창조된다. 그리스신화, 아니 세상의 모든 신화와 전설 가운데 최고의 악녀로 각인된 메데이아가 이 작품에서는 강한 자의식의 여성으로 묘사된다. 에우리피데스의 작품에 근거한 사건들은 다른 방향에서 해석되며, 다른 시각으로 조명된다. (『카산드라 Kassandra』1983)를 그리스 아닌 트로이의 시각에서 쓴 것과 상통한다.)

볼프는 12권 전집의 출판과 특별호 등을 출판하고 있고, 에세이, 대담, 서간모음집에서는 그 시대에 증후적이고 감동적인 열정이 확인된다. “문학은 오늘날 평화연구이어야 한다.”(뷔히너문학상, 1980)는 입장은 2002년의 도이칠란트 서적상 수상에까지 변함없이 이어진다.



 

2) 신념문학. 신념의 변화? - 귄터 그라스

도이치문학 특유의 전통인 ‘신념- 또는 신조위주의 미학’에서 출발한 전후의 작가들은 이제 거의 역사적 위치에 들어갔다. 하인리히 뵐 Heinrich Boell(1917~1985), 렌츠 Siegfried Lenz(1926~ ), 그라스 Guenter Grass(1927~  ), 발저 Martin Walser(1927~  ) 등 대부분 ‘47동인’과 관련된 서독의 전후문학은 끈질기게 책임의 문제를 공개함으로써 민족의 양심이 된 세대였지만, 오늘날의 독자들은 대체로 ‘양심으로서의 작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신념 자체도 변화에서 자유롭지 않은 듯하다.

 1959년 프랑크푸르트서적박람회에서, 뵐의 『아홉시 반의 당구 Billard um halbzehn>와 더불어 그라스는 『양철북 Die Blechtrommel』으로 세계문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통일의 순간 뵐은 세상을 떠나있었고, 그라스는 콜 수상 주도의 (흡수)통일 방식에 강력히 반대했다. 그러나 통일 후 그는 통일이 작가에게 그 신념에 따라 소재상의 전환기는 될지언정 흥망성쇠의 분기점이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무당개구리 울음 Unkenrufe』1992)에서 정년을 앞둔 홀아비 노교수와 예술품복원사인 홀어미의 로맨스그레이를 전경에 배치하고, 통일 후 정치 및 경제적 현실을 형상화하면서 화해의 문제를 생각하게 하는 장편을 썼다.

  때는 전환기로 도이칠란트 남자와 폴란드 여자의 만남은 민족적 의미에서 상징적이다. 이 둘은 각각 실향민들이고, 각각의 양친들은 언젠가 고향 땅에 묻히기를 소원했었다. 그래서 ‘도이칠란트-폴란드 공동묘지’라는 아이디어가 나온다. 실향민들은 시신으로나마 “화해의 묘지”에 되돌아 갈 수 있게 된 것이다. 결말은 이들의 사고사로 끝난다.

 

『넓은 지평 Ein weites Feld』(1995)에서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정치적 기류에 따라 끊임없이 좌우되는 도이칠란트인의 성향을 ‘배신’이라는 낱말로 함축했고, 『나의 세기 Mein Jahrhundert』(1999)에서는 20세기 100년의 크고 작은 역사적 사건들이 매번 다른 서술자에 의해 연대기적으로 서술된다. 이 작품 후에 그라스는 노벨문학상을 수상한다.(6)

그라스의 사회활동은 나이가 들어서도 엄청나다. 동ㆍ서독 통일방식에 대한 이견으로 수상의 정책을 반대했을 뿐 아니라, 1997년에도 콜의 5차 연임을 저지하기위해 전 도이칠란트 지식인들의 결집을 촉구하고 나섰다. 그런 그의 장편 『게걸음으로 Im Krebsgang』(2002)는 2차대전 말에 민간인 9천명 이상이 숨진 선박침몰사건을 다루어, 발표되자마자 독자와 비평가들의 비상한 관심을 끌었다. 문학적으로 뛰어난 성공작이란 평가 외에도 도이칠란트 사회의 깊은 터부였던 소재를 끌어냈기 때문이다. 정전 무렵에 발트해에서 발생한  ‘빌헬름 구스틀로프’의 침몰사건은 우선 참사의 규모에서도 1912년의 타이타닉호 침몰사건 때보다 사망자 수가 무려 5~6배나 되는데도 역사적 조명을 제대로 받지 못해왔다. 구스틀로프호는 ‘대도이칠란트제국’이란 오만한 꿈의 상징이었고 ‘히틀러의 타이타닉’이었다. 따라서 그 배의 침몰은 나치스 범죄에 대한 당연한 응징으로 조용히 덮는 것이 정치적으로 올바른 태도라고 간주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구스틀로프호의 비극 등은 곧 잊혔다. 그와 함께 소련과 동유럽에서 추방된 1250만 도이칠란트 민간인이 겪은 고통도 잊혔다. 특히 나치스 파시즘의 청산을 사회적으로 공론화한 ‘68세대’는 도이칠란트를 희생자로 이해하는 것을 거부해 왔다. 그런데 이제 소설 속에서 작가의 분신이기도 한 노인의 입을 빌려, 그라스는 “동프로이센 피난민의 참상을 표현하는 것은 자신의 세대가 해결할 과제였다.”고 말했다.

이제 게의 옆걸음, 가능한 한 적을 속이려는 걸음이 어제와 오늘을 왔다갔다하는 서술관점을 상징하며, 긴장을 지닌 짜임새로, 예술적이고 유머러스한 대작이 아닐 수 없다. 다만 팔이란 안으로만 굽을지라도, 한 번도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던 그라스가 이 터부를 건드려 도이칠란트인을 감싸려는 속내가 무엇인지는 모른다. 행동주의 지식인에게서도 노년의 향수란 결국 고향과 동향인이라는 보편감정에 파묻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런 경향은 그라스의 동년배이자 동지적 정서를 지녔던 발저에게서는 더욱 노골적이다.(7) 1960년대와 70년대를 공산당에 동조했던 전력과는 다르게, 그는 80년대 후반부터는 나치스 과거에 대한 논란에 결정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을 표방했다. 통일 후 베를린에 ‘홀로코스트기념관’을 건립하려는 거대한 계획에 대해서도 맹공을 펴면서, “축구장 크기의 악몽”이 될 기념관 따위를 건축하는 것은 수치를 “기념화”하는 것이므로 반대한다고 천명했다.

실제로 1980년대 소위 ‘역사가논쟁’(8)을 거치면서 도이칠란트인들의 정서는 바뀌어 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베를린대학의 법학교수 슐링크 Bernhard Schlink(1944~  ) 또한 나치과거를 ‘사랑할 수밖에 없는’ 아들세대의 성찰을 담은 『책 읽어주는 남자 Der Vorleser』(1995)로 세계의 문학시장을 휩쓸었다.(9) 슐링크는 문학계에서는 신인이다. 그는 외도(?)로서 이러한 성공을 거두면서 엄청난 걸음을 내딛는다. 나치스의 집중수용소 간수였던 주인공을 모든 괴물성에도 불구하고 인간적 면모를 지닌 가해자로 창작해서만이 아니다. 일인칭 서술자가 세대간의 길항작용을 극복하고 전후세대의 자기정체성을 확보해냈기 때문이다. 제3제국의 범죄적 계책에 얽혔던 한 인간에 대한 사랑이 그를 도이칠란트의 죄과와 관련시키고, 그것을 앞 세대에게 “밀쳐두지 않고” 자신의 정체성 안에 보듬을 수 있게 했기 때문이다.

한편 온 세계를 통틀어 전반적인 문학계의 위축에도 불구하고 도이칠란트의 도서박람회는 위용을 유지해가고 있다. 또 수많은 문학상들 가운데에서도 최고의 권위를 지닌 뷔히너문학상 수상 면면을 보아도, 시장성과는 다른 치밀한 발굴과 격려 그리고 존중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통일 이후 수상자들에는 이미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었던 작가들의 이름과 함께 더러는 생소한 이름들이 들어있다. 헝가리 혈통의 극작가 타보리 George Tabori(1914~2007), 스위스 작가인 무슈크 Adolf Muschg(1934~  ), 동독 출신의 힐비히 Wolfgang Hilbig(1941~2007), 남쪽 튀빙엔 출신의 슈타들러 Arnold Stadler(1954~  ), 루마니아 계로 다다이즘의 음향시 영향을 간직한 파스티오어 Oskar Pastior(1927~2006) 등이 그들이다. 최근 수상자 모제바흐 Martin Mosebach(1951~  )는 『무형식의 이단. 로마 리투르기와 그 적 Haeresie der Formlosigkeit. Die roemische Liturgie und ihr Feind』(2002)에서 가톨릭 신앙의 전사처럼 옛 미사전통의 부활을 외치며 수상했다. 2008년의 오스트리아인 빙클러 Josef Winkler(1953~ )는 죽음과 동성애를 주요 테마로 쓰며, 올해의 수상자 카파허 Walter Kappacher(1938~  ) 역시 오스트리아인으로 장르를 넘나들며 『낙관론자는 종종 비관론자이다 Hellseher sind oft Schwarzseher』2007) 등에서 독자적인 방식으로 기층 근무자들의 일상을 써낸다는 평을 받고 있다.

*

통일이 가져온 지각변동의 일렁임을 살던 젊은 문학도 장년기를 맞은 지금, 여러 의미에서 (도이치)문학의 현재는 한 마디로 무질서한 복수성 또는 무한대의 다양성 속에 있다. 최소한의 공통점이라면 문명비판적인 기본자세, 한때는 그렇게도 익숙했었던 진보의 믿음에 대한 거부, 단순한 의미구성에 대한 회의 등이다. 다양성은 획일성에 비추어보지 않더라도 그 자체로서 가치 있는 일이다. 각자 나름대로의 고유한 입장과 방향을 선호하는 가운데, 철저한 미학적 구상, 글쓰기의 실천 방식, 다양한 지역들과 사회적 기능들, 다양한 작가 세대들과 그 정치적 입지들을 인지하고 인정하는 것은 유의미하지 않겠는가.

※ 졸저: 『도이칠란트 •  도이치문학』, 전남대학교출판부 (2008), 846~966쪽 발췌요약.

-----------------

1) 나중에 「소유물 Das Eigentum」로 개칭되었다.

2) 뷔히너 Georg Büchner의 『헤센 전령』(1834) 중 “오두막에 평화를! 왕궁에 전쟁을!”이란 글의 패러디이다.

3) ‘Wende’는 특히 도이칠란트 통일과 관련해서는 1989년 5월 도이칠란트민주공화국의 부정선거로 인한 동요에서부터 시작되어 통일에 이르기까지의 변혁기를 총칭하는 넓은 의미의 통일기라고 쓴다.

4) 1950년에 발족한 국가안전부[Stasi]. 자체적으로는 “회사”라 불렀고, 국내외 첩보국과 특정범죄수사국을 겸했다.

5) 영화 『타인의 삶 Das Leben der Anderen』(2006) 참조.

6) 뵐의 1972년 노벨상수상은 전범국가 도이칠란트에 대한 국제적인 문화적 면죄부라 평가되었다.

7) 이 노벨상 지명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유럽주의자’ 그라스와 도이칠란트의 ‘민족주의자’ 발저가 경합했다는 후문도 있다. Cicero가 선정한 500대 지성인 명단은 교황 베네딕트 16세 - 발저 - 그라스 순이다.

8) 1986년 놀테 Ernst Nolte(1923~  ) 교수는 「사라지지 않을 과거」라는 짧은 글에서 나치스범죄는 볼셰비키 혁명의 “아시아적 야만”에 대한 반응에 불과했다고 주장해서 역사가논쟁의 포문을 열었다.

9) ‘죄없이 죄의식을 느끼는’ 한 젊은 도이칠란트인의 보고서는 도이칠란트 내에서 50만부, 미국에서는 100만부가 팔렸다. 그라스의 『양철북』이래 처음으로 대영제국 한 해의 베스트셀러목록에 올랐다. 미국에서는 뉴욕 베스트셀러 1위를 기록하며, 슐링크는 오프라 윈프리 쇼에 초대된 최초의 도이칠란트 작가가 되었다.

Posted by 서용좌
수필-기고2009. 12. 12. 02:51

 

평행선

                                                    『사랑은 아무나 한다』2009 (이화에세이)

 

 

사랑을 주제로 받은 순간 평행선이 떠올랐다. 평행선을 화두로 삼을 량이면 그건 이미 시시한 시작이리라. 그렇다. 하지만 “종교적인 긍휼”이라거나 “아끼고 위하는 정성스런 마음” 같은 보편적 사랑이 아닌, “남녀가 서로 정을 들여 애틋하게 그리는 마음”으로서의 사랑을 이야기하려는데 대뜸 평행선이 떠오른 것을 어쩌랴. 심장도 머리도 둘인 두 개체 간의 사랑이라면 서로 다른 선의 만남을 의미할 터인데, 그것이 잠시라도 우연이라 해도 평행선이 되어야 서로를 건네다 볼 수 있고 사랑 등을 이야기할 수 있지 않나 말이다. 서로를 향해 질주하는 선은 질풍노도처럼 만났다하더라도 곧 비껴가버리지 않겠는가 말이다.

물론 이러한 염세적인 견해는 한 개체가 그리는 선이 곡선이라기보다는 직선 쪽에 가깝다고 보는 데에서 출발한다. 만일 길가다 동무를 만나서 한 눈 팔 량으로 멈칫거리거나 굽어져 어울릴 수 있다면 사랑의 감정도 보듬고 어우러져 다른 모습을 그려낼 수 있으련만, 어쩐지 그것은 희망이나 꿈같은 말로 들린다. 태어나면서 손발을 버둥대던 우리는 늘 어딘가로 버둥대면서 나아가고 그래서 그 길이 우리의 인생이 된다. 기껏 잘해야 비슷한 각도로 움직이고 있는 다른 길손을 동무 삼을 수 있으면 그게 낙일 것이다. 어쩌다 불꽃이 튀어 한데 어우러진 두 길이 있어, 다시 서로에게서 영 멀어지지 못하고 머뭇거리며 주변에서 서성대며 길을 간다면 그것 역시 축복 아닐까. 함께 세상에 새로운 길손을 퍼뜨리기라도 하면 그 또한 잊히지 않아 더욱 버벅대고 주저앉아 그렇게 살아가는 삶. 사랑은 제 본디를 깨닫게 하는 일에도, 길을 계속 가게 하는 일에도 무르다. 사랑은 사람을 물러터지게 하고도 그것에 만족하게 한다. 사랑은 허술하고 바보스럽다. “현명한 이가 말하길, 바보들만 사랑에 빠지는 법이라 했지”라던 노랫말이 진리다. 바보가 아니고서야 무슨 그런 평생을 갈 중증의 바이러스에 옮는단 말인가.

이 병은 『폭풍의 언덕』 같은 중독된 사랑이나 『베르테르의 슬픔』 같은 치명적 사랑으로 소설 속에나 파묻혀 영생한다. 이 병은 실 인생에서는 애절하게 끝날 때가 많다. 중세 철학자 아벨라르와 제자 엘루아즈처럼 사랑 속에 결혼하여 아들을 두고도 생이별하는 연인들. 문중의 간섭으로 각각 수도생활에 들어갔으니, 그들의 “사랑의 서간”이 수백 년을 넘어서까지 세상의 연인들을 감동시키면 무엇 하리. 더러는 공권력도 사랑을 죽이는 변수다. 2차 대전 후, 보통 사람들처럼 십대에 만나서 몇 년 후 결혼하고 아들 둘 낳고 단란한 가정을 꾸렸지만 느닷없이 원자무기 비밀을 소련에 건넨 스파이혐의로 체포되어 전기의자에서 생을 마감한 로젠버그부부. 폭력은 사적인 차원에서도 마찬가지다. 흑인이면서 명 쿼터백으로 이제 은퇴한, 네 아들의 아버지이자 멀쩡한 남편. 자선활동에서까지 돋보인 남부러울 것 없던 그가 별장에서 잠든 사이 갓 스물을 넘긴 여친에게서 네발의 총격을 받는다. 순수했던 첫 사랑을 접고 명사와의 인생을 꿈꾸었던 여자의 종말, 참혹한 비극. 허황한 것이 사랑일까. 사랑은 치기다. 사랑은 없다.

아니, 동서고금 세기적 스캔들을 뿌려댄 이들의 숨 막히는 열정들을 생각하면 사랑은 그 무엇인 것 같기도 하다. 정직하게 말하면 가끔은 가까이 이웃에서도 힘든 길을 선택한 대단한(?) 사랑도 없진 않다. 기어코 첫 연인을 기다렸다가 그녀가 아이 둘 데리고 고향 내려오는 기차간에서 훔쳐 달아난 집안 오라버니가 있었다. 그 아이들 둘하고 나중에 낳은 아이들 둘, 해서 네 자녀를 흠 없이 길러냈고, 아내의 조금 이른 임종까지 잘 지켜낸 오라버니. 더 기막힌 쪽도 있었다. 처자식을 고향에 두고 대처에 나와서 대학에 다니던 남자가 처녀 유치원선생님에게 반했다. 유치원선생님은 유부남의 구애에 발끈하여 보란 듯이 서울로 시집을 가더니만, 딸 하나를 낳았다는 소문과 더불어 곧 다시 낙향했다. 결국 각각 아들과 딸을 버리고서야 두 사람이 결합하더니 네 자식을 더 낳아서 남달리 유별나게 키워냈다. 70대, 80대 할아버지들의 청춘시절 이야기다 참. 그런 형질은 드물게 유전되는지, 속 좁은 내겐 불가사의다.

베란다 쇠창살을 저 너머로 바라보며 일요일의 늦은 아침을 먹는다. 조밀한 영국식 화단엔 이름 모를 푸르름이 가득하다. 창살 밖으로 선반에 내어놓은 몇 화분들에도 초록이 어우러져 있다. 그 밖으로는 짙푸른 나뭇가지들이 무겁게 흔들린다. 이십년도 넘은 낡은 닭장 아파트 2층에 앉아서 쇠창살 사이로 건너다보는 하늘도 하늘이다. 그런데 쇠창살 너머로 여름을 맞은 건 처음이다. 작년 추석에 다니러온 아이들의 걱정에 그제서 창살을 두른 것이다. 여름을 유난히 타느라 창문이란 창문은 다 열어두고서야 잠드는 아버지를 생각하면 잠이 안 온다는 아들.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서 한숨을 쉰다니까요, 아버님 어머님 걱정에!”라던 며늘애 말이 주효했다. 원래 학교가 있었던 터에 지은 아파트라서 고목들이 즐비하고, 창살은커녕 창밖으로 너울거리는 푸른 나뭇잎은 성냥갑 아파트인 것을 못 느끼게 했다. 바로 창밖에 새들까지 집을 지어 새끼를 낳고 길러가지고 함께 날아간 적도 있었으니 말이다. 그때 꼭 네 마리를 낳아 데리고 날아갔는데, 이듬해에도 그 이듬해에도 항상 같은 울음소리의 그 새들이 날아든다. 베란다 바깥으로 내어단 화분 턱에 내어놓은 춘백 꽃잎을 갉아먹으러 와 앉는 놈들도 꼭 그런 꼬마들이다. 모양새도 목소리도 안 예쁜 놈들이 왜 예쁘기만 할까. 새들이고 사람이고 꼭 예쁠 필요가 없다 싶다. 어디 예쁜 사람들만 사랑을 하고 그러는가. 창살 속에 들어앉아 바라보는 새도 화초도 하늘도 뭐 다 괜찮다. 섬세한 감각들이 나이 따라 누그러진 탓도 있겠지만, 애들 사랑에 못 이겨 해 붙인 것이라서 창살도 답답치 않을 수도 있겠다.

우리는 아마도 창살에 갇힌 채로 적응하나보다.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함께 살기 시작하면 그렇게 창살 속에서도 갇힘을 모른다. 신기하게도 새 생명들이 태어나면 아예 바깥세상은 바라다보지도 않고 그들에게 현혹되어 산다. 그때부턴 그리 많이 흔들리지 않고 평행선을 이루어, 왼쪽에서 오른 쪽에서 아이들을 바라보며 따라가며 산다.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 우리를 걱정할 만큼 더 커버렸는데도, 우린 그저 그들을 뒤쫓느라 ‘거의 반듯이’ 평행선을 그리며 산다. 아주 엇갈리지 않으려면 조심히 평행을 유지하기만 하면 된다. 너무 서로에게 끌려 들어가면, 그 각도로 조금 더 내달으면, 그만 상대를 뚫고 지나가버리게 되니까. 그래서 조금 비겁한 채로 평행선을 따라 산다. 혹시 우리들의 가슴 한 편에 묻힌 작은 파편 같은 추억 하나도 진정 어떤 사랑의 증거가 되기엔 미미하다. 그건 그저 잠시 호수에 비친 구름의 그림자이거나 아예 호수 저 혼자의 일렁임이거나.

복숭아 껍질을 벗긴다. 아직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기 전에 따 들인 것들이라 당도도 높고 무엇보다 벗겨 드러난 속살에서 물기가 둑 둑 듣는다. 두 개를 벗길 양이면 늘 어느 하나가 더 먹음직스럽다. 너무도 당연히 더 맛있어 보이는 쪽을 당신의 접시에 올려놓으면서 느낀다, 누군가에게 더 맛있어 보이는 것을 내밀면 그것이 사랑일 것. 나란한 두 베게 깃을 새로 갈아놓으면서 풀기 더 고슬고슬한 쪽을 그리로 밀어놓으면 그것이 사랑일 것. 이 시시한 진부한 존중이 어우러져 나란히 선.

'수필-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마뱀 - <문학공간>  (0) 2010.12.01
무거운 책들  (0) 2010.04.01
그림자 도시 - 개성 방문기  (0) 2009.03.28
눈이 있었던 것  (0) 2008.11.20
구멍 난 옷  (0) 2007.12.01
Posted by 서용좌
영어2009. 12. 1. 03:00

More Vegetarians to save ourplanet!
 
 --- Can the global community reduce hunger?
---

                                                                clover.gif
 


     
mush01b.gif  Climate Change     mush01b.gifmush01b.gif  Vegetarian Diet
     
mush01b.gifmush01b.gifmush01b.gif   Shall we.......? 
 


 

 mush01b.gif Climate Change

  • "Give up meat to save the planet!" 
    (UK's climate cheaf Lord Stern, The Times,  Oct 27, 2009)
                                 arrow02b.gif  Vegetarianism and Climate Change
  • A report, Livestock's Long Shadow,  estimates that 18 % of annual  worldwide GHG emissions are attributable
    to cattle, buffalo, sheep, goats, camels, pigs, and poultry.
                         arrow02b.gif FAO (Food & Agriculture Org.)(2006)
  • Recent analysis finds that livestock raising is  responsible
    for  at least  
    51 % of global warming.
                         
     arrow02b.gif  World Watch Magazin (11/12 2009)
     

 lip01c.gif  70% of previously forested land in South America is used
    for livestock production.
  

lip01c.gif Nearly 60 billion animals a year used to produce meat & dairy.
   
The human population is 6.7 billion.

 

 Solution?    
'
United Nations Climate Change Conference' in Copenhagen

                               [between December 7 and December 18]


PEOPLE

 

flowe03c.gif John Robbins, Diet for a New America, 1987
                    an expose on connections between diet, physical
                    health, animal cruelty, and environmentalism
                                                     
arrow02b.gif  EarthSave            The Food Revolution, 2001
             
information on organic food, genetically modified food,
              and factory farming
 
 
flowe03c.gif Michael Greger, "The Human/Animal Interface,"

     in: Microbiology  - our mistreatment of other species is

         contributing to the emergence of human infectious disease
       - new forms of influenza viruses which frequently originate
         from factory  farmed animals who are made to live
         in utterly appalling conditions
  arrow02b.gif A photo!


 

Because of Flus like H5N1 or H1N1 recently,
livestock industry has turned into hot concern.
We begin to think widely about our immune system
to keep away germs.


mush01b.gifmush01b.gif Vegetarian Diet Vegetarian Health Benefits      
* Healthy Heart            

* Lower Blood Pressure

* Control of Diabetes    

* Prevention of Cancer

* Elimination of Toxins from the Body     

* Easier Digestion of Food  

* Improvement of Overall Health


   
Various Types of Vegetarianism

Diet name

Meat, poultry, fish

Eggs

Dairy

Honey

Lacto-ovo

vegetarianism

No

Yes

Yes

Yes

Lacto

vegetarianism

No

No

Yes

Yes

Ovo

vegetarianism 

No

Yes

No

Yes

Veganism

No

No

No

No

 

 

  The Vegetarian Society, UK, since 1847

 Older (religious) organizations in Asia:
    promote abstinence from meat and prohibit the harm of animals
 
Concept of conservation:
     human should live in harmony with nature



 mush01b.gifmush01b.gifmush01b.gif   Shall we.......?

 
Be vegan?

 One meat-free-day a week!   
            
Vetarian Resource Group, Feb 1994
Roper Poll

Never Eat

Total

Mail

 Femail

Meat

6%

 5%

7%

Poultry

3%

3%

 3%

Fish/Seafood

 4%

3%

5%

Eggs

  4%

 4%

5%

Honey

15%

15%

15%

Eat Them All

75%

77%

74%


 
 "Sticking to vegetables once a week would have more beneficial
     effects than reducing car journeys."
                                     
(Rajendra Pachauri,
Nov 27, 2009)

A vegetarian driving a gas guzzling SUV car is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an

a carnivore riding a bicycle.

arrow02b.gif fact file!

                                                               

                                           arrow02d.gif                     arrow02d.gif

EarthSave!   Vegetarian Society   Worldwatch Institute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ar of Speaking in Public  (0) 2012.12.31
Overprotected  (0) 2012.07.09
Every Body is Unique  (0) 2011.10.10
GFN 인터뷰 클립  (0) 2011.01.28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