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2020. 11. 25. 22:54

2020.11.16. 장편소설 『숨』, 문학들, 280쪽.

[광주일보]
http://www.kwangju.co.kr/article.php?aid=1606950000709657007&search=장편소설

[무등일보]

http://www.honam.co.kr/detail/K4YzjP/635060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 사순절  (0) 2021.06.04
날마다 시작  (0) 2020.12.27
  (0) 2020.06.21
모순  (0) 2020.06.21
이름  (0) 2020.03.20
Posted by 서용좌
논단 - 기고2020. 11. 5. 21:39

[논단] * 36개의 각주가 따라오지 않아서 내릴까 고민 중 -

 

순수에의 강요

 

순수에의 강요 - 라는 구절은 표절은 아닐지라도 전염의 산물이다. 누구든 쥐스킨트의 단편 「깊이에의 강요」를 떠올릴 것이다. 소묘를 잘 그리는 젊은 여인이 초대전에서 나름 우호적인 평을 받는다. ‘당신 작품은 재능이 있고 마음에 와닿습니다. 그러나 당신에게는 아직 깊이가 부족합니다.’ 흔한(?) 격려성 비평이 비극의 단초가 된다. 자신에게 깊이가 없음을 한탄한 그는 작업을 접고, 미술서적을 섭렵하고 화랑과 박물관을 돌며 미술작품에서의 깊이를 탐구한다. 마침내 ‘텔레비전 방송탑으로 올라가 139미터 아래로’ 깊이를 향해 뛰어내린다.

 

쥐스킨트의 이름은 무엇보다 『향수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1985)로 기억될 것이다. 발간 직후 49개 언어로 번역되어 곧 2천만 권을 팔았고, 세계판타지문학상(1987)을 받더니, 독일 미국 등 합작 영화(2006)로 폭발적으로 알려졌다. 영화 장르로는 드라마와 스릴러를 표방한다. 스릴러인지 판타지인지 그저 엽기인지, 산문문학에서 장르의 구분선은 녹아버린 지 오래다. 소설의 성공은 백만 천만 ‘관객’을 의미하는 상황이 되었다. 예컨대 르네 클레망 감독의 《태양은 가득히》(1955/ 영화 1960)의 원작자 하이스미스는 서스펜스소설의 가장 성공한 작가답게 발칙하게도(?) ‘도스토예프스키의 책 대부분이 만약 오늘 날 발표된다면 서스펜스소설이라고 불릴 것’이라고 말한다. 심지어 ‘작가는 예능인’이라고도 단언한다. 쥐스킨트 또한 깊이에의 강요 때문에 몰락한 예술가를 그림으로써, 자신은 깊이에의 강요를, 정통 또는 순수에의 강요를 벗어난다.

 

정통 또는 순수 논란

 

오늘날에는 유서 깊은 가톨릭에서도 새삼스럽게 미사의 정통방식이 논란된다면, 문학에서의 정통이라는 개념이 온전히 존재하는지는 미지수다. ‘예술의 완벽성은 유익함과 즐거움을 결합시키는 것’이라는 호라티우스의 시학적 입장이 정통일까. 이는 거칠게 말해도 프랑스대혁명에서는 뒤집혔다. ‘굶주린 배로는 이상적인 예술작품을 들을 귀도, 볼 눈도 가질 수 없다.’라는 외침이 터져 나왔으니까. 그러나 문학과 사상의 자유에 대한 욕구는 하이네의 ‘책들을 불태우는 그 자리에 결국에는 인간들도 불태운다.’라는 경고로 고조되었고, 그럼에도 100년 뒤 나치는 책도 사람도 불태웠다. 그 어둠의 시대가 종말을 고한 후에 사르트르는 다시 한 번 혁명을 선언했다. ‘문학은 그 본질상 영구 혁명 중에 있는 사회의 주관성이다.’라고.

 

참여문학, 그렇게 우리가 경험한 일종의 사명감으로서의 문학은 현실사회주의의 몰락과 더불어 저물고, 다시 문학의 자율성과 미적 근대성 개념이 고개를 드는가 싶었다. 하지만 그러면서 문학의 위상 또한 하락한 것은 아이러니다. 크게는 문학을 포함한 인문(humanities, liberal arts) 의식이 신에게서 탈취한 권능을 ‘인공지능이라는 이름의 기계’에게 내주는 세상이 도래한 탓이며, 작게는 실효 중에 있는 글로벌자본의 통치 때문이다. 하여 우선 살아남기에 전전긍긍하는 현실 속에서 순수에의 ‘강요’라고 말하는 순간, 우리의 의식은 이미 ‘순수’에서 떠나고 있다.

 

장르소설의 세상?

 

그 살아남는 소설들이 오늘날 소위 장르소설들로, 이미 출판계 및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벌써 2004년 『문학과 사회』에서 「장르문학의 현재와 미래」라는 장르 특집을 내었으니 어제오늘 일도 아니다. 문화적 환경을 보다 섬세하게 고찰하기 위한다는 기획의도만 보더라도 그것을 하나의 줄기로 취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은 범주적으로는 대립적이나 실제적으로는 순수문학작품들에서 장르문학적인 설정과 문법들이 활용되고 있다는 진단이다.

원래 장르(genre)는 예술에서 작품을 양식에 따라 구분할 때 사용되며, 문학예술에서는 서정과 서사 그리고 극문학 정도의 갈래를 말한다. 진부하게 헤아려 보자면, 서사문학의 경우 자서전, 전기, 일기, 우화 등과 구별하여 소설이라는 장르가 있고, 소설 장르가 더 세분되어, 모험 소설, 아동문학, 판타지, 공포소설, 역사소설, 추리소설, 로맨스소설/연애소설, 과학소설, 스릴러, 무협소설, 라이트노벨, 게임소설, 사극소설 장르로 분류된다.

 

그런데 ‘장르소설’이라고 하면 ‘소설 장르’ 중 그 어느 하나의 장르에만 깊이 집중한 소설을 일컫는다고 한다. 영미권에서는 장르소설을 문학소설과 대비되는 말로 사용하는데, 문학적 픽션과 상업적 픽션(= 장르픽션 또는 대중픽션)으로 나눈다. 그 특징은 플롯 중심으로 넓은 독자를 매료시키는데, 주로 미스터리나 로맨스물, 과학소설 등의 장르에 깊이 빠진, 장르적 관습을 따르는 소설들을 일컫는다.

그동안 주류 문학에서는 소위 순수소설이 암묵적인 권위를 얻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과거형이다. 현재는 출판사와 서점의 사업방침이 상업지향적 소설들을 장르문학으로 표방하면서 그 영향력은 날로 커간다. 아예 석박사급 연구자와 장르문학 창작자들로 구성된 텍스트릿이라는 연구모임 등도 활발한 옹호에 나선다. 핑계라면 ‘문장구조적 부검’이라도 동원해야 읽어낼 수 있는 난해하거나 심지어 전혀 이해할 수 없다는 순수문학에 대한 절연이다. 뿐만 아니라 웹소설의 시장 규모는 3,000억을 넘어 2019년에는 4,300억 원에 이른다고 했다. 당연히 웹소설에 대한 편견을 강렬하게 비판하고 나선다. 여전히 가난하게 살면서 엄청난 규모의 시장을 무시하는 위선(?)을 비난, 아니 비판한다.

 

장르소설의 성공은 세계적 추세이다. 무거운 교양소설이 지배했던 독일에서도 2010년에는 무명작가의 미스터리가 알라딘을 강타했다. 『백설공주에게 죽음을』은 30주 넘게 판매 순위 1위에 올랐고 10여 개 언어로 번역되어 한국에서도 2011년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계속 신선한 충격의 미스터리로 독자를 사로잡고 있다지만, 그의 장편소설은 불발이다. 아무튼 더 과격한 장르의 관습을 따라서 더 충격적으로 사랑하고 더 충격적으로 살인하고 더 충격적으로 독서대중을 자극하는 일이 성공의 열쇠가 되는가 보다. 그러나 여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것이 장르소설에서 말하는 ‘관습에의 강요’이다.

 

관습과 이단

 

관습이 무엇인가. 문학적 관습도 역사적 산물이다. 기술적으로 문학 내적인 요인과 사회적으로 문학 외적인 요인이 상호작용을 거듭하면서, 관습은 그 자체로서 생성과 소멸을 거치며 변모를 겪는다. 그런데 그 관습에 충실하게 집요하게 매달리라니! 오히려 예술의 본성은 관습과 고정관념으로부터의 탈피가 아니었던가.

모든 관습에는 반항이 따른다. 관습과 반항은 원천적으로 상호보완적이다. 틀을 거부하려는 작가는 독창성으로써 이에 저항하며 관습에 도전한다. 문학은 스스로 낡고 자동화된 관습의 틀을 거부하려는 내적 동력을 통해 낡은 관습의 쇄신을 유도해 나감으로써’ 존재의 의미를 찾는다. 머리가 심지어 심장이 터질 때까지 무조건적 예술혼을 불태우며 창출해나가는 새로운 문법, 새로운 관습이 기대되고 심지어 요청되는 것이다. 아방가르드 이래 모든 가능한 실험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의’ 장르 관습을 철저히 따르는 것을 목표로, 그로 인해서 두각을 나타내련다는 장르문학은 예술로서의 문학의 대열에 합류할 생각이 없는 것일까.

 

장르, 그들은 소위 머리 아픈 글을 쓰지 않는다. 독서대중의 입맛을 취향을 존중한다는 의미에서다. 결과적으로 자본시장의 상업성에 편승하는 현실적 결정을 한 것이리라. 그렇다고 장르소설이 독서시장의 전권을 장악한 것도 아니다. 2019년 우리나라 베스트셀러 종합은 『여행의 이유』(김영하) 등 에세이 열풍이 지속되고, 실용도서의 판매량은 큰 폭으로 증가했고, 2020년 상반기는 『더 해빙 - 부와 행운을 끌어당기는 힘』이 세계를 강타했다고 한다. 그러니까 장르소설도 소설인 한에서 베스트셀러 진입은 힘들다.

그러나 분명 소설계에서는 장르가 상업적 우위를 점하고 있고, 최근에는 문학상까지도 장르의 물(?)이 짙게 들었다. 그 한 종류라는 오토픽션 쪽만 보아도 그렇다. 예컨대 일본문단에서 누군가가 스무 살에 『뱀에게 피어싱』같은, 제목부터 무한대로 자극적인 작품으로 무슨 상을 업고 문단을 출렁이게 했다고 치자. 바로 영화도 되었다. 착란과 자해 등, 선을 넘은 가학성과 폭력성으로 독자의 무의식적 가학성에 부응했다고 치자. 그가 『오토픽션』으로 자전과 소설의 경계를 무너뜨렸다는데, 그 새 바람이 바다를 건너 우리나라에 상륙하면, 여기도 오토픽션 아류(?)를 써서 ‘젊은작가상’을 흔든다. 하지만 장르 로봇이 되어 독자의 취향에 부응하고 상도 받는다는 성공 신화는 간혹 혼란의 나락이 되기도 한다. 사실이다.

그러니까 성공이 아쉽다고 해서 글쓰는 사람이 글읽는 사람들 즐거워하라고 봉사하는 일로 살 수는 없다. 그 보다는 무엇인가 예컨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의 난해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도움을 공유하련다거나 해야 하지 않을까. 세상은 어떠한가, 살 만한가. 어찌 살까. 그러다 보면 ‘관습 지킴이’와는 정반대로 살게 된다. 김수영 시인의 ‘문학의 불온성’이 떠오르지 않는가.

모든 실험적인 문학은 필연적으로는 완전한 세계의 구현을 목표로 하는 진보의 편에 서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모든 전위 문학은 불온하다. 그리고 모든 살아있는 문화는 본질적으로 불온한 것이다. 그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문화의 본질이 꿈을 추구하는 것이고 불가능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문학이 문학이면 무엇을 왜 쓰느냐가 관건이다. 따로 순수소설 또는 장르소설이라는 갈래(장르)는 없다. 다만 ‘문화적 교환가치’라는 포괄적인 문화현상은 소설 영역을 확대하여 영화로 성공을 거두게 하기도 한다. 또는 종이책이 아닌 웹소설의 성황, 또 이제는 읽는 문학에서 듣는 문학으로 소화의 패턴이 급변하고 있는 현실이고 보면, 소위 본격문학, 순수문학, 순문학, 그러니까 원래의 문학은 풍전등화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은, 아니 인간의 모든 행동은, 타자에 대한 구애로서는 그 존재의 의미를 훼손시킨다. ‘나쁜 소설이란 독자에게 아첨하여 그의 환심을 사려는 소설이며, 좋은 소설이란 독자에 대한 요청이며 신뢰이다.’ 그뿐이 아니다. 유투브가 삼켜버린 문학 - 아니 문화, 아니 인생, 과한 말도 아니다 - 에서 장르라고 영원히 살아남겠는가.

 

살아남기 - 이단 예찬

 

앞서 말한 대로 호모사피엔스의 미래는 어차피 어둡다. 정보기술과 생명기술이라는 양대 혁명의 틈바구니에서 문학적 낭만과 순수를 찾는 것은 유아적 사고일 수 있다. 개인의 느낌과 자유 선택에 대한 믿음으로 신에게서 우위를 뽐내고자 했던 인간이 미래에는 빅데이터 알고리즘에게 모든 권위를 양보하게 될 것이다. 일자리는커녕 할 일조차 없어질 무용지물의 인간이 문학을 소설을 탐하겠는가.

그 전까지, 아직 문학이라는 이름의 무엇인가가 살아 숨을 쉬고 있는 동안 할 수 있는 일이 있지 않을까. 독자의 취향에 굴하지 않으며 숨이 끊길 듯 살아남은 예술의 흔적들을 살펴보자. ‘예술이란 맛과는 무관하다. 우리가 예술을 맛을 본다면 예술은 거기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무조건이 생명이다. 어떤 강요에도 유혹당하지 않는 무조건적인 독단, 이단. 그것 아닐 수 없는 무엇, 다른 것일 수 없는 무엇이 바탕이라야 한다. 치환불능성의 어떤 것, <살롱전>의 주문도 그 어떤 세속적 유혹에도 구부러질 수 없는 솟대처럼 솟는, 이름할 수 없는 정체성의 무엇이 새로운 유파를 창출하지 않았던가. 그들이 <낙선전>에서 출발했다는 사실에 문외한이면서도 이상한 안도감을 느낀다. 낙선이 시작이었다.

 

문학도 마찬가지, 기존의 가치에 대한 진지하고도 집요한 이단이 아니고서는 생명력을 지닐 수 없다. ‘도끼로 머리를 깨는 작품을’ 쓰고자했던 카프카가 살아남은 것은 이단성이다. ‘벗이여, 이제 나는 詩를 폐업처분하겠다. 나는 作者未詳이다. 나는 용의자이거나 잉여인간이 될 것이다. […] 아아, 나는 詩의 무정부주의를 겪었고 詩는 더이상 나의 聖所가 아니다.’ 때론 이렇게 폐업을 선언한 시인이 시인으로 남아서, 시집이 많이 팔려서 걱정도 한다. ‘시로서 존재하기 위한 형식화의 조건을 하나도 갖추고 있지 않아도’ 세계관으로서 현실을 반영하는 시인이 시인이다.

 

어떻게? ‘선택할 출구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출구는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사람마다 자신의 출구를 만듦으로써 자기 자신을 만드는 것이다. 인간은 매일 새롭게 만들어지는 존재이다.’라던 사르트르의 말 - 여기에서 ‘출구’를 ‘소설’로 바꾸어 읽자. ‘소설가마다 자신의 소설을 씀으로써 자기 자신을 만든다.’ 수많은 작가들이 ‘나는 글을 쓴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라고 데카르트를 빗대어 존재를 정의한다.

그러므로 소설가가 쓰는 글은 누군가에게 말을 거는 방식이다. 작가의 ‘메시지란 결국 대상화된 영혼’이며, 작가는 ‘항의가 아니라 비명, 부패에 반하는 비명’을 지른다. 그러니까 결국 막스 프리쉬의 말처럼 ‘모든 예술작품은 인식되기를 원한다.’ 아무리 독백처럼 보일지라도 알아봐주었으면 하는 마음을 품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슈틸러가 아니오.’ - 막상 프리쉬는 『슈틸러』(1953)의 첫 문장을 이렇게 내뱉는다. 그 처음 문장으로 슈틸러는 다른 등장인물들에게, 프리슈는 독자들에게 언어유희의 첫 장을 연다. 독자들은 낚이는가? 낚였는가?

그 말을 거는 방식으로서의 이단은 예로부터 존재해왔다. 이단은 전통이나 권위, 세속적인 상식에 반항하여 자기 개성을 강하게 주장하여 거의 고립되어 있는 경우를 이른다. 현존 질서에 대한 반항, 그것은 가끔은 살아생전의 성공도 보장한다.

 

한 이단아의 경우 - 노벨문학상 수상

 

최근의 노벨문학상 수상자 페터 한트케가 누구인가? 1966년 스물넷의 그가 ‘47그룹’ 회동에 초대된 자체가 놀라웠던, 그의 독설은 더욱 놀라웠던 이단아다. 동시대 독문학에 대해 통틀어 서술 불능뿐이라고, 언어와 의식에서의 상투성에 대한 비판으로 출발하여 주체와 세상 간의 소외에 매달린 그는 같은 해 『관객모독』을 내놓았다. 말 그대로 관객을 모독하는, 관객들의 관습적인 관람 형식 자체를 고발하는, 연기는 없고 말만하는, 그것도 험담과 모욕뿐인 극작품이었다. 이어 소설 『페널티킥 앞에 선 골키퍼의 불안』(1970)을 빔 벤더스가 영화로 만들면서 크게 주목을 받았지만 여전히 이단아였다.

그런 그에게도 전형이나 표준이 전무하지는 않은 듯, ‘카프카는 나에게 내 글써온 삶 내내 한 문장 한 문장마다 표준이었다.’고 말했다. 적어도 두 작가가 공유하는 점은 개인과 외부세계와의 관계에서 광년만큼 떨어진 거리에 대한 인식이다. 또 하나는 세류와 무관했던 이단아라는 공통점이다. 다만 형식에서 무한한 자유를 누리되, ‘내용에 관해서는 너무나 많은 자유가 없다는 말을 계속 지껄이라’ 했던 김수영, 그런 불온성을 지닌 이단아들이 살아남는다.

‘허구를 말하기 시작한’ 너 글쟁이는 외면당하고 미움 받을 용기가 필요하다. 칭찬을 받든 비난을 받든 너 그리고 너의 작품은 그냥 그만큼이다. 순수에의 강요는 누구로부터 또는 어디에서 오는가? 언감생심 장르 관습에의 강요? 너는 미망으로 이끌린다. 하지만 삶도 글도 ‘안녕보다는 진리를 향하여’ 나아갈 뿐이라. 세상 속에서 그러나 세상에서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너는 너의 독자에게 말을 건다. ‘모깃소리보다도 더 작은 목소리로 아무도 하지 못할 말을 시작하는 것이다. 아무도 하지 못할 말을, 그것을 -.’

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0.12. 작가교수세계, 통권 23호, 44-54쪽

'논단 - 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험지의 유토피아  (0) 2020.06.21
죽을 때까지 사는 방법을 배우다  (0) 2019.08.26
Posted by 서용좌
소설2020. 6. 21. 00:07

 

                                                           모순

 

모순, 당신 참, 순수한 모순일까, 라고 말하는 그의 눈을 피할 수밖에 없었다. 그날도 비릿한 미소로 얼버무렸다. 말을 하자면 길어질 테니까. 말이 아닌 눈빛에 말로 대답을 할 수도 없으니까. 우선 모순에 쓴 순수하다는 덧말은 오류이니까. 내가 알기로는, 예컨대 순수한 물이라고 할 때 쓰는 것이 순수함이다. 그러니까 순수한 모순이라고 했을 때 순수는 모순을 설명하는 말이 아니라, 나더러, 아내더러, 순수한 것 같다가도 모순적인 사람이란 뜻으로, 둘 다로, 어쩌면 비난으로 들어야 한다. 아니, 말로 하지는 않았으므로 그리 읽어야 하리라.

그런 생각들도 일상을 크게 방해하지는 않는다. 모르는 것이 새삼스레 그것뿐일까. 저녁이 깊어지면 밤이 오고, 밤이 깊어지면 잠을 청한다. 잠을 청하다 보면 잠이 들게 된다. 잠은 좋은 것.

그렇게 또 날이 밝는다. 아침에는 아침을 먹고, 나갈 사람은 나가고 그냥 있을 사람은 그냥 있다. 바깥 하늘은 맑을까. 물론 흐릴 수도 있다. 밝거나 흐리거나 관심이 없으니 바깥을 내다보지 않아도 된다. 창밖을 내다보지 않고, 또 다른 작은 창들을, 텔레비전과 스마트폰을 켜지 않으면 세상이 조용하다. 오늘도 세상은 조용하다.

 

모순적이 아닌 인간 - 그런 존재가 가당키나 한가. 무모순적 명제 자체가 없다, 사는 일에서는.

말 한번 거창하게 하시네.

삶에서 크기를 말하는 것도 그래.

이게 크기 이야기야?

그러게, 크기가 아니지. 네가 그 쪽으로 갔지, 거창하다니 뭐니…….

아무도 없다. 내가 말하고 오른쪽 귀로 듣고, 내가 말하고 왼쪽 귀로 듣는다. 어차피 한 입으로 말하니까 너는 너다.

이런 나를 가리켜 모순적이라는 말을 그이가 하고 싶었을까? 한 사람이 다른 두 생각을 하는 일이 이상하단 말인가? 한 사람이 평생 일관적일 수는 없지. 아니, 평생 그렇기는 어렵겠지만 한 순간에 이리저리 흩어지는 것이 문제지. 그렇다고 내가 모순적인 사람은 아니다. 그렇게 생각한다. 나는 모순적인 사람이 아니다 - 이 말은 참인가? ‘무모순적인 사람임’이 증명되기 위해서는 ‘모순적인 사람임’이 부정되어야 한다. 어떻게? 수학이라면 귀류법이라도 들이대지.

귀류법? 그런 단어는 어떻게?

그거야 어렵고 모호한 단어들이 오래 남아서지.

매사에 서툰 자가 서툴음을 인지 못하고, 미친 자가 미쳤음을 인지 못하고…….

그런가? 내가 모순적임을 모르므로 모순적이다, 그 말인가? 알면 모순적이지 않다는 말인가? 너는 네가 모순적임을 아는 거야, 모르는 거야?

 

톡! 작은 창이 부른다. 정말 작은데 실은 한없이 넓은 창이다.

뭐지? 손바닥 창을 열까, 말까. 열면 바깥이고, 오늘 해를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되면 하고 있던 생각은 끊길 것이다. 무슨 생각이었더라? 이미 끊겼다. 문은 벌써 열렸다.

친구들, 잊지 않았슴? 10시 반 역 2층 집합! 매표소 근처.

아차, 나는 시커먼 텔레비전 앞에 앉아있고, 폰은 내 옆에 누워 있다가 나를 불렀다. 고맙다, 톡아. 너 아니었다면 멍하니 그렇게 오늘 나들이를 놓칠 뻔했겠지. 시계를 본다. 서둘러야겠네.

 

 

모순 어쩌고 하던 그날 밤 남편의 걱정을 덜려고 말했던 찔레꽃집 나들이는 자꾸 미루어졌다. 찔레꽃이 다 진다고 어서 다녀가라는 채근을 듣고서야 날이 잡혔다. 오늘이다. 나이가 들면 차츰 삶의 무게가 가벼워질 거라 기대했지만 그건 아닌가 보다. 모두들 이런저런 일들에 발목을 잡힌다. 처음 약속했던 날엔 바람잡이 정인이가 딸애한테 가 있었다. 애는 아니다. 제가 아이를 낳는 자식들을 그 어미는 애라고 한다. 또 딸이라고…… 낳기 전까지는 투덜거리더니, 갓난이를 보고와선 완전 날고뛰고 좋아했다. 다음엔 성주 남편이 컨디션이 나빠져 기다려주기로 했다. 그러는 사이 내가 어머니한테 며칠 다녔다. 어머니들은 아무 때나 넘어진다. 화장실에서 살짝 미끄러진 것만으로도 팔목이 골절되셨다. 임시 깁스를 했고 며칠 뒤 제대로 깁스를 하자 불평이 수그러들었다. 고관절이 아니라서 천만다행이라고들 했다. 고관절이 왜? 듣고 보니 고관절 수술을 하면 자리 잡고 눕게 되고 그 길로 일어나지 못할 확률이 높다고 한다. 그렇구나. 누구에게나 알 수 없는 가벼운 사고며 병들이 빈발한다. 갑자기, 섬뜩하게 큰일도 날 수 있겠지.

얼마 전엔 또래 선배가 동맥류로 떠난 놀라운 일도 있었다. 병명도 생경했고, 서울에 거뜬하게 애들 보고 왔다는 사람이 며칠 새 저 다른 나라에 가 있다니 그저 놀라웠다. 갑자기 미스터리 소설을 쓴다, 자연사일까? 남편이 의사이면 극과 극이다. 애처가라서 처와 처가가 호강하거나, 여차하면 사팔뜨기라서 속을 태우며 산다. 지구상의 능력남들은 더러 무서운 능력도 함께 갖추어서……. 도파민인지 뭔지가 분비되는 몇 년이 지나면 예뻤었던 아내를 치울 궁리를 한다는데, 눈빛을 잘 보고, 아니면 재빨리 괜찮은 조건에 도장을 찍어야 한단다. 너절하게 퇴출당하기 전에! 영화를 너무 보았나? 하지만 영화가 하늘에서 떨어진 이야기들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니까.

 

시계를 보니 친구들과의 약속 시간에 대려면 더는 미적거릴 시간이 없다. 설거지 겨우 끝내놓고 멍하니 앉아있던 참이었다. 점심나들이에 따로 준비랄 것도 없지만, 기차 시간이란 엄중한 것이니까 대충 입고 가방을 챙긴다. 모기 기피제랑 계관은 필수지. 아차, 손수건과 칫솔……. 그러고서 나선다.

어? 친구들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설마 오늘이 아닌 거야? 180°를 돌아다 봐도 아무도 없다. 반대쪽으로 돌아도 없다. 늦지 않고 빠른 게 다행이다. 발은 커피숍으로 향한다. 급히 나오느라 커피를 담아오는 걸 잊었더니 그 향에 끌렸나 보다.

톡! 매표소 올라가지 말고 그냥 아래 있어! 기사님 뜬다.

기차로 가자더니 예정이 바뀐 모양이다. 일회용 용기에 받아왔다고 미선이 또 혼내겠지. 그래도 넉 잔을 조심히 들고 역 마당으로 내려오니 성주가 보였다.

짝꿍 괜찮아?

응, 그런 대로. 이제 출근하는데 뭐. 어머니는 어떠셔?

계속 아프다시지, 애기처럼. 마침 왼쪽 손목이라 그런대로. 다음에 나타난 건 차를 가져온 미선이었다. 5시 기차로 돌아옴 내가 넘 늦겠어서, 니들 좀 빨리 와도 괜찮지? 근데 정인이 가시나는. 차보단 먼저 와서 기다려 줘야……. 말을 하다말고 미선인 다시 차에 올랐다. 깜박이만으로 정차 할 수 없는 곳인가 보다. 순간 저쪽에서 정인이 보인다.

뛰어, 뛰어 와! 성주가 두 손을 높이 들어 불러도 정인은 느긋하게 걷는다. 정인을 기다렸다가 밀어넣은 다음에 성주가 올라타자마자 차가 출발한다.

야, 너 차를 길에서 기다리게 할래!

꼭 해야 할 말을 꼭 해야 할 시간에 내뱉는다. 정작 운전수가 아니라 조수석의 성주다.

미안혀요, 떡이 안 오잖어유. 시골에 가면서 빈손으로 가남유. 언니도 떡 좋아하고. 정인은 아예 느실거린다.

무슨 언니? 친구라 안 그랬어?

나이가 좀 있어, 친구하기는 해도.

너스레를 떠는 정인의 보따리가 그러고 보니 두 개나 된다. 무거워서 못 뛰었구나.

 

찔레꽃 향기는 정말 대단했다. 골목길이자 큰 길로 나가는 좁은 길 쪽으로 담장 전체가 찔레꽃으로 덮인 집인데, 일상의 집은 아니었다. 버려진 도자기 공방이라나. 꽤 넓은 잔디밭 어디에도 도자기의 흔적은 별로 없었다. 공방으로 썼다는 동굴 같은 초막에 들어서서야 주인장이 제작했거나 수집했을 소박한, 크기에서 소박한 그릇들이 엉성하게 진열되어 있었다. 진열이라고도 할 수 없으리만치 그냥 자연스럽게 널려 있었다고 하는 것이 맞는 표현일 터.

정인아, 막상 어려운 친구들이랑 오면 내가 좀 부끄러운데 어쩌나. 어쩌나요.

별말씀을. 우리 안 어려운 애들이에요. 정인이가 가끔 이야기할 때면 우리 모두 한번 와보고 싶었던 곳이죠.

찔레 향이 정말 대단하군요.

어떻게 이렇게 가꾸세요?

한 마디씩 감탄에 주인장은 겨우 대답할 틈을 찾는다.

가꾸다니요. 그냥 내버려 두죠. 잔디밭인지 풀밭인지 그냥 파란 대로 살라고 내버려 두네요. 염색물 떨어져도 편하라고.

어머, 염색도 하셔요?

도자기는 몇 년째 방학이지요. 염색도 어쩌다가, 그저 취미 정도죠.

그럼 농사를?

농사라뇨. 뭘 할 수 있겠어요. 시골서 태어난 것도 아닌데다가 뒤늦게 시골 내려와서 뭘 할 줄 아는 게 없죠. 여기 오이, 고추, 미니토마토, 이런 것 한두 개 따먹는 것이 전부인걸요.

그래도 시골인데.

저 아래 논 조금, 중간에 누가 자꾸 사래서요. 저 아랫집 텃밭, 텃밭에 뭐가 있더라. 가지랑 뭐 좀 있죠. 언덕에 호박 몇 구덩이. 감나무, 매실나무들. 그냥 저절로 있는 것들이나.

한 십년 넘은 것 아녀요? 언니, 처음 우리 발라드반들 여기 불렀을 때는 내 기억으로는 언니 의욕이 넘쳐 보였더랬는데. 정인이 보조설명자로 나선다. 저 아랫집 살 때만 해도 조금 손질해서 북카페 그런 것도 가능하댔잖아요.

아, 내가 그런 게 아니라, 팔고 나가는 사람이 꼭 팔고 나가야 하니까 동네사람들이 내게 희망적으로 권하는 말들이었죠. 어떻게든 타지 사람이 또 사들어 오는 것 보담 이왕 발붙인 우리가…….

그럼 여기 이 마을이 배타적인가요?

아아뇨. 그렇진 않아요. 도공들 마을이었으니 자존감 내세울 처지도 아니고. 중간에 문화재다 뭐다 인정받기도 하고, 정통 뭐 그런 것에 대한 우대적인 분위기도 옛날보다야 낫다지만.

암튼 공기가 엄청 다르네요.

정말 살 것 같아.

이 엄살, 어디선 죽을 것 같았냐.

이상한 해방감에 우린 그냥 맘대로 소리 나는 대로 지껄였다.

논밥들 알아요? 우리 오늘 논밥 먹을 거예요.

주인의 말도 신기하기만 하다.

논밥요? 누가 논밥을 내오나요? 왠지 솔깃해서 내가 물었다.

내오다니, 배달이겠지, 배달의 민족! 미선인 늘 정확하고 빠르다.

맞아요. 여기 논일이고 밭일 하면서 식당에 핸폰으로 전화하면 점심 배달 다 된답니다. 놉 얻어서 일하더라도 밥은 절대 안 해주요. 기대도 않고요!

놉? 놉이라뇨?

장소가 바뀌니 단어들이 생경하다.

놉이라는 말, 그게 어째 노비처럼 들리네요.

맞아. 놉이라는 말은 노비라는 말이 반절음화해서 생긴 것이지. 하지만 노비와는 다르지, 시대가 다르니까. 날품, 일꾼, 삯꾼, 품꾼, 품팔이, 여러 말들 모두 하루하루 품삯과 음식을 받고 일을 하는 건 마찬가지야. 요즘 시골에서는 일손이 귀하다보니 놉이 오히려 갑일 수도 있을 걸.

미선 씬 시골 일을 잘도 아네요. 그래서 놉이 아니라 주인네가 죽었나 싶네요. 놉 때문은 아니었지만.

누가 죽어요? 부러 죽었다고요? 정인이 울상이다. 언니, 지난 번 말씀으로는 시골 살기가 괜찮다 하셨잖아요.

괜찮지, 전반적으로는.

전반적으로는?

기본적으로 지원금이 나오죠, 이 동네는 집들이 있어도 전원 다 해당되죠.

언니만 빼고요?

에이. 뭔 그런 소릴. 저쪽 마을회관에요, 거기 가면 한더위에도 완전 시원하죠. 밤 열시까지 에어컨 빵빵, 아예 썰렁하게 틀고 살죠. 오전엔 열한 시나 되면 반찬이 와요, 어디에서 오는 것인지. 그럼 진작에 와 있던 쌀로 밥을 짓는 거예요, 나라미라 해도 매일 새 밥을 지어먹는 거예요.

나라미? 정부미 말인가요?

예, 나라미. 한글로 나라 다음에 한자로 쌀미자가 쓰여 있어요. 나라 쌀로 거저먹는데, 공짜에다 해주는 밥을 먹으니 나름 호사죠. 그 중 젤 젊은이가 밥을 짓는데, 물론 수당을 받고 하죠. 이리저리 꽤들 받아요. 누군가 가끔 파스다 뭐다 이런저런 약들도 가져다주고, 또 집으로 노인돌보미 나오죠, 어떤 집엔 목욕도우미도 와요. 이발비까지 나오니 살만한 거죠. 어떤 자녀가 그런 효도를 하냐고요.

주인언니는 우리보다 한참 위라고 들었는데, 말투가 전혀 노인 편이 아니다.

그렇다고 노인들 세상은 아니죠. 여전히 인간적 존엄성 유지가 안 되잖아요. 난 어쩐지 노인 편으로 말한다.

존엄성이 뭔데요. 월급처럼 수당을 주어 자식들 눈치 덜 보게 해주는데요. 농지만 있으면 건보료 그런 것들도 다 감면 혜택을 주죠. 결과적으로 땅 뙈기 가진 노인들이 더 혜택이라니까요.

농지가 있으면 외려 감면된다고요?

그래요. 믿거나 말거나 그렇다니까요. 집도 연금도 수준이 넘어서 상당한 건보료를 내야한다, 그럴 때 농지를 소유해서 농사짓는 농부로 등록되면 감면에 해당되는 거죠.

뭐가 뭔지.

아무튼 농지 소유자가 우대?

여러 가지예요. 장애인 처우도 대단해요. 저 위에 어려서부터 약간 다리를 저는 아줌마가 살아요. 얼핏 보면 모를 정도로 살짝. 한데 무슨 차량이, 복지관 차량이겠죠, 일단 데리러 와서 맨날 나들이죠. 한번은, 언니, 나 볼링 갔다 오네, 그러죠. 한번은 수영 다녀온대요. 세상에 승마도 다녀온다니, 그게 장애인이 할 만한 운동인가 말예요. 한번은, 언니 나 요것 좀 사주쇼, 그러는 거예요. 무슨 복지 상품권인데, 다 사용하기가 많으니 나더러 현금화해 달라는 거죠. 모르긴 몰라도 좀 과한, 좀 치우친 지원인가 싶기도 하고.

수중 운동이다 특수체육이다 그런 걸 하게 돼서 기본적으로는 복지가 향상…….

미선이 끼어들다 말꼬리를 내린다.

 

아름다운 찔레꽃 마을에 오면 찔레꽃에 푹 빠져서 꽃가루 범벅이 된 호박벌 이야기라도 들을 심산이었다가, 무언가 평등 같은 불평등을 체감하는 이야기를 듣게 될 줄이야. 우리 모두는 조용했다.

일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이래저래 도움을 받고, 죽어라 일하는 한창 아저씨들이 죽어나가는 거라서.

우리가 머쓱해 하자 잠시 말을 끊었던 주인네가 계속했다.

놀고먹는 사람들은 느는데, 일손은 모자란다고 하고. 일당도 그게 적은 건지 많은 건지 알다가도 몰라요.

무슨 말이세요?

일을 가는 입장에서야 말이 하루 8시간 8만원이라 그러고들 가죠. 하지만 새벽부터 해 넘어 가야 일어서니 시간 초과는 기본. 그런 일도 날마다도 아니니까, 그러니까 일당이 많은 게 아니죠. 허나 일을 주는 입장에서는 사람 하나 쓰기가 무섭다고 그러더라고요. 하루 양파작업 하면 산지 값으로는 양파 열 포대 스무 포대 값을 한 사람 노임으로 주는 것이니까, 열 사람 쓰면 100포대 200포대 값이 그 자리에서 나간대요. 올해도 양파 풍년이라 여기선 다들 죽을상이더라고요. 그런 노임 다 주고 출하를 해도 양파값은 바닥이니까.

모순이네요, 모순. 풍년에 죽을상이라니. 양파 따는 사람 좋으면 양파 주인 망하고…….

무슨 모순씩이나! 게다가 누가 양파를 딴다냐, 캐지!

모처럼 끼다가 다시 핀잔소리를 듣는다. 성주는 말 틀리는 꼴은 못 참는다.

다 알아듣고서 왜 그래, 정확한 단어가 입술에 걸려 머뭇거리기도 하지, 우리 나이에.

얘 또 나이 타령이네, 남아, 제발 조옴!

내 말은 보편성이 그리 없는지, 친구들 사이에서 좀 뒤떨어지는 느낌을 받게 된다. 대놓고 형광등 취급이다.

 

넌 그래 여태 그걸 몰랐어?

알았다니까. 지금 알면 어때서! 그래 나 형광등이다.

얘 좀 봐, 자신을 좀 아시네. 헌데 실은 고장난 형광등이다.

그러기 십상이었다. 언제나 별 일도 아니었다. 다만 다들 아는 이야기를 몰랐다는 것인데, 좀 억울했다. 예컨대, 미남 사회 선생님이 미녀 음악 선생님하고 그렇고 그렇게 비밀연애중이라거나, 좀 자라서는 우리 반에서 제일 얌전한 차옥순이 벌써 대학 다니던 중 살림을 차렸었다는 등, 그게 무슨 대단한 일이어서 내가 꼭 알아야 하는가 말이다. 어떤 이야기는 알려고 해도 알 수 없기도 했다. 아무개가 약(?)을 먹었고 죽진 않았고 그래서 입원 중인데, 온갖 이유들이 너풀거렸을 때다. 열아홉 나이에 어떻게 정답을 아는가 말이다. 나중에, 훨씬 나중에, 우리들 마흔 아홉에 그 앤 정말로 떠났다. 비행소녀처럼 날라리처럼 옥상에서 아래로 순간에 죽었다. 누가 그 이유를 아는가. 모르면 형광등인가. 고장난 형광등.

 

멀쩡한 양파밭을 갈아엎는데……. 주인이 얼른 화제를 챈다.

왜 멀쩡한 걸 엎어요, 좀 잘 못 된 걸로 갈아엎는 것 아녜요?

그게, 아주 잘 된 상품이라야 보상금이 나와요. 안 좋은 건 갈아엎어도 소용없고요. 그러게 양파가 폭락이었으니, 이제 고추라도 잘 되어야 할 텐데.

고추가 왜요?

여기 사람들 양파 해내고 고추들 따는데요. 그게, 작년에도 양파 완전 망치고 나서 고추농사나 기대했다가 것도 안 되니까 그 사단이 난 거예요.

사단이?

탄저병 알죠, 타들어가는 병. 거기다가 컬러병이라나 노란 반점들이 생기고 그랬다네요. 양파에 고추에 둘 다를 망친 어떤 집에서 그만, 그만 세상을 떴죠.

어머나, 그렇게까지. 정인인 곧 죽는 소리다.

분통이 터지면 그럴 수도 있나보죠. 의욕이 완전 바닥이 났을 수도 있고.

맞아요, 주인네가 계속한다. 그런데 사람 목숨 모기 목숨이에요. 탁 하고 때려잡은 모기 잊어버리듯, 죽은 사람 금방 잊어요. 완전 잊죠. 바로 그러고 나서 벼농사 목돈 나왔으니까 덩실덩실이죠. 그때 태풍 차바던가, 암튼 벼들이 다 쓰러져 누어버렸잖아요. 그럼 관에서 나와서 피해 정도를 조사해 가죠. 몇 퍼센트 어쩌고, 다 죽었다고 적어가죠. 그런데 실은 다시 일어나는 벼들도 있어요. 꺾이지는 않고 살짝 눕는 경우죠. 그럼 수확이 외려 약간 느는데, 관에선 조사해간대로 보상금이 나와요. 그러니 복불복이죠.

그렇구나. 얘들아, 복중에서 최고의 복은 뭘까, 전화위복이래. 금세 기분이 좋아진 정인의 말에…….

 

글렀네.

뭐가, 나남이, 뭐가 글렀냐고? 전화위복이라니까 글렀다니!

아차, 또 들켰다. 나는 여기 들판을 본 처음 순간에, 만일 다음 생이 가능하다면, 내 죽은 양분이 모여서 다시 사람으로 태어나는 일이 행여 가능하다면, 땅 넉넉한 곳의 농부로 태어나고 싶다고 생각했었다. 남자로 여자로? 그건 상관없겠다. 남자 여자 차이가 무슨 대수라고. 다만 지금 생에서보다 튼튼한 몸과 맘으로 태어나서, 투박하고 든든한 집을 지어, 지금처럼 단 둘이서가 아니라 아이들을 여럿 낳아 왕창왕창 떠들썩하게 함께 살며, 무심해 보이는 땅과 대화하면서, 뭔가 씨를 심어 넣고 자라는 것을 바라보다가, 다 자란 놈들을 먹기도 하고 내어다 팔아서 다른 소용되는 물건들을 사기도 하고. 운전면허시험에도 합격하고, 튼튼한 차 하나 있음 가끔은 아이들이랑 어쩌면 읍내 문방구에도 서점에도 가고……. 그런 생각을 하다가 들킨 것이다.

아니, 나는.

너는 뭐? 시골 살 생각을 하려다가 글렀다 이 말이지? 성주는 뭐 넘어가 주는 법이 없다. 제 남편도 칼칼한 아내가 성가셔서 자주 아픈가.

남이가 어떻게 시골 살아. 얘는 벌레라면 질겁하는 걸 몰라. 파리모기도 호들갑인데. 쟤 지금 가방 속에 모기약 잔뜩 있을 걸. 더구나 흙속에 숨어 있다가 꿈틀거리며 나타나는 것들이라면. 얘가 어떻게 시골에서 사냐고! 정인은 모르는 것도 두둔해주는 애다.

누가 시골 산댔냐. 나는 그저.

그저 뭐냐니까.

그저, 땅이란 것도 온난화다 자연재해로 힘들 거다, 뭐. 엉망으로 작물이 안 되고, 또는 트렌드에 밀려 외면당하고. 시골도 이상향은 아니구나, 그런 정도.

그래, 남이 그냥 내버려 두자. 시골에 살고픈데 살고 싶지 않다. 이 애 모순인 것 한 두 번이냐.

누가 모……, 미선에게 대꾸하기도 전에 말은 끊긴다.

시끄럿! 그리고, 이상향이 어딨다고! 너흰 어디 이상향을 알아? 유토피아란 말의 뜻이 어디에도 없는 곳이니까, 이론상으로도 없는 거라고! 없으니까 이상향!

왜 그래, 미선아. 무섭게. 누구라도 가고 싶은 곳, 가서 살고 싶은 곳, 그런 건 있잖아. 성주도 놀랐는지 이번엔 구겨진 나를 돕는다.

그래, 그것까진 아니라 해도 가보고 싶은 곳들은 있지. 왜 버킷리스트라고. 우리 나이쯤이면 그런 것 있잖아. 언니, 안 그래요? 슬쩍 주인을 쳐다보는 정인이는 말도 동글다.

그러게. 다들 어디로 떠나고 싶어하는 건 아닐 거예요. 난 이곳이 이상향은 아니지만 이곳으로 만족하는 편이예요. 사람들 가끔 오고, 것도 나쁘지 않죠, 외톨이란 느낌을 없애주니까. 시골 사람들, 이제 정 들고, 음식에도 따라가고. 건 그렇고, 밥 오기 전에 …….

 

주인은 저쪽 부엌에 가더니 냄비를 들고 나왔다. 처음 내어 놓은 옥수수 쟁반에 이어서 두 번째다.

바지락 먹어볼래요?

바지락이요? 요즘 먹을 생각을 안 했는데요.

가까이 싱싱한 수산시장이 있어요, 버스터미널 근처요.

어머나, 알들 굵다.

국물 엄청 시원하네요.

돌아돌아 도시로 나간 놈들보다는 싱싱하겠죠. 그런데 누구 바지락 알러지는 없겠지요?

설마요.

은근히 음식 알러지들 많더라고요. 여기 가끔 오는 지인 중에 낙지 알러지 있는 사람 봤어요, 목포 살면서.

무안 사람 아니어서 다행이네요.

그게 아나필락시스라고, 알레르기 질환이지만 중증이죠. 원인 물질에 노출되면, 먹거나 뭐 그렇게, 벌에 쏘여서도 그렇지, 그럼 심각한 전신 증상이 나타나는 거예요. 은근히 땅콩 같은 식물에도 큰일 나는 사람들이 있어요. 심하면 혈압이 떨어지고, 호흡곤란, 숨이 막히죠.

봤어?

아니, 쓰여 있어.

얘 미선인 우리 도서관입니다, 언니. 정인이가 또 너스레다.

사람 무안하게시리. 미선인 웃고 만다.

아나필락시스 뭐? 음식물 알레르기 종류이겠지, 좀 심한. 복숭아 만지지도 못하는 애들 많았잖아. 우유 못 먹는 애들도.

다르지, 우유 알레르기라 해도 두드러기나 피부염 정도이지만 아나필락시스는 쇼크까지 오는 경우라니까. 다시 미선이다.

우유 참 희한 해. 우유로만 크는 아이들이 대부분인데.

그래도 우유 못 먹는 사람들 은근 많다. 소화를 못 시켜 종일 더부룩하거나 배 아프고…….

그건 또 좀 다르지. 그건 유당불내증이라고 장내에 유당분해효소가 부족해서 그러는 것이고.

미선인 아는 것도 많다. 공부를 하는 사람은 어느 분야에서도 탁월해지는가 보다. 아마 공부가 재미있어서 이것저것 다 공부하는 것일 테다. 난 뭐가 재미있을까.

 

내 나이, 나이 탓하며 멈춰 있는 건 나이 탓하기 딱 좋은 나이라서 일까. 58년생들은 아직 법적으로 노인은 아니다. 더하기 65를 하면 2023년이 되어야 노인이다. 노인에 대한 인상은 대부분 부정적이다. 아리스토텔레스라던가, 그런 옛날 옛날에도 그랬다. 노령자는 지나치게 비관적이고 불신이 강하고 악의적이며 의심이 많고 편협하다, 그랬다던가. 어느 시대 어느 나라이고 노인은 노인이다. 너는 거의 노인이다.

우린 거의 노인이야.

남아, 갑자기 노인은? 그리고 거의 노인이 뭔데?

그게, 우리가 거의 노인이 되어있다는 말.

재미있네. 노인이면 노인이고, 아니면 아니지, 무슨 거의 노인?

그, 그게 말이야, 임신은 거의 임신 조금 임신 그런 말이 안 맞지만, 노인은 조금 노인 거의 노인 그런 말 되는 것 아냐?

그래서? 남이 너 거의 노인 하겠다고? 난 안 할래.

하련다고 하고 뭐 그런가…….

시끄러. 바지락 국물이나 좀 마시자.

 

바지락 국물 - 별로다. 싫다. 음식들 중 싫은 음식이 많다거나, 무엇에서도 재미를 느낄 수 없다는 말은 하지 못한다. 친구들은 차마 비정상이란 말은 하지 않지만 고개를 설레설레 흔들 것이다. 타고난 음식불감증, 재미불감증, 그런 것도 있을까.

아차, 불감증이란 단어는 금기어인 것을. 왜 불감증이란 단어가 금기일까. 단어 그 자체로는 감각이 둔하거나 익숙해져서 별다른 느낌을 갖지 못하는 일에 불과한데. 예컨대 도덕적 해이 비슷한 말로, 도덕적 불감증이 문제다, 뭐 그런 데에도 사용한다. 그러니까 재미불감증이란 말을 좀 쓰면 어때서. 말 하자!

 

미선아, 우유 소화 못하거나, 재미 소화 못하거나 뭐가 달라? 난 재미를 소화하지 못한다, 그 정도. 소화불량증이라 그럴까 보다.

나남이 히트다, 오늘. 유당불내증은 아니고 재미불내증이시다고?

재미있는 말이네. 재미있는 것을 몰라?

이 정도가 무슨 재민데. 재미없어, 하나도. 재미불감증이라지 뭐. 내가 고집했다.

그렇구나, 나남이. 나남이는 오늘 재미가 없으시단다.

아니, 그런 단어들 재미없다고!

그래도 오늘 여기 나들이가 재미없지는 않다고! 그렇게 정리하자고! 정인이는 무엇이든 동글게 끝내려 한다.

미안해도.

이 얘 말꼬리 좀 봐, 기어코 재밌다 그러지는 않으시네.

친구들 참 재밌다. 참 재미있게들 사네요. 자주 와요, 여기. 난 오랜만에 이렇게 편하게 떠들고 하는 것 보면서 신나는데요. 주인 언니가 거든다.

우리, 좋아 보이죠?

그럼, 그러믄요.

 

 

좋아 보이는 얼굴들을 하고서 하루가 간다. 툭 터진 정자에서 시골 옥수수도 먹고, 싱싱한 바지락에다 논밥을 먹으면서 담소한다. 그렇게 좋아 보이는 얼굴들로 헤어진다. 좋아 보인다는 것이 꼭 좋다는 말이 아닌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다. 더 좋아 보이는 얼굴의 미선이 늦을 새라 서둔다. 모태싱글로 똑 부러지게 잘 헤쳐 나가는 미선이 보기 좋다. 보기에 좋다. 속으로는 어떤지 아무도 모른다. 표리부동이 꼭 나쁜 말도 아니다. 속마음 다 내비치고 살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살자면 그 나름대로 표리부동일밖에. 그러니까 엉큼한 표리부동은 경계해야겠지만.

 

오늘은 무슨 행사냐? 토론이야, 강연이야?

차에 오르자마자 정인이 캐물어도 미선은 대꾸가 없다. 전문적인 일에 관한한 우리들하고 별반 나누지 않는다. 답답하리라.

내가 화제를 바꾸었다. 난 외려 자꾸 뒤가 켕긴다. 양파 값, 일 값, 시소처럼 오르고 내리고 연결되어 있잖아. 양파 값이 내려도 임금은 올라야 하고, 임금 오를수록 양파 주인은 내려가고…….

미선이 곧장 들어온다. 최저임금 올라가면 영세 고용주를 죽이고, 고용주 살리려면 최저임금 못 올리고. 정책 입안자들의 기본 고민이지. 모순이기도 하고. 도처에 이해 충돌이지!

시소가 바닥을 친들, 그래도 땅속으로까지 들어가는 건 심했어. 뭔가 잘 못이야. 왜 죽어! 일 년 내 농사 지어놓고! 성주가 잽을 넣는다.

잘못인 것 한둘이냐! 어찌 보면 사는 게 다 잘못이지.

남아, 뭔 말을 그렇게 해. 켕긴다며. 그런데 죽은 게 잘 한 거야? 사는 것이 왜 잘 못! 볼에 부드러운 바람 느끼면서 한낮 살았으면 좋은 날 아니냐고! 정인이 속상해 한다.

이게 무슨 좋은 날이야, 그저 그런 날이지. 있어도 없어도 되는 숱한 날들 중 하루.

그렇다고 오늘을 버리냐, 예까지 자알 살고서.

잘 살지 않았다니까, 그냥 살았지. 나도 버틴다.

그렇다고 버리냐고! 오늘을 버리면 어제에서 내일로 어떻게 건너 뛰냐. 내일로 안 갈 거냐고?

내가 안 간다고 내일이 안 오는 것도 아니고, 있으나 마나 한 날들, 있어도 없어도 그만인 시간들이 허무해서 하는 말이지. 쓸모없는 생은 이른 죽음이라고 했어.

누가? 명언이야?

앗, 괴테의 이피게니다! 나남이, 그건 좀 다르지. 미선은 정말 박사다.

뭐가 달라. 아무짝에도 쓸모없이 숨만 쉬고 있으면, 이미 죽음이 와 있는 거라고. 죽은 거라고. 형용사 빼고 말하면, 생은 죽음이다.

누가 이애 좀 말려라. 또 시작이다. 말 수 적고 얌전하던 애가 이상한 말 터뜨리는 것 가끔 심하더라. 이것도 모순이냐?

너까지 왜 이래. 모순 소린 자꾸 듣다보니 어째 거슬린다. 찔레꽃 향기 듬뿍 묻혀 가면서 웬 철학들이냐고.

힘들어서 그래. 넌 괜찮아? 하루하루가 괜찮아?

어때서?

미선아, 분위기 좀 바꾸자, 음악 큐! 경쾌한 하루를 마치고 귀가하는 우리들……

 

음악 소리가 들려오자 감긴 눈 안쪽에서 정인이 모습이 솟는다. 신발 소리가 사뿐하다. 앞뒤가 함께 닿는 발걸음은 맨발인 듯 가볍다.

박자 말고 선율을! 선율을 타라고요! 예, 그렇게. 아니, 고개는 들고요. 배를 등 쪽으로 민다고 고개를 내밀진 마시라고요! 앞가슴 활짝, 화알짝 펴서 쇄골까지 당기도록! 에이, 뒷가슴은 견각과 함께 앞쪽으로 밀고…….

 

선율이구나, 멜로디…….

남아, 무슨 소리? 무슨 선율?

어디에 가 있냐고! 얘가 점점…….

또 들켰다. 요즘에는 생각이 튀어 나와서 속마음을 들키는 일이 부쩍 늘었다. 싱그러운 정인이가 부러웠나? 허리를 뒤로 젖하고 걷는 모습이 우아하다.

뭐냐니깐!

아니, 갑자기 정인이 신발 소리가 멋져서. 마술이야, 천천히 걷고 싶음 천천히 사뿐히 걷고 싶음 사뿐하게.

발걸음 소리가? 어디서? 네 옆자리에 푹 앉아계신 정인이 발자국 소리가 지금 들린다고?

응. 선생님 목소리를 따라 나긋나긋, 박자가 아니라 선율을 타면서 사뿐사뿐.

박자 말고 선율을 타면서 사뿐사뿐 - 너 우리 댄스교실 와봤어? 정인이 놀란다.

아니, 그냥 생각이 난 거야. 생각하면 안 되냐 그래? 우물쭈물 변명으로 간다.

실은 우리들 다 댄스교실 다녀야 해. 운동 중에 최고라잖아, 음악이며 상대와의 교감이며, 단순운동과는 비교가 안 돼. 미선은 댄스에 관해서도 정답을 안다.

그게 쉬운 일은 아니지.

정인아, 그게 그런데 아침 아홉시라고?

아, 그만 둬. 새벽밥 먹고 춤추러 갈 일 있남요? 정인인 취미가 되시니까 쭈욱 하랍시다!

갑자기 음악이 꺼지며 차가 멎는다.

내려, 얘들아, 오늘 여기서 한꺼번에 푼다. 알아서들 흩어지라고! 씨유!

너 여기 미국 아니다. 잘 가라고, 라이드 고마웠어.

오염된 한국어구만. 하긴 단일민족도 아닌데 뭐. 샬롬!

나마스테!

 

 

지하철 타러 내려갑니다. 오고 가는 것을 혼동하는 일이 없겠습니다. 여럿이 함께 내려가기 때문입니다. 실은 지난번에 문화전당역에서 금남로 쪽을 탔어야 했는데 남광주 쪽으로 갔다가 당황한 적이 있었습니다. 잃어버린 시간 때문보다는 낭패감 때문에 더 속상했었던 기억을 지하철 탈 때마다 하게 됩니다. 방향을 잃는 일이 어디 지하철에서 뿐이겠습니까. 처음 순간 1°만 살짝 틀어져도 엄청 달라져버리는 인생길을 살아가노라면.

그런데 인생이 직선은 아닙니다. 아예 꺾어 가기란 쉬운 일이 아니겠지만, 슬쩍 각도를 옮길 수는 없는지요. 과제를 수행하는 중에 주위의 사물이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 집중력은 우수한 성질이죠. 하지만 도가 넘으면 병입니다. 인생이 과제인 한 그렇지요.

귀를 베어가도 몰라요, 쟤가!

어려선 숙제를 하거나 책을 읽다가 핀잔 듣기가 일쑤였답니다. 그때는 핀잔 속에 칭찬의 냄새가 끼어 있었습니다. 지금 와 생각하니 그게 꼭 칭찬받을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결국 길을 바꾸어 갈 줄 모르는 사람이 되고 말았습니다. 가는 길이 가고 싶지 않다면, 바꿀 수도 없다면, 어찌합니까?

모순에서 찔레꽃으로 앙파로 춤으로 숨 가쁘게 상념을 옮긴 오늘, 오늘 하루가 갑니다. 들고나는 이 없이 닫혀있기 일쑤인 현관문을 벗어났으니, 조금은 더 사는 것 같은 하루였습니다. 여럿이 섞여서 슬금슬금 앞으로 갔을지요. 앞이란 어디일까요. 목적지를 앞이라고 해야 할지요. 목적지는 어디일까요.

남은 날들 중에서 하루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몇 날이 남아있을지 누가 압니까. 모르는 것에 대한 불안으로 숨이 막힙니다. 모르는 것은 흔히 어둠이라고 표현합니다. 창밖에 어둠별이 떠오릅니다. 오늘밤이라는 이름의 밤이 올 것입니다. 어쩌면 밤새 숨이 막히겠지요. 아니면 내일 밤에, 어느 밤에. 아득히 혼자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20. <전남여고문학> 6호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편소설『숨』  (0) 2020.11.25
  (0) 2020.06.21
이름  (0) 2020.03.20
교수신문 2017 - 과분한 대접  (0) 2019.09.11
나무  (0) 2019.08.26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9. 9. 11. 12:57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33809


아무리 생각해도 <교수신문>으로부터 과분한 대접을 받았다. 
30회 걸쳐 가벼운 칼럼을 쓴 일밖에 한 것이 없는 나에게.
2년이 지나서,  <방송통신대학 위클리>에 역시 가벼운 글 하나를 쓰고서 생각이 난다.

장편 <흐릿한 하늘의 해>가 출판되었을 때, 그리고 그 작품으로 "놀랍게도" PEN문학상을 받았을 때......

 

‘글쓰기’ 절실해 떠난 강단 … “오늘 가능한 일에 몰두할 뿐” - 교수신문

때로는 한 국가의 지식인으로서 냉철하고도 날카롭게, 때로는 어머니 같은 마음으로 따뜻한 시선으로 이 나라, 이 사회를 바라보며 글을 쓰는 교수가 있다. 현재 에 ‘서용좌의 그때 그 시절’을 연재하고 있는 ...

www.kyosu.net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40455

 

“과분하고 기적 같은 受賞 … 쉽지 않지만 예술의 길 계속 갈 것” - 교수신문

2017 PEN문학상 소설 부문 수상의 영예는 서용좌 전 전남대 교수에게 돌아갔다.에 인기 연재칼럼 ‘서용좌의 그때 그 시절’을 집필했던 서 명예교수는 이화여대 독문학과 1회 졸업생으로, ‘글쓰기’에 좀더 매...

www.kyosu.net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순  (0) 2020.06.21
이름  (0) 2020.03.20
나무  (0) 2019.08.26
누수  (0) 2019.08.26
시베리아 아님 블라디보스토크  (0) 2019.05.09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9. 8. 26. 11:23

나무

 

나방이나 채소밭의 상추도

밤에 달을 쳐다보면서

어쩌면 꿈을 꿀 지도 몰라요.

- W. G. 제발트,

『아우스터리츠』에서

 

나무를 사 올까봐. 나무 심는 식목일이네, 벌써.

퇴근길에 말예요?

응. 작은 꽃나무를 고를까? 낼 쉬는 날이고. 아차, 낼은 마침 산소에 가는 날이네, 4월 첫 토요일. 이번엔 한식과도 맞아 떨어졌으니 딱 좋네. 산에다 심을 거면 좀 큰 나무를 살까?

산에다 나무를?

그냥. 사방에 산불도 나 쌓고. 올핸, 낼 한번 같이 다녀올까? 생각해 둬요.

 

닫히는 문과 함께 사라지는 말꼬리에 대꾸를 하지 않았다.

우선 소파에 털썩 앉아서 달력을 들여다본다. 오늘 식목일은 청명과 겹치고, 낼은 한식, 다음은 음력으로 집는 삼짇날이다.

언제부터인가 시월상달의 시제는 봄으로 옮겨졌다. 음력 시월이면 눈 내리던 풍경일 때도 있었다. 시월 보름치는 ‘꾸어다’라도 한다 했던가? 보름께 올 눈비가 미리 올 때도 있었고, 바람까지 부는 언덕은 늘 추웠다. 나무들도 칼바람을 가려주지는 못했다. 음복이라고, 바깥에서 먹는 음식들은 다 식어 빠지고 말랐어도 유쾌하게들 먹었다. 밥은 그런대로 스티로폼박스에 보관해서 미지근하지만, 코펠 두 개로 끓여대도 국물을 데우기가 문제였다. 어떻거나 세월은 흐른다. 집안마다 어른들이 세상을 뜨시고 땅 속으로 자리를 옮겨갔다. 차츰 세대가 바뀌니 참석자들이 점점 줄었다. 방식에서도 이것저것 원칙을 지키려는 뜻이 수그러들었다.

우선 축문을 한자로 쓰거나 읽을 수 있는 사람들이 드물었고, 한글로 써오기 시작했지만 그것도 어색해했다. 소지(燒紙)를 두고서도 의견이 분분했다. 축문을 잘 못 읽더라도 분축(焚祝)이 대신해주니까, 우리들 기원이 충분히 전달되라고 하는 것이제. 암, 연기와 그을음이 하늘 높이 오를수록 감응이 크시지요. 손바닥으로 축문을 들어 올리는 시늉을 해가면서 소지를 생략할 수는 없다는 의견도 있었다. 반대도 만만찮았다. 밭두렁에서만 산불이 비화되는 것 아니라고, 축문 태우다 산불 내는 것을 조상님들이 원할 것 같냐고. 축문을 못 태울 거면 쓰지도 읽지도 말라요 뭐요, 설마. 갑론을박에서는 매사에 매우 이성적인 사람들이 결정권을 쥔다. 그래도 그쪽도 향불까지는 어쩌지 못했다. 절이 끝나면 향대 가득 생수를 부어 향을 끈다. 아예 불씨를 말린다, 아니 적신다. 꺼진 불도 다시 보자, 좋은 일이다. 상차림도 완전히 간소화되어 주과포로 한정되었으니 따로 불 피울 일도 없다. 삼삼오오 차들로 나누어 타고 어느 식당에 가서 함께 점심을 나눈다. 이만하면 되었지, 조상님들도 우릴 기특하다 여길 것이네. 조상님들 아니라면 이리 모이기가 쉬운가. 옳은 말이다. 크게 나눌 것 없으니 다툴 것도 없는 일가들, 화기애애하다.

 

부엌은 아직 널브러져 있다. 아침 차리고 먹고 설거지, 점심 차리고 먹고 설거지, 저녁 차리고 먹고 설거지. 꼭 밥을 먹고 나면 그때야 오는 거지가 뭘까요? 답은 설거지! 며칠 전 라디오 영어방송에서 느닷없이 한국말 아재개그가 흘러나왔으니 웃을 밖에. 오늘은 그리 웃고 싶지 않다. 설거지하면서 벌써 다음 끼니 반찬 생각이라니, 무얼 먹을까. 무얼 먹을까. 무얼 먹을까. 무얼…….

삼짇날엔 진달래 화전이 얌전하다지만 맛은 여린 쑥을 따다 섞어서 찐 쑥떡이 일품이다. 내일 쑥떡이나 좀 해서 따라 나설까. 근년 들어서는 주과포라 해서 약식 시제를 드리니까 여자들이 음식에 매달리는 일은 사라졌다. 혹시 쑥떡을 하게 되면 오미자차나 보온통 하나 가득 담아가면 되겠지. 오지랖도! 뭣 하러 종일 부엌에 틀어박히나. 시키지도 않은 짓을 사서 할 것까지는 없지. 봄날을 즐기면 될 일이다.

 

봄은 4월이 되어야 봄 같다. 소프라노로 불리던 4월의 노래가 떠오른다, 4월의 시다. ‘돌아온 사월은 생명의 등불을 밝혀든다.’ ‘빛나는 꿈의 계절아’ 하더니, 왜 또 ‘눈물어린 무지개 계절아’라고 읊었을까. 이 행은 앞뒤가 맞지 않다. 내가 원래 시적 감흥력이 낮아서겠지만 이해가 잘 안 된다. 빛나는 꿈이 눈물어린 무지개가 된다!? 시인들을 시를 곧장 이해하기란 난수표 해독이나 다름없다. 세기의 시인이라는 한 시인은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 내고……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우는’ 시간이라면서 4월을 왜 가장 잔인한 달이라 읊었을까. 100년쯤 흘러 먼 나라에서 막 피어나는 라일락 송이들을 몇 백 송이 째로 깊은 바다 속에 수장할 것을 미리 감지라도 했다는 말일까. 시인은 예언자도 신도 아닐 텐데.

아서라. 4월은 자연스럽게 무엇인가 움트는 시간임이 분명하다. ‘머리맡에 씨앗을 두고 자는 달’이란 긴 이름으로 4월을 부르는 인디언도 있다고 했다. 비슷한 다른 인디언들은 ‘생의 기쁨을 느끼게 하는 달’이랬다지. 씨앗을 뿌리며 느끼는 기쁨만 한 것이 있을까. 내 손으로 뿌린 씨앗이 뭐였더라? 있기나 한가? 분꽃 몇 알? 먹을 것이 아닌 볼 것을 위한 씨앗이지만, 귀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새까만 씨앗에서 어찌 그리 예쁜 꽃이 피어날까. 경이롭다는 말은 씨앗이 싹을 틔우는 것을 보는 일에 쓰는 게 가장 적합하다. 게다가 꽃잎이라니! 유용성은 다음 일이다. 먹을 수 있는 것만 유용한 것도 아니다. 배가 불러도 불러도 불행한 사람들도 있으니까. 나 또한 배가 불러서 이러고 꼼짝 않고 앉아만 있는 것인지.

 

 

전화다. 집 전화다.

핸폰 왜 안 받아? 카톡도 안 보고!

안 받았어? 가만, 어딨더라? 충전기에 안 꽂혀 있는데 어딨나! 미안. 그런데 왜? 아침부터 급해서 전화야?

티비 안 보고 있냐고!

왜?

밤새, 아니 아침에도 티비 안 보냐고!

뭐, 산불 말야?

텔레비전을 켜니 불길이 아직도 훤하다. 무서우리만치 타고 있다. 밤새 손을 쓸 수 없었단다. 동 튼 지가 언제인데 여태도 못 잡았을까? 아니, 그 이상이다. 소나무 가지들이 송진으로 불타며 비화해서 100km를 날아갔단다. 설마 잘 못 들었나? 강 건너 불구경이라고, 텔레비전을 보고 앉아서는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없다.

은숙이, 은숙이 강릉 간 거 알지?

뭐야? 강릉엘? 지금 강릉엘?

그래, 어제 갔잖아. 케이티엑스 덕에 아침은 서울에서 먹고 강릉 가서 여유 있게 점심 먹고 있다고 자랑질이더니. 오후엔 경포대 바다를 볼 거라고 하더니만.

이 봄날 무슨 바닷가.

바닷가 타령이 아니라니까. 강릉 일박이라고 했으니 이 불길 속에 강릉에 있었다는 말인데, 지금 연락이 안 된다니까.

호들갑이네. 그곳 사람들 집들이 문제지, 관광객들이야 빠져 나왔으면 된 것 아냐?

설마겠지만, 여자들만 갔다는데 일단 걱정이 되잖냐.

별일이야 있을라고.

하긴. 그런데 올케가 발언권이 세서 좋은 일도 있더라고. 그 집은 시누올케들만 남자들 다 떼어놓고 잘도 뭉치더라고. 해외도 가요, 며칠씩이나. 하긴 해외여행이야 어차피 여자들이 대세 아닌가. 남자들은 직장에 매어있는 동안에.

그러니 어쩌자고?

몰라 몰라. 그냥 연락이 안 되니까 여기 저기 돌리고 있지.

뉴스를 보면…….

친구가 불길 속인데 뉴스만 보고 있어? 매정하긴! 끊어!

성주는 전화를 걸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급하게 돌아선다.

 

매정하긴! 그래, 매정하다. 나는 매정한 편이다.

남이 씨, 그렇게 매정한 사람 아니잖아.

아뇨, 나 매정해요. 인정머리 없고 매정한 사람, 그게 나예요.

매사에 이런 식이다. 내가 따뜻함 넘치는 푸근한 전업주부의 인상을 주지 못 함을 알고 있다. 지적인 커리어우먼도 아닌 것이 따뜻한 사람냄새도 없으니, 뭔지 누구에게라 할 것 없이 미안하다.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 모두에게? 똑부, 똑게, 멍부, 멍게! 누가 그런 분류를 해 놓은 것인지. 멍게는 나를 두고 하는 말이다. 멍청하고 게으르고. 공감하는 일조차도 멍하고 게으르니까.

게으르지 말자. 멍청한 건 못 고쳐도 게으름은 개선할 수 있겠지. 우선 설거지나 마저 끝내자. 점심은 굶자. 간단하다. 간단한 하루가 흐른다.

조용한 한낮이다. 넷플릭스 - 영화의 세상으로 가보자. 두 시간은 좋게 지나갈 것이다.

텔레비전에서 영화이야기가 진지하게 흐르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거기서 들었던 어떤 제목을 검색해 보았더니 아직 넷플릭스에 들어오지 않았다. 눈에 띄는 제목들도 있다. 〈내가 너를 사랑할 수 없는 10가지 이유〉- 셰익스피어의 ‘말괄량이 길들이기’의 변형이라는데. 아니, 청소년 버전인 모양, 패스! 〈첫 키스만 50번째 〉- 뭐야, 기억상실증인가? 정말 그렇다네. 단기기억상실증으로 매일 만나는 남자를 매일 처음 만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여자의 이야기란다. 첫 키스? 사랑은 키스로 시작되는가? 그럼 나에게 사랑은 없는 것이다. 고개를 젓게 된다. 입맞춤이 그리 쉬운가. 그것이 사랑의 충분조건인지 모르겠지만 필수조건은 아니다. 머리카락을 만지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이 있듯이 입맞춤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어 마땅하다.

 

조용해! 엘뤼아르가 말한다. ‘포도로 포도주를 만들고/ 숯으로 불을 지피며/ 입맞춤으로 인간을 만드는 것/ 그것이 인간의 뜨거운 법이다.’

‘쇼드 르와’, 엘뤼아르님, 죄송합니다. ‘입맞춤’은 그냥 상징으로 쓴 거죠? 진짜 묻고 싶은 것, 물을 수 없는 것은 그 제목이다. ‘좋은 정의’라고? 좋지 않은 정의가 있다는 말인가요?

 

 

아차, 이건 아니다. 헛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게 된다. 대문 밖으로 나가자. 아스팔트를 조금만 걸으면 흙길도 나온다. 길이라기보다는 도로 아래 천변의 산책로에 오솔길만큼 흙길이 남아 있다. 치유로서의 흙길을 찾아보자. 맑고 따뜻한 봄 날씨라더니 변덕을 부린다. 빗방울 냄새가 난다. 벌써 빗소리가 들린다. 몇 걸음 걷지 못하고 집으로 향한다. 천변으로 오르내리는 층계 근처에 노점상이 있다. 오징어튀김과 어묵이랑 떡볶이를 판다. 요샌 김밥도 있다. 봄날 어울리는 메뉴는 없다. 봄날엔 봄날엔 봄날엔……. 봄날에도 배는 고프다. 아침에 뭘 먹었더라? 지금은 몇 시나 되었을까. 오징어튀김과 어묵과 떡볶이를 보다가 김밥을 집어들고 들어왔다.

점심 거른다는 거짓말. 김치 통에서 큰 무쪽만 달랑 하나 꺼내서 김밥을 씹는다. 아, 역시 여러 가지 맛이 서로를 죽인다. 왜 김밥에는 여러 가지가 한꺼번에 들어갈까. 우엉김밥, 계란김밥 그런 것은 왜 없을까. 일본사람이 하는 초밥집에서 오이김밥을 먹었던 기억을 떠올린다. 수십 개 메뉴 중에서 오이김밥을 주문했는데 정말 오이만 들어있었다. 일본어는 완전 깡통에 영어도 별로라서 겨우 큐컴버를 알아보고 시켰을 뿐인데, 너무 괜찮았다. 평소에 내가 김밥을 헤집고 속을 빼내면 함께 먹는 사람들이 으레 한마디씩 한다. 자장면이나 비빔밥을 비비지 않고 먹을 때도 더러 궁시렁댄다. 이렇게 혼밥이니 누가 나를 탓할 일은 없겠다. 이럴 거면 그냥 묵은 김치를 잘 씻어 물기를 빼고 햇반을 하나 덥혀서 김밥을 말 걸 그랬다는 후회가 스민다.

 

톡! 은숙이다.

내 걱정했었다고? 미안. 강은숙 완전 무사함다. 서울서 온 팀들 따라서 어제 강릉 철수, 서울 가서 밤새 놀았지. 늦잠 자고 뭐 좀 먹고 톡 볼 시간이 어딨어.

됐다, 그만. 우리 모두 성주 등쌀에 괜스레 놀랬지 뭐.

성주 미안! 고맙고! 울나라 기차 엄청 대단해. 새벽에 눈 비비고 출발했지만, 서울서 아침 먹고 강릉서 점심이 상상이 돼? 경포대가 당일 된다니까!

옹심이 맛 워뗘?

메밀전병 먹고파.

마음대로 드쇼! 직접 가서 먹어보삼! 강릉역서 시티투어도 있더라. 10시 전에 강릉역 도착해야 하니 당일로는 불가. 2박3일 한번 가자. 오죽헌, 주문진수산시장, 도깨비 촬영한 해변가, 물론 정동진 포함. 제대로 못 보고 와서 서운타.

못 보고 나오길 천만다행이지. 불구덩이 속에서 어쩔 뻔!

아슬아슬하지도 않아? 거길 다시 갈 맘이 난겨? 언제 불똥이 날아올지 모르는 그곳엘?

이 불이 여름까지 계속 타고 있다고 하냐?

비화! 날아다니는 불! 그거 소나무라 더 그렇다네. 옛날에 불쏘시개로 송진을 썼잖아.

완전 벌거숭이라니, 새까만 숲, 상상이 안 돼.

암튼 벌거숭이 숲 보려고 관광객 밀릴 일은 없을 테니 한번 가자.

밀리긴. 관광지가 유지되려나 모르겠네. 웬만히 타버렸어야지.

그러니 더 가보자. 숲 말고, 시티투어도 말고, 경포대 가자니까.

누구 경포대 목매는 사람 있다냐?

한 두 사람 카톡에 따라 붙더니 곧 수다로 수선스러워진다.

나! 라고 하려다가 말았다. 친구들이 그때 그 옛날 일을 기억하고서 저러는 걸까. 강산이 서너 번 바뀌기 전 옛날이었다.

 

 

경포대로 갈 거다, 우린.

철없던 그때, 내게서 뜬금없이 튀어나온 말이 경포대였다.

어딘데? 언제? 왜?

동해안 말이야, 여기선 꽤 먼 곳이라서 가보고 싶을까.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모래사장이래. 1㎞도 넘는 해변을 거닐며…….

뭐야, 누구랑?

아니 뭐, 언젠가 결혼을 하면 말야.

결혼? 너 결혼 생각하는 누군가 있어? 그런 거야?

이 엉큼이 응큼이!

누구였더라, 날 막 때리는 시늉을 했었지…….

신혼여행을 경포대로? 꿈꿈스럽게 웬 동해바다야?

기껏? 신혼여행이면 제주도엘 가야지. 서귀포의 낭만을…….

아니, 대체 누구랑! 지금 장소가 문제가 아냐, 누구냐니까!

 

그때 벌써 우리는 전통과 서양이 뒤범벅되는 시절을 살고 있었다. 전통혼례는 촌스럽게 받아드려지고, 새하얀 웨딩드레스가 로망이었다. 명화극장에서 본 《졸업》에서처럼 하얀 웨딩드레스를 입고. 물론 도망은 아닌, 처음부터 마음에 드는 신랑과…….

우리는 《졸업》의 마지막 장면 때문에 유난히 개똥철학을 폈었다. 버스에 올라앉은 둘을 위한 테마음악이 ‘침묵’이었기 때문에, 마지막 그 애매모호한 표정 때문에, 그 불안한 눈빛 때문에. 하긴 젊음이란 개똥철학을 먹고 사는 시간이었다.

 

누구나 그 나름 새로운 출발을 두려워하기 마련이다. 출발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변혁이다. 그럼에도 출발은 생각과는 다른 출발이기 십상이다. 나도 처음으로 새로운 출발을 생각했었던 경우와는 전혀 다른 출발을 했다. 경포대에서의 출발을 접었기 때문에 신혼여행지는 정 반대쪽 남쪽이었다. 마침 겨울이라서 남쪽이 안성맞춤이기도 했다. 그런데 밤새 눈이 많이 쌓였다. 남북을 관통하는 큰 도로에 차가 오르질 못해서 호텔 근처 정방폭포만 봤을 뿐 종일 호텔에서 어슬렁거렸다. 찬바람에도 해변을 거닐면서 경포대 바닷가 생각을…… 하지 않았다면 거짓말이다.

귀가 윙윙거렸다. 하늘이 바다 속으로 곤두박질쳤다.

남이 씨, 나남이 씨!

허겁지겁 나를 부축하여 일으키는 신랑을 밀치며 다시 한 번 고꾸라졌다. 호텔 로비 쪽으로 들어오자마자 그는 나를 긴 의자에 눕혔다. 그리고는 곧 얼굴 양쪽을 붙잡고 흔들었다. 제가 의삽니다, 신랑이고요. 걱정들 마십시오. 자, 비키세요. 사람들이 몇 모여들었는데, 제복을 입은 직원들도 있었던 것 같다. 괜찮습니다, 저리 좀 비키세요!

그렇게 곧 동서남북을 회복한 내가 어찌어찌 앉을 수 있게 되자 그때서야 사람들이 흩어졌다. 그렇게 더 얼마를 앉아있던 내게 그는 뜨거운 커피를 가져왔다. 괜찮은 거죠? 괜찮죠, 남이 씨?

 

괜찮은 거냐, 남아! 너 괜찮아? 너 정말 괜찮은 거냐고!

시간을 거슬러 가면서 가슴이 떨려온다. 나는 정말 괜찮다! 나는 그때도 괜찮았고, 지금도 괜찮다. 그 뒤로도 어쩌다 이석증이 일어나 성가신 일이 있었지만, 그건 아무래도 좋았다. 지나가면 흔적이 없으니까. 내가 처음 이석증을 일으킨 그날, 그 남쪽 바닷가에서 들은 소리들, 그런 소리들이 문제였었다.

남아, 춥지 않아? 우리 이 모래밭 끝자락에서 순비기나무꽃 찾아볼까? 중부 이남에 피는 꽃이라지만 난 꼭 경포대 바닷가에도 피는지 찾아보고 싶었단 말야.

왜 하필 순비기?

아니 뭐. 내한성, 내염성을 다 갖췄으니, 좀 춥더라도 이 바닷가에서도 살아있지 싶어서. 있더라도 잘 안 보여서 세심하게 찾아봐야 해. 회색빛 잔털에 벽자색 자잘한 꽃망울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데, 얼른 눈에 띠지 않지. 꽃을 보려면 여름에 한 번 가자.

벽자색이 뭔데? 푸른 자색?

푸르스름한 회색빛. 푸르스름 보라스름 그런 회색.

보라스름이 다 뭐야! 응, 알겠어, 보라 냄새!

보라 냄새는 또 뭐야. 색깔에 무슨 냄새!

색깔마다 냄새가 왜 없어! 어떤 보라에서는 제비 꽃 냄새, 어떤 보라에서는…….

에이, 그거야 나도 알지. 핏빛에서는 피 냄새!

그만 해. 그건 아냐.

 

나는 정말 괜찮고, 순비기나무꽃을 찾던 선배도 괜찮을 것이다. 우린 경포대에 간 적도 없으니 괜찮지 않을 이유가 없다. 우리는 입술을 살짝, 아주 살짝 스친 것만큼만 가까웠고, 입술을 아주 살짝 포갠 사이란 아무 사이도 아니니까. 다만 더는 누구와도 입술을 포갤 수 없는 것, 그것은 그냥 내 문제다. 곰곰 생각해 보면, 어느 두 사람 사이에서 입술을 포개는 것은 대단한 접촉인 것 같기도 하다. 입술이야말로 싱그러움과 관련된 어떤 신성한 곳이니까. 그에 비해 남녀의 접촉이라고 할 때 흔히 떠올리는 거기 그 곳은 생명의 창조와 관련된다 하더라도 적나라한 열기와 혼돈과…….

 

 

아이스 블루 톤이다. 톡이 아닌 전화소리다.

남이야, 나.

그래 은숙아, 왜? 톡 봤는데, 보고 있었어. 산불 용케 피했으니 잘 됐다 뭐.

남이야, 나.

뭐? 왜?

나, 누굴 슬쩍 본 것 같아.

누구를?

그 선배, 식물인간.

뭐라고? 선배를? 언제, 어떻게?

강릉에서지 어디야. 바닷가에서 나와서 감자옹심이 먹으러 가는 중에. 길에 지나가는 사람인데 왜 그리 닮았는지.

설마.

지나가는 모습이 틀림없었어. 옆의 사람이 귀에 올려대고 말을 하는데, 약간 오른 쪽으로 기우뚱 하고 그렇게 들으면서 걸어가는 모습이…… 그 뭔가 독특한 자세 있잖아.

시끄러, 잠시 지나가는 사람 모습을 보고 웬 옛날 생각을 해. 세월이 언젠데.

가슴이 덜커덩, 내가 왜 덜커덩이었는지, 암튼 틀림없었다니까. 애들 톡방엔 쉬쉬할게 염려 마.

 

 

약간 기우뚱 하고서…….

그랬다. 그는 그때 젊은 시절에도 약간 기우뚱 기울고서 걸었다. 키가 비쩍 커서이기도 하지만, 사람들의 말을 잘 듣기 위해서다. 실루엣을 보면 피사의 사탑이었다. 가까운 친구들은 그를 가리켜 피사라고도 했다. 물론 식물인간이라고 돌려서 말하는 게 보통이었다. 그 시절 우린 참 너무나 순진해서 남자친구 이름들을 대놓고 부르지도 못했었다. 식물인간이라고 하는 것은 그가 뭔가 동물적인 에너지를 발휘하는 화끈한 멋이 없었기 때문이었지만, 또 그가 입만 벌리면 식물 이야기를 했기 때문이다.

 

식물 이야기. 나는 지금도 식물 이야기를 듣는다. 그의 입을 통해서가 아니지만, 식물 이야기는 널려있다. 『나무수업』이라는 책도 재밌다. 『동물 속의 인간』 보다 더 먼저 번역된 책이다. 둘 다 독일인들이 쓴 것이 흥미롭다. 아니, 둘 다 인간적 식물과 인간적 동물에 대해서 쓴 것이 더 흥미롭다. 동물만 인간적인 것이 아니다. 나무들도 인간적이다. 인간적이라고 하는 부분은 우리 인간들처럼 공감능력이 있다는 것을 넘는다. 경쟁하고 부대끼며 지혜를 발견하면서 살아간다는 점에서도 인간과 닮았다. 정말이냐고? 식물도 설마 그러냐고? 내가 식물 관련해서 책들을 다소 무조건 사 보는 습관이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런 책들의 광고를 보면 그 식물인간이 저자일까 흠칫 놀라기도 하는 이 심정을 부정하지는 않겠다.

나무가 경쟁을 하는 것쯤은 우리들 감각으로도 안다. 햇빛은 중요한 경쟁대상이고, 햇빛 잘 드는 자리를 위해 다툼 할 것이라는 것을 안다. 다들 햇빛을 향해 키를 키우고, 햇빛 쪽으로 굽는다. 이태 전이던가 『나무수업』을 처음 읽었을 때 친구들에게 무슨 말을 하다가 그때도 호들갑이란 핀잔을 들었다. 5월 초 학교 후문에서 만나 점심 먹고 캠퍼스 내를 산책하던 때였다.

 

아, 이 이팝나무들 좀 봐. 곧 전체가 하얀 천지가 되겠네. 아카시아도 곧 만발할 테니까. 감탄사는 대게 정인이가 시작한다.

그러게, 이건 팥배나무 아냐?

팥배건 콩배건, 난 정말 하얀 꽃들이 좋더라. 어쩜 이렇게 싱싱하게…….

나무도 영양분을 두고 친구들과도 적들과도 나눈대. 『나무수업』이란 책에서 봤어.

미쳤냐. 움직일 수도 없는 그놈들이 무엇을 나누고말고 해.

아니, 막 움 터서 자라나는 새끼들에게 직사광선을 가려주려는데, 옆의 나무들과 합세해서 큰 가지들로 가려준대. 지나친 햇빛을 막는 거라고. 너무 빨리 자라서 아무 것도 학습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지. 겁 없이 막돼먹지 말고 느리게 자라기, 뭐 그런 것. 느리게 자란 놈들이 장수하는 거래.

말도 안 돼.

아스팔트 가로수들이 왜 빨리 죽냐면…….

죽냐면?

숲을 떠난 아이들은 말하자면 집 나온 아이들이래. 처음엔 햇빛도 마음대로 누리고 뿌리도 맘껏 뻗지. 그러나 곧 아스팔트 속 단단한 물질들에 길은 막히고, 살려면 하수도관이라도 뚫어야 할 지경이 돼. 하수도 뚫리면 도로는 범람하고. 몇 백 미터도 자랄 뿌리들인데 막혀서는, 참 불쌍도 하지. 우린 숲의 나무를 데려온 순간 그들을 고아에 장애자로 만드는 것이야.

야, 여기 인간적 인간 나셨네. 얘가 요새 점점 더해요.

왜 그래. 일리 있는 말이다야.

그렇지. 동물애호가들도 더 나아가 식물애호가가 되어야 해. 난 물론 이기적 동물이라서 겨우 내 몸 내 주변 관리도 잘 못하지만.

그러니까 나무들에게도 알맞은 삶의 형식이 있다는 말이지. 간단하네. 아스팔트로 끌려오지 말고, 그건 유배니까. 아니, 사람들 좋으라고 기쁨조 노예로 끌려온 거니까. 완벽한 흙, 적당한 온도와 수분을 갖춘 흙 속에서, 숲 속에서 사는 것이야. 가능하면 같은 종끼리 모여서. 그러니까 사회적 욕구를 실현할 수 있도록, 완벽한 흙을 갖춘 진짜 숲에서 성장하는 거야. 언제 책 가져와 봐, 나도 좀 보자. 미선이 거들어줘서 너무 다행이었다.

그렇다니까. 그렇게 해서 터득한 생존 지식을 후손에게 물려주지.

뭐야, 식물들이 자녀교육까지?

아니란 법 있어? 나무의 자녀교육, 참 좋은 말이네. 나무답게 사는 법, 그런 책이 있을 법 하네. 바람소리로 전달되는 책이.

날아가라 날아가, 상상은 자유다!

상상 아니라니까. 숲 전문가, 동물 전문가들이 쓴 책이니까.

이 애가 아직도! 너 책을 100퍼센트 신뢰하는 거야? 까만 글씨면 무작정 모두 믿느냐고!

난 글씨를 믿는 편인가 보다. 까만 글씨, 인쇄되어진 말은 확실히 무겁다. 말은 다소 즉흥적으로 튀어나오니까 독이 묻어도 살짝 묻은 것이지만, 글은 다르다. 곰곰 생각했고, 썼고, 아마 다듬었고…….

 

 

나무들 일단 들여올까?

대문을 여다 말고 그이가 말만 먼저 들여보낸다.

어, 왔어요? 나무들 큰 거예요? 뭘 샀는데! 뭐가 되었건 들여오세요. 현관에 두든지 발코니에 내놓았다가 가져가야죠. 차 안에다 두면 불쌍해.

그런 남이 씬 불쌍찮게 집밖에 나갔나요? 오늘도 집안에만 있었어?

그냥 좀. 빗방울 때문에.

그렇다니까. 사람이 바깥바람을 쐬야, 통풍이 돼야……. 내 무서운 말 한번 할까? 외로움은 치매의 지름 길이예요!

치이!

미안, 미안. 여기 봐요, 자잘한 것 두 종류. 둥근 측백, 이것들은 양쪽 앞 쪽으로 심을까 해서 둘. 또 배롱나무가 좋을 거래서 하나 샀네, 자손들이 우애를 한다나 뭐라나. 장소가 아직 마땅치는 않지만, 낼 보고서 심으면 되겠지.

배롱나무는! 가로수로 널려 있는 게 배롱나무들 아녜요? 새삼스럽네.

좋은 게 좋은 거니까.

 

대충 씻고 와요! 저녁이 좀 늦었네요.

아무래도 나무들 고르다 보니까.

반찬은 밖에서 장만해 왔으니 걱정 없네요.

내가? 내가 반찬 장만을?

예, 울 할머니가 ‘가만 있거라, 반찬 장만해서 먹자’ 그러시면, 좀 기다렸다 시장하거든 먹자는 말씀이셨거든요. 실은 아버지 기다리시면서.

그런가. 시장이 반찬이다, 그 말이군. 그런데, 와우, 이 부추전! 이런 거면 배가 안 고파도 맛이 넘치겠네요. 물오징어에 알새우까지 넣어주니 입이 호강이군. 내가 오늘도 뭘 그리 잘 살았나!

애 많이 쓰셨죠! 환자 보는 의사님들 모두.

감기 환자들 기침 냄새 가래 냄새 맡고……. 이런 말은 밖으로 내뱉지는 않는다. 그런 생각만으로 난 벌써 음식이 목에 걸린다. 애를 써서 먹을 양식을 버는 일이 짠하다. 남편 뿐 아니라 세상 누구나 다 짠하다. 먹을 것을 벌어야 하는 숙명이라니!

 

대강 치우고 앉으니 텔레비전에서는 여전히 불길이 활활 타고 있다.

속초 의료원 큰 일 날 뻔 했더만. 세상엔 괜찮은 사람들이 더 많아. 지성으로 환자 대피시키고 보호하고.

어쩌냐. 숲이 저렇게 완전히 타버리면 개미가 돌아오는 데에도 13년이 걸린다네요.

그러게나. 그런데, 개미? 개미라고? 남이 씨 개미 무서워하지 않았어?

무서워하기까지는. 예, 개미 무섭죠. 어딘가로 옷 속으로 스며들 것 같은 느낌. 스멀스멀, 그래서 숲 속에 잘 안 가죠.

안 가기는, 아예 못 가지. 우리 그러니까 숲 속에 가 본지 얼마나 되었을까.

갑자기 숲 속은! 숲 속에 꼭 함께 가야되는 것도 아닌데 왜 안 가시고 그러시나?

아, 나야 가죠. 더러 가 봤죠. 남이 씨랑 숲 속에 함께 갈 수 있을지 이제부터 희망을 가져도 되나 싶어, 반가워서 하는 소리지. 가까운 축령산 편백 숲이라도 함께 가는 거요! 점심 먹고 거기 가면 피톤치드 확확 뿜어져 나오는 시간이니까 딱 좋을 텐데. 40킬로쯤인가, 한 시간도 안 걸려. 개미 무서우면, 가자마자 비닐천막 깔개를 넓게 깔고 삥 둘러서 모기 진드기 약을 뿌리면…….

아서요. 누가 개미 무서워 안 간다고 했나요.

그럼 왜?

 

새삼스럽다. 내가 숲을 피한다는 생각을 왜 할까. 산소에 갈 일 있으면 대강 따라 가는 편이다. 그러니까 일이 있으면 간다. 숲이나 밭이나 엄밀하게 말하자면 흙속에는 작은 동식물들이 섞여있는데, 그것들에 가끔 놀란다. ‘나방이나 채소밭의 상추도 밤에 달을 쳐다보면서 어쩌면 꿈을 꿀 지도 모른다’ 비슷한 말을 읽은 기억이 난다. 그렇게 꿈꾸는 상추를 밟기도 하고 뽑아서 먹기까지 하면서 나방 애벌레를 보면 무섭다. 사람, 아니 어떤 위협적 생물의 발자국을 느끼면 동그랗게 몸을 말고서 도망가는 작은 생명들, 어쩌다가 으깨어져 뒹구는 물컹한 어떤 것들이 무섭다. 나를 해칠까 봐서 두려운 것이 아니라, 너와 내가 바뀌었을 상황이 생각나면서 무서운 것이다. 나는 너를 무심코 밟았고, 어쩌면 내가 너였을 수 있고, 그런 것 말이다. 동물들과는 동일시가 되나 보다. 그러니까 생명이 무섭다. 곧 또는 조만간 손상되거나 사라질 생명이 무서운 존재다.

남이 씨, 나남이 씨!

응, 예.

올봄엔 정말 숲에 한번 갑시다. 아스팔트로 계속 달리다가 잠깐 숲에 들어가는 건데 못 갈 것 없겠죠? 쌍계사 벚꽃 길을 섬진강 따라서 종일 걷는 사람들도 있대요. 우린 그냥 어디로든 30분만 걷다가 딱 뒤로 돌아 하고 오면 될 텐데.

그렇게 유명한 델 어찌 가려고요. 꽃구경은커녕 사람들에 떠밀리고.

사람 참. 사람이 사람 속에 섞이지 그럼 코끼리 사이에 섞일 테요?

철새 따라 섞이지, 날 수만 있다면.

철새라고? 철새라!

아니, 만일 우리가 어딘가 다른 동물 그런 데 섞일 수 있다면, 그런 상상이라도 해본다면, 새가 낫죠. 것도 철 따라 이동하는 철새가.

웬 철새 찬양!

지금이 철새 대이동 시기니까 서해안에 가면 엄청난 새들을 볼 수 있다던데. 우리나라 새들이 500종이면 텃새는 100종류도 안 되고.

어, 거의가 다 철새네!

왜 철새들은 이 시기엔 북쪽으로만 나는지. 두루미 기러기는 벌써 시베리아로 떠나고, 어떤 놈들은 일단 우리나라에 들렀다가 시베리아까지 올라갈 것이고. 삼짇날이니 제비도 남쪽에서 올라오겠네. 바다제비며 슴새들 번식지도 따로 있대요, 가거도. 이름도 예쁜 가거도에.

남이 씨, 참. 워낙 방콕이 취미인 사람이라 철새 같은 건 전혀 관심 없는 줄 알았네요. 몇 십 년을 함께 살아도 모르는 것이…….

그거야, 사람이 변해서죠. 누구라도 변하죠. 할 일 없이 앉아서, 뜸부기다 뭐다 노랫말 때문에, 아니면 시 같은 데에서 귀에 익은 새 이름들 찾아보다가. 그런데 난 파랑새가 진짜 새인 줄도 몰랐다니까요. 파랑새는 그냥 상징으로, 파란 꿈에 대한 상징 같은 것으로 알았죠.

직박구리 그 이름을 찾느라고 온갖 새 이름을 뒤졌다는 것은 말하지 않았다. 말할 수 없었다. 말할 수 없다. 새 울음소리 때문에 내 생전 처음 듣는 청혼을 흘려들었다고, 아니, 새 울음소리를 핑계로 청혼을 흘려들었노라고, 그것을 누구에게 말 할 수 있단 말인가. 나랑 결혼해, 괜찮겠지? 난 정말 못 들었다. 괜찮겠지? 너 나랑 결혼하자고! 그렇게 가까운 소리를 흘려들으면서 나는 나무 위 새 소리만 듣고 있었다. 하늘을 향해 내지르던 새 소리, 나뭇가지 꼭대기, 먼 데 새소리만 들었다. 키 큰 은목서 위의 그놈들은 직박구리였다. 내 첫 이별의 자리에 함께했던 새, 새 이름을 뭣 하러 애써 찾았는지, 누가 알랴. ‘훌우룩 빗죽새’라고도 불리는 시끄러운 직박구리, 그 울음소리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

우리 남이 씨, 나는 한 마리 파랑새 되어 저 푸른 하늘로 날아가고파~ 그런 것이네.

뭐예요. 그 노랫말을 어떻게?

어떻게 외우냐고? 남이 씨 노래인데, 당근 나도 외우지. 사랑한 것은 너의 그림자, 지금은 사라진 사랑의 그림자~.

무슨 내 노래가 있고 그런가.

그러게 말도 안 되는 소릴 왜 해요. 날 수 있다면 철새 따라간다는 소리는 뭣 하러. 죽었다 깨나도 사람이 날 수 있는 것도 아닌데.

말이 그렇다는 거죠 뭐. 찹쌀이 있으면 팥을 빌어다 찰밥을 해먹을 텐데 시루가 있어야지, 그런다잖아요.

뭐예요? 찹쌀도 시루도 암 것도 없다고? 우리 말 참 재밌네. 옛날이야기들엔 밥 타령이 많아.

좋아요, 말 나온 김에 찰밥을 찌죠. 낼 찰밥 해서 따라갈게요, 산소에.

어, 정말? 웬 찰밥! 여럿 먹이려면 남이 씨 힘들 텐데.

맛으로 나눠 먹을 것 좀 하는걸요. 다른 건 잘 못해도 찰밥 찌는 건 쉬워요. 찹쌀도 팥도 시루도 다 있는데요 뭐.

어마무시 고마워요!

낼 몇 시에 출발? 10시쯤 나갈 거죠? 그럼 시간 충분해요. 가만 나물 감이…….

혼잣말을 하면서 다시 부엌으로 향한다.

 

오늘 밤은 길어질 것이고, 그런대로 시간이 잘 갈 것 같다. 곡식들 꺼내려 뒤편 발코니로 나가 밖을 본다. 살짝 내리던 비는 멎었고 바람이 살랑거린다. 나무 잎들도 살랑거린다. 여전히 비를 품은 냄새일까. 낼 산소 가는 일이 죽이 되든 밥이 되든, 비가 내려야한다면 비가 내려야 한다. 먼 데 불을 끄기 위해서라면 우리도 비를 맞자.

그 땅의 나무들은 언제나 돌아오려나. 개미들 돌아오고 나서도 또 그만큼의 시간이 흘러야 새들이 날아든다는데, 나무들은 또 몇 년을 더 기다려야 움터서 자랄 것인지. 그렇게 새로 자란 나무들을 보게 될 일은…… 아마 없을 것이다. 그들은 느릿느릿 저절로 자라나서 하늘을 가리도록 무성한 잎들을 낼 것이다. 누군가가 숨죽이고 자신들을 기다렸을 것일랑 꿈도 꾸지 못할 것이다. 훗날 새파란 아기들이 태어나면 그들 선조가 겪은 대재난을 이야기해주려나.

얘들아, 세상엔 피할 수 없는 재앙도 있는 법이란다. 불이라는 게 비화하면 우리 나무들은 속수무책으로 타버린단다. 다만 그 잿더미 속에서 부활하는 기적을 꿈꾸는 거야. 어째도 꿈은 꾸는 거야. 살 떨리는 긴 기다림으로, 후훗, 살 한 점 남아있지도 않았지. 그래도 흙은 우리를 영원히 버리지는 않는단다.
---------------------

전남여고문학 2019, 5호, 222~242쪽.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름  (0) 2020.03.20
교수신문 2017 - 과분한 대접  (0) 2019.09.11
누수  (0) 2019.08.26
시베리아 아님 블라디보스토크  (0) 2019.05.09
발자국  (0) 2019.05.09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9. 8. 26. 11:08

누수

누수 때문에 이 난리다. 우리 발코니의 누수가 아래층 발코니 천정을 망치고 있단다. 페인트를 망가뜨리고 이러저러 피해가 났다고, 방수공사를 해달라는 당당한 요청에 어쩔 도리가 없었다.

사실 나는 기껏 누군가의 1㎡ 공간에서 살고 있다. 우리 아파트 값이 누군가가 소유한 1㎡의 값이라니 분통이 터지다가도, 아냐, 이건 기적이야, 하는 생각을 한다. 내 키가 크진 않지만 1m 보다는 2m쪽에 가까우니, 그 금싸라기 1㎡를 갖는 것보다 이만한 아파트를 갖게 된 것이 그나마 요행 아닌가. 문제는 닭장이나 진배없는 이런 아파트에 살다보면 공동생활 때문에 감내해야 하는 것들이 많은 점이다. 층간소음은 기본이다. 애들은 뛰게 마련이고, 윗집에서 옛날식 제사라도 드리는 날이면 도마소리 그릇소리 밤중까지 한낮이다. 그뿐이랴. 고요한 밤중에 들리는 너무 세밀한 화장실 소리는 산다는 일에 비참함을 더한다. 노랫말에 나오는 언덕위의 하얀 집까진 아니더라도 괜찮은 곳에 괜찮은 주택을 소유하기란 쉬운 일이 아닌 줄 안다. 알면서도 비참한 것을 어쩌랴. 상황에 알맞게 구부러져야 산다, 쯤은 알게 되는 세월을 살았다. 나는 밤중에 화장실에 가게 되면 일단 수도꼭지를 세게 틀어놓아서 누군가의 귀에 들릴지도 모를 적나라한 소리를 감추려고 애쓴다. 누군가를 위한 배려가 아니라 나에 대한 예의다. 시답잖은 말인가. 아무튼 내 요상한 귀는 못 듣는 것이 많으면서도 한밤중에 어딘가에서 들려오는 물소리는 흘리지 않고 잘도 듣는다.

그만한 층간소음 쯤은 일상이다. 일상의 흐림은 폭우 쏟는 태풍처럼 밀려오는 누수문제와 비길 바가 못 된다. 윗집의 누수는 시간적으로 다툴 문제는 아니다. 참아가면서 기회를 볼 수 있으니까. 하지만 아랫집에서 점잖게 혹은 점잖지도 않게 클레임이 들어오면 용서가 없다. 꼭 우리 집 문제만이 아니죠. 그냥 두면 아파트 전체에 균열이 번질까 봐서……. 이런 이타적인 언동에 무슨 수로 맞서랴. 당장에라도 발코니의 살림들을 꺼내고 방수공사를 해야 한다. 한 해 걸러 앞뒤 발코니 공사다. 지난 번 뒤쪽 발코니 때는 누수 원인과 상태를 전문가의 말로 들었을 때 사실 놀랐다. 소금이 범인이라니! 묵히는 소금가마니에서 염분이 흘러내려 차츰 시멘트를 부식시켰고, 그러 인해 상당한 누수가 진행되었다 했다. 발견이 다행인 셈이었다. 치울 살림들도 장독대 몇 개와 선반들에 보관하는 곡물들, 빈 통들 등 어수선한 물건들 정도였다. 이번엔 다르다. 앞쪽에도 햇빛이 필요한 장독대들이 있고, 문제는 가히 영국풍 정원이라 할 얽히고설킨 화분들 때문이었다. 천정에 닿아서 이미 비뚤게 올라가는 선인장들은 수도 없고, 물론 한 사람의 힘으로는 움쩍도 못할 종려나무 분이며, 넝쿨장미에, 세상에 시누대나무까지. 자잘한 분들도 그 숫자로는 사람 손을 타게 마련이다. 지난 번 공사도 했던 업자 양반이 물건 치우고 들이는 것도 맡아 해주겠단다. 낮 동안엔 나 혼자 뿐인 것을 알고 있으니 다른 방도가 없다는 것도 아는 때문이리라.

점심 먹으러 나갔던 사람들이 돌아오는 기색이다.

커피 드셔야죠? 설탕은 어떻게요?

아무 거나 주시쇼. 다달하면 더 좋지라.

서둘러 단감도 몇 개 깎아낸다.

밥 막 묵었는디라.

어쩌가니. 아따, 근디 싱싱허요이.

보쇼, 화분 내놔붕께 베란다 엄청이나 넚소이. 저짝 끝에 하나 이짝 끝에 하나 침대도 놓겄구만이라.

텀턱스럽네.

아니 진짜여. 보쇼. 이라고 넓은 베란다 봤소? 그나 저 화분들 다 디려놓지 말고 이라고 훤허게 사시쇼.

먼 감놔라 배놔란가. 나중에 양주 간에 헐 일로 가지고서는.

그려 언능 해불게 시작협시다.

아무도 발코니라고 하지 않고 베란다라고 말한다. 사장부터 그러니까 그럴 게다. 주택공사의 설명으로는 아파트엔 베란다가 없는데……. 이런 따위의 말이 통하지 않는다. 아무렇게나 소통이면 그만이다.

우리가 발코니를 확장해서 발코니가 넓은 건 아니다. 반대로 발코니를 거실로 집어넣지 않아서 발코니가 넓은 것이다. ‘발코니 확장’은 옵션인데, 우린 그냥 발코니를 유지하기로 했다. 거실이 발코니까지 확대되어 훤히 비치는 유리창 하나로 바깥과 구분된다는 것은 아찔한 느낌이었다. 옛날 집들은 문풍지 하나로 바깥과 구분 되었지만, 창호지는 뭔가를 가려주는 맛이 있었고, 마루도 있었다. 무엇보다 그것은 방과 마당의 사이였다. 발코니 유리창 밖은 말 그대로 허공이라서, 공기가 주인인 곳, 나랑은 아무 관련도 없는 곳이었다. 발코니는 일단 완충지가 되어준다. 전체적으로 사용 공간이 좁더라도 안정감을 더해준다면 그 편이 좋을 성 싶었다.

그건 그렇고. 왜 햇빛 잘 드는 앞 발코니에서 누수가 생기는 것일까. 웬만한 습기는 하루해가 말릴 것 아닌가. 하기는, 화분들 속의 흙이 머금고 있는 습기들이 바닥을 스물 네 시간 습하게 하는지도 몰랐다. 화분과 화분 사이들도 늘 물기에 젖어있기 마련이다. 뒤 발코니 누수의 범인은 소금이었고, 이번에는 흙인가 보다. 흙은 물기를 품고 있어서 탈이고, 염분은 그 자체로서 시멘트를 녹인다. 물리 화학이다. 사는 것이 과학이다.

발코니가 없었으면 화분들도 없었고 누수도 없었다, 라는 말이 되나? 모르겠다. 거실로 확장되었더라면 거실에 화분들이 있었을 것이고, 거실에서 누수가 발생했을지도 모른다. 아니, 거실은 난방이 되기 때문에 그 정도의 누수는 스미거나 말랐을 것이다. 모르겠다.

오늘로는 다 혔소.

어, 빨리 끝내셨네요.

방수 처리허기 그거는 기중 쉽소. 요고 방수제 잘 되야라.

아 그래도 낼 내가 한 번 더 입혀야쓰제요.

낼 또 하세요?

낼은 나 혼자 와서 살짝 한번 볼라부러야제라.

그럼 타일은 언제?

그거야 이삼일 재와야 방수가 지대로 되니께로. 연락 디리께요.

우르르 사람들이 나갔다. 거실은 여전히 마당 다름없다. 문에서 앞 발코니로 기역자로 깔아놓은 은박지 통로는 흙투성이 발자국 그대로이고, 화분을 대강 들여놓은 저쪽 끝 방까지도 여전히 임시변통으로 깔아져있는 은박지 위가 지저분하다. 지저분이라는 말로는 도저히 모자라다. 집 안에서 신발로 다니는 길과 슬리퍼로 혹은 맨발로 다니는 길이 어떻게 구분될까. 앞으로도 며칠을 더.

옛날엔 흙길 밟기가 일쑤였다. 아주 어려선 댓돌만 내려가면 그대로 흙이었다. 아니 신발 속이 흙 그대로인 어른들도 있었다. 속에 지푸라기 같은 것이며 흙모래가 들어간 신발을 벗어 놓고 샘가에서 찬물에 발을 씻던 아주머니가 떠오른다. 미역 짐인지 뭔가를 한 짐 이고지고 팔러 다니는 행상이었는데, 아무튼 뭔가를 가지고 집에 가끔 들리곤 했었다. 마루 끝에 걸린 밥 바구니를 내려서 그럭저럭 나그네 밥상에서 한술 뜨고 나면 대신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는데, 애어른 할 것 없이 넋 놓고 귀를 기울이곤 했다. 내 팔자 어느 세월에 비단길로 다녀볼이거나…….

그때 우리는 어렸고, 길은 길인데 흙길이니 비단길이니 하는 말이 애매하게만 느껴졌다. 비단이라고 하면 할머니 치마 지어 입으신 그런 비단일 텐데, 누가 그런 비단으로 길을 만들까 의아했었다. 그런 길이 있기나 할까. 어떻게 비단으로 길을 만들까. 비단신으로 걷는다 해도 곧 찢어질 텐데. 비단신이라는 것도 아장거리는 아이들에게 방안에서 걷게 신겨주는 장식품으로 밖에 생각이 안 되었다. 자동차가 다니는 큰 길의 아스팔트를 제외하면 길이란 원래 흙길이었다. 길은 흙이었다. 누가 비포장도로라는 말을 하면 나는 이상하게 느껴진다. 필요에 따라서 포장 했으면 포장도로이겠지만, 비포장도로라고 하면 그것도 포장되어야한다는 말인 것 같아서 이상하다. 왜 꼭 다 포장해야 하는가. 길은 원래 흙인데, 왜 어둡고 힘든 길을 흙길이라 비유할까. 요즘에는 흙길과 대비되는 말이 비단길이 아니라 꽃길이다. 내 아가, 꽃길만 걸어라! 모든 부모들의 소원이다. 순탄하고 순조로운 경로를, 평안하고 행복한 길을 살아 가거라!

행복한 - 행복이 뭘까. 심심하면 하는 버릇대로 ‘행복’을 검색해 보려다가 서점을 찾아본다. 행복이라……『행복한 불행한 이에게. 카프카의 편지』라니. 애매해서 눈에 띤다. 행복하면서 동시에 불행한 사람? 책의 부피를 보니 곧 외면할 마음이 생긴다. 1,000쪽이 넘는 책을 무슨 수로 읽나. 이런 건 폭력적이다. 어라, 『나는 행복한 불량품이다』라는 얼핏 매력 있는 제목이 눈에 들어온다. 가만, 행복한 성공작품이라야 최상이겠지. 성공해도 불행할 수도 있으며 성공하지 못해도 행복할 수 있다는 아편서인가? 아차, 나는 행복하지도 않은 불량품이라면? 행불행과 성공여부를 생각하게 하는 책이라면, 이런 것도 사절이다.

행불행의 피안이라고? 그건 못된다. 소확행이란 유행어를 듣고도 화가 나는 심보인데 뭐. 따뜻한 빵을 찢어 먹는 행복, 따뜻한 햇볕 아래에서 낮잠을 즐기는 행복? 그게 무슨 행복인가. 잠시의 기분 좋음, 더러 안락함 정도가 행복일 수는 없다. 그건 어쩌면 마약이나 다름없다.

내가 왜 열을 내느냐고? 나를 위해서는 아니다. 젊음을 위해서다. 내가 젊을 때 그리 야망을 갖진 못했었다. 그건 성격 문제였을 것이다. 작은 온실에서 자라면서, 개성도 없고, 못 났으니까. ‘멍게’ - 그래서 놓쳤다. 나의 의지로 무엇인가를 이루는 삶을 놓쳤다. 마음에 있었던, 마음에 있었을 사람을 놓아버렸다. 겁이 나서. 그의 청각장애가 무서웠다고 변명하면서 살아왔다. 말하지는 않았지만 그리 생각하고 살아왔다. 더 정직하게 말하자면…….

누수, 누수가 두려웠었다. 그것은 내 인생에서 무엇인가가 새어나갈 것에 대한 두려움이었다. 선배가 청각장애라서, 그것이 전부는 아니었다. 그가 속해 있을, 그에게 묻어있을 어떤 것들이 두려웠다. 나로서는 알 수 없는 부분, 그가 나 말고 다른 누군가와 캠퍼스 잔디밭에 앉아 있는 뒷모습은 생경했다. 해는 저물고…….

하지만 그것들은 나에게는 터부였다. 나는 질투 같은 단어를 저열하다고 생각하고 증오했으므로, 선배가 어느 다른 여학생 또는 남학생 선배 또는 후배와 단둘이 앉아있는 장면을 목격해도 정말 아무렇지도 않다고 생각했다. 다만 각각의 대화는 다를 것이라고 상상하고 그렇게 믿었다. 나랑은 식물이 거의 전부다. 한번은 우연히 대학생과 노동자의 독서량에 관해서 말이 튀어 나왔을 때 얼른 회피한 쪽은 나였다. 나는 물론 안 들은 것까지도 다 듣는 귀를 가졌기 때문에 들을 필요가 없기도 했다.

너희는 입학하자마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가까워진 선배로부터 시각교정용 독서를 권유받는 거야. 여학생들은 조금 덜한가?

…….

시각을 교정한다니까. 그런데 대학생들과 노동자들의 독서량이 크게 다르다고 생각해? 아냐. 노동자들, 월소득 5만 원 이하를 열악한 환경의 노동자라 치자, 이 저소득층 노동자 40퍼센트가 독서를 즐긴다는 거야. 취미 독서가 30퍼센트. 전문서적과 문학작품을 읽는 것도 20퍼센트씩이야. 독서를 통해서 스스로 여타 노동자와는 다른, 소위 교양을 갖춘 인간임을 상상하고 믿는 것이지. 하긴 텔레비전이 게까지 보급되지도 않았었고.

…….

무반응인 내게 선배는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가져다주었다.

이건 읽어봐야 할 거야. 교양 아냐!

제목은 동화나 환상소설 같았다. 책을 읽어나가자 곧 무거운 마음이었다. 낙원구 행복동 사람들이라니! 주택개량 사업 지구로 선정된 동네. 자진철거를 하지 않으면 강제철거 당해야 하는, 그러고도 철거비용까지 물어야 하는 기막힌 약자들의 이야기였다. 철거 현장의 비애. 초라한 밥상이 끝나기를 못 기다리고 들이닥치는 철거반원들이 더욱 초라하다. 그들 또한 상황이 열악하지는 낙원구 행복동 사람들이나 마찬가지일 사람들인데, 권력의 하수인인 동안에는 착각 속에서 권력자가 된다.

예상은 했었지만, 내용이 너무도 무거웠다. 다만 울고 싶어졌다.

다 못 읽었어, 그만 읽을래. 다른 사람들 빌려 줘.

그때 선배에게는 다 읽지 않았다고 둘러댔었다. 말하기가 싫었으니까. 선배가 책들을 여럿에게 빌려주기 좋아하는 것도 알고 있었다. 이건 비밀인데, 나는 선배가 풀밭에서 나누는 대화들이 S교육인 것도 알고 있었다. 누가 내게 슬쩍 귀띔해 주었기 때문이었다. ‘S가 무슨 약자인지는 알지? 말할 수 없는 그것!’이라고 하면서. 그뿐만이 아니었다. 교육하는 선배들이 S라고 알고서 후배들에게 일대일로 교육하는 내용들이 ‘실은 꽁이야, 더 상부 지도부에서는 그리 알고 있는 거야.’라고 자못 조용히 일러주기도 했었다. 바로 일 년 위 고교선배였는데, 자기 오빠도 그런 일을 하니까 안다고, 대단한 사람들이라고 말해주었다.

대단?

대단하지 그럼. 도시빈민의 참상과 좌절의 고리를 끊어내려는 운동인데.

고리를 끊어? 그래도 다소 폭력적인…….

아서, 잊어라.

분신자살 같은…….

잊으라니까. 폭력의 고리를 끊어내기 위한 폭력이라는 이해가 쉽진 않지. 드라마 속의 말이지만, 폭력만이 도움이 된다고 했어, 폭력이 난무하는 곳에서는.

뭐야?

잊으라니까. 넌 잊어.

고리가 끊겼나?

최근까지도 난쟁이 동네 이야기는 끊어지지 않고 계속되고 있었다. 신도시 계획을, 계획이 있다는 것을 발표한 이래, 설왕설래하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좋자고 하는 일이니 당연히 기대하고 반기는 쪽이 있겠지만, 그 반대도 있다. 만일 그린벨트 지역에 신도시가 들어서게 되면 녹지만 없어질 뿐 기존 주민들의 삶을 더욱 피폐하게 만들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개발될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농민이며 영세한 가구들이 그곳을 떠나야 하는 것이 문제란다. 우리보다 어디로 가라고 하남요! 몇 억씩 갖고 새 아파트 못 산다고 아우성치는 젊은이들이 어째서 불쌍한가, 지어 준다 해도 못 사는 우리가 더 불쌍하제. 그런 말들이 텔레비전 화면에서 지나간다.

노후 아파트 단지 재개발의 경우에도 입주권만 가지고서는 새 아파트에 입주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상당수라는데……. 그러니까 행복동의 고리가 끊어 졌는가 말이다.

아니다. 아닌 것 같다. 동네 저쪽에도 아주 쇠락한 5층짜리 아파트에 내로라하는 건설의 재개발 조합원 모집 어쩌고 현수막이 걸린 지 오래다. 색이 바랄 지경이다. 그 앞 버스 정류장에 서 있던 여자들의 말소리가 들려온 적이 있다.

징혀, 열 두 집인가는 절대로 도장을 안 찍는다잫아.

열 두 집이 아니라 스물 두 집이라여. 이백 세대가 고 사람들 땜시에…….

꼭 그렇게 말할 거는 못 되제. 우리야 어찌다 봉게 고 돈이 됭게 말이제만. 아무케도 아들 덕이제. 근디 아조 노인들도 있잖여, 자석들도 노인들일 턴디.

그렇기는 허지. 놈의 집 아닌게로 이대로 살다 가먼 된다, 그러고 사는 양반들도 있겄제.

새로 입주권을 통째로 준다고 안 혔냐. 일원 한 장 더 안 보태고.

근디, 그 말이 사실일까. 쪼까 걱정도 되고이.

사람 참, 준다고 혔으니 주제이. 우리라도 흔들리지 말장게.

잘은 몰라도 재개발이 모두에게 좋은 건 아니라 했다. 조합인지 건설사인지에서 주겠다는 보조금 보다 조금 더 얹어 입주권을 팔게 되는 사람들이 꼭 나온다 하니까. 그럼 그들은 어디로 가나. 만일 오늘도 그렇다면 1978년의 아버지 ‘난장이’는 지금도 어디선가 굴뚝 위에 올라가서 죽는 것일까. 40년 세월, 강산이 네 번 바뀌어도 고착된 틀은 그대로다. 행여 더욱 견고해진 것은 아닐까.

『난장이가 쏘아올린 공』이 200쇄를 찍는 기록을 세웠을 때, 이어서 출간 30년엔가, 작가의 인터뷰가 특이했다. 소설가로서의 보람과는 무관한 말이었다. 아직도 그 책의 내용에 공감해야 하는 현실이 괴롭다고. 그 비슷한 말로. 내 말이. 세상이 어떻게 한 발도 더 나아지지 않는가 말이다. 그런데 그 소설가는 요샌 뭘 쓰나? 세상이 여전히 똑 같다면?

유명 소설가를 내가 걱정할 때가 아니다. 나 자신이 한심하다. 오늘 누수공사를 시작했으니 아직 며칠을 더 매달려야 한다. 집은 먼지투성이인데, 청소는 않고 옛 생각에 잠기다니. 하긴 바로 그 누수라는 단어 때문인 걸 어쩌나.

누수가 시작된 순간은 언제부터였을까. 내 인생 말이다. 청혼을 흘려들은 것은 귀나 청력 때문이 아니었음을 고백한다. 어느 순간부터 시작되었을 누수가 내 머리를 적시어갔고, 마음까지 견고함을 잃었을 것이다. 선배가 단순한 교양 교육이 아닌 S교육을 담당하는 대단한 사람임을 알게 된 순간이었을까. 나는 대단한 사람이 실은 두려웠다. 우물 안 개구리였던 나는 막연하게 작은 삶과 작은 행복을 꿈꾸었었다. 요즈음 말로 소확행이다. 그래서 요즈음 젊은이들이 소확행 어쩌고 하는 일에 신경이 곤두선다. 삶은 소확행으로 재단되어서는 아니되는 무엇이다. 살만큼 살고 보니 그렇다. 우리 아버지 보다 더 오래 살고 보니 확실히 그렇다.

강아지한테 미안한 말이지만, 누군가의 무릎에서 졸고 있는 강아지나 고양이에게는 소확행이 괜찮은 가치일는지 모른다. 어차피 누군가에게 소유되어 버렸으니까. 야생의 개와 고양이에게 하는 말이 아니라, 반려동물 말이다. 만일 요즈음 젊은이들이 소확생을 가치로 받아들인다면 그것은 그들이 구조의 신에게 소유되어버렸다는 뜻이 된다. 현상의 구조 앞에 무릎을 꿇었거나 외면한다는 말이다. 이 구조는 외면한다고 해도 거기 그대로 버티고 있을 것이고 더욱 강해 질 것이다. 그들이 이 구조에 굴한다면 더는 할 말이 없다. 그래도 하고 싶다. 그렇게 살고 나면 너무 허무할 뿐이라고, 너무 허무해서 감당하기 힘든 노년을 맞게 된다고. 노인이라고 해서 시시함과 허무함을 다 참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아차, 이 난리 통에 혼났겠네요, 남이 씨.

그이가 현관문을 열면서 뱉는 소리다. 신발을 벗을까 말까 어리둥절해 한다.

마침 수요일이었다. 수요일엔 신경과 유 원장이 오후 진료를 쉬고 교회 일을 보기 때문에 이비인후과 유 원장도 일찍 귀가하는 날이 많다.

거기선 그냥 신고 들어와요. 화분들 좀 보고, 이쪽으로 오면서 벗으면 되죠.

와, 남이 씨 청소 제대로 못해서 어쩌나. 이제 좀 잘 참으시나? 그런데 화분들 다들 괜찮겠지? 키가 큰 놈들 옮기느라 엄청 고생했겠네. 아니, 이건 비뚜로…….

거야 거실 천정에 닿을 거라서 그렇게 놔 둔거죠. 목을 자를 수도 없고.

이 가시들은…….

방법이 없어요. 그렇게 그렇게 놓아두는 수밖에. 저것들 다시 다 들여놓을 거냐고 아저씨들이 걱정들이던데요, 뭐.

웬 걱정들! 남이사.

그냥 할 말 없으니 하는 소리들이죠.

그러게. 나 씻을게요. 오늘따라 새삼 집밥이 그립네. 점심 메뉴가 카레였거든. 난 아무래도 조선밥 체질이라.

식탁으로 오는 그이의 손에 책이 하나 들려 있다.

배고프다면서요.

으응, 밥 먹고 읽으려고. 신경과 유박 말야, 재미있는 책을 많이 읽어. 이번엔 『동물 안의 인간』 그런 책인데 왜 동물들이 생각, 감정, 행동에서 우리랑 비슷한지 그걸 쓴 거야.

아, 시원 상큼하다.

연분홍빛 물김치를 들이키면서 그가 심하게 너스레를 떤다.

이건 또, 구이보다 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고. 부추가 편육에 어울리는 것 그런 걸 여자들은 어떻게 알죠?

새 밥도 못 했는데 뭘 그래요.

아, 무슨. 이렇게 메인이 훌륭하면 새 밥 아니면 어때서. 새 밥 했으면 많아서 못 먹죠.

먹는 것 마다 칭찬하는 것은 외교일까 작전일까. 그냥 생활인가 싶다. 공동생활의 노하우 같은 것일 게다. 그런 노력을 하지 않으면 머리를 장악하고 있는 화제가 터져 나오기 십상이다.

글쎄, 쥐가 사람 뺨친다네. 전기충격을 받은 다른 쥐를 보면 보는 것만으로 그대로 얼어붙어버린다잖아.

단순히 옆에서 보는 것만으로?

실험에선 그렇대. 암튼 쥐에게도 공감능력이 있다는 말이지.

쥐에게만 있나 보죠.

무슨 말이 그래요?

인간에게, 현대인에게 그런 공감능력이 있나?

대개는 있지요, 남이 씨, 왜 그렇게 까칠하세요!

아니, 쥐는커녕 파충류만도 못한 경우가 하도 많아서.

뭘 그렇게 평가절하하시나. 인지기능을 관장하는 대뇌피질은 인간 고유의 뇌기능이랍니다.

인지기능이 딱히 뭔데요?

가만 있자, 어째 구두시험 보는 느낌이네요. 보자, 인지라면 지식과 정보를 효율적으로 조작하는 능력이니까……, 에이 관두고. 암튼 인간을 인간으로 만드는 것이 대뇌피질이라는 것인데, 그 신경세포가 얼마나 되는지 짐작이나 가? 140억이래, 믿거나 말거나.

그만, 그만. 인간도 동물이라면서 또 동물과 엄청 다르다니. 내 머리가 아프기 시작하는 소리 안 들려요?

아프면 그만 둘게, 질문을 하지 말던지. 머리 아픈 소리가 다 뭔데, 참!

머리 아픈 소리, 우지끈.

소리가 들려요? 상상력도.

동물 먹으면서 이야기까지 동물 하지 말죠. 소화 잘 되게.

동물 이야기로 소화 걸리는 우리 남이 씨, 어째야 좋을까.

내 저녁밥이 끝나고, 그러니까 설거지와 뒷정리를 마치고서 소파에 앉자 그이가 계속한다.

것 참 대단하네. 인간과 동물의 같은 점이, 아니 같다네 뭐. 기뻐하고 화내고 하는 것도 몸과 머리 반응이 인간과 완전 같다네.

그렇겠죠. 인간이 포유류니까요, 뭐.

포유류가 감정이입 능력은 물론 학습도 하고 의사소통을 한다는 건 알려져 있잖아. 그런데, 맙소사, 트릭을 쓰기도 한다네. 맘에든 암컷과 짝짓기 하기 위해서 대장을 따돌리는 협동이라니, 약한 놈들이 그렇게 상부상조도 하고. 심지어 개성도 있고, 똑부와 멍게 그런 차이가 있는 거래, 첨부터 개성이래. 또 인간성을 지니고 있다니, 동물의 인간성, 이상한 말인가?

개성이요? 인간성도? 감정이입을 인간적이라고 한다면 거야 그러겠네요. 개들의 감정이입능력 대단하잖아요. 주인의 무덤을 7년을 지켰다던가 뭐 그런.

그 정도를 넘는다니까. 쥐들이 알츠하이머를 피하는 방식이라거나, 모르모트가 사회적 스트레스를 피하는 법?

쥐가 알츠하이머에 걸려요? 그걸 예방도 하고?

뇌 구조가, 아예 기능이 같은 거라네.

알츠하이머 - 요즈음 들어 드물지 않게 듣는 단어다. 곧 죽는 질병은 아니지만 비가역적이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애매해서 사전을 찾아보았던 생각이 난다. 치료해도 이전 상태로 회복될 수 없다는, 그냥 치료 불가라는 뜻이다. 정말 질병인가 아닌가 질병코드도 찾아보았다. 있다, F00. 손가락 사전 참 좋다. 온갖 지식이, 세상이, 내 손안에 있소이다!

그런데 알츠하이머 등 뭐든 치매 같은 것을 앓게 된다면, 치매환자가 된다면, 이 시시함과 허무감 대신 가벼운 만족감에서 지낼 수 있으려나? 내가 벌써 신경세포 손상으로 지능, 의지, 기억 따위가 지속적으로 본질적으로 상실되는 그 병에 노출될 리는 없다. 생각만으로도 무섭다. 언젠가 지능이 떨어지고 기억이 사라지는 것 까지는 크게 손해될 것이 없다는 생각도 든다. 지능과 기억으로 특별히 해야 할 일도 없어질 테니까. 하지만 의지가 상실된다니! 의지가 상실된 상태 - 그런 일을 100퍼센트 피할 수 있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그러니 소확행인가. 그저 따뜻하게 그렇게 살라고?

소확행 - ‘갓 구운 빵을 손으로 찢어 먹는 것, 서랍 안에 반듯하게 접어 넣은 속옷이 잔뜩 쌓여 있는 것, 새로 산 정결한 면 냄새가 풍기는 하얀 셔츠를 머리에서부터 뒤집어쓸 때의 기분……’ 어느 일본 작가가 30년 전에 쓴 말이 이제 와서 한국에 퍼뜨려졌단다. 물론 그 자체로서는 기분 상쾌해지는 장면이다. 냄비에 갓 지어 고슬고슬한 밥에 섞박지 무 한 쪽을 얹어서……. 그런 안락한 순간을 말하자면 나라도 열 스물은 센다. 하지만 안식과 힐링, 그것도 젊은 나이에 안식과 힐링만을 구한다면 다들 늙은이야? 늙은이라고 해서 안식과 힐링만 구하하는 법도 없지.

일전에 동기들 단톡에서 누군가 말했었다.

젊어서는 눈 뜨면 무슨 일이 일어나길 바랐는데, 이젠 제발 아무 일 없기를 바라네.

뭐라? 아무 일 없기를 바라면서 눈을 뜬다? 그런 것 같기도 하지만 서글펐다. 아무 일 없기만을 바란다면 사는 것일까? 무엇하러 눈을 뜨나? 잠이 깨니까 일어나고, 배가 고프니까 먹고……. 그보다는 조금 더 무엇인가를 느끼고 싶었다. 느껴야 한다고 느꼈다.

여생이라고, 그런 단어는 없어. 없어야 해. 사는 날까지 생이지.

한 마디 보탰다. 손가락이 방정이다.

무안했을까? 활동성이 줄어드는 것은 활동성에 관해서만 맞는 말이다. 활동성이야 어림과 젊음과 늙음 사이 포물선을 인정한다. 하지만 생이라고 하는 것이 활동성이 전부는 아니다. 생은 소멸 전까지 생이다. 어떤 형태로든 생이다. 그렇게 긴 말을 쓰지는 않았다. 철학 하시네! 잘난 체는! 그 다음 말들이 미리 들렸다. 그냥 넘어가 주는 법이 없어요. 누구 무서워 말 올리겠냐. 언제부터 저리 ‘까탈스럽게’ 되었다냐. 귀가 아프다. 한 마디 보탠 걸 후회했다. 삭제하고 싶다. 맨날 이렇다. 말하고 후회하고, 또 잊고서 말하고 후회한다.

후회라는 것은 요상한 놈이다. 무엇을 하고서도 후회하지만, 놓아버려서, 아무 것도 하지 않아서도 후회한다. 사는 일에서 무엇인가가 새는 걸 막지 않으면 정말 낭패다. 새는 줄도 모르고 있다면 더욱 난감해진다. 대부분 몰라서 방치하게 된다. 알고도 모르는 척 살기도 한다. 현상유지가 중요할 때도 있다. 나의 현상은…… 언제부턴가 근처에 있었고, 남편이 되었고, 내 아이의 아버지가 된 사람과의 공동생활이다. 그 나름대로 안정된 수입과 화초 기르는 취미를 가진 남자다. 이이는 모가 나지 않아서 어디에고 부딪거나 그러지 않을 것이다. 혹시 그렇더라도 그리 크게 부서지지 않을 것임에 틀림없다. 의과대학에 다니는 학생들, 의대생들은 공부가 너무 부담되어서 S주의에 물든다거나 하는 잡념(?)의 기회가 적었을까. 오빠는 의대를 그만두었지만, 개인적인 문제였지 사회와의 갈등 때문은 아니었다. 그냥 내 생각이 그렇다. 오빠의 그 당찬 후배는 오빠의 맘을 알았는지 몰랐는지, 오빠의 상처를 아는지 모르는지. 그냥 의대 잘 마치고 성형외과를 개업해서 거의 떵떵거리고 산단다. 지방의대 출신답지 않게 강남에다 병원을 내는 배짱이 배틀의 성공이었다고! 연예인도 드나든다는 그 병원의 1㎡는 얼마나 값이 나갈까. 의대동문의 날이면 그 성공신화가 둥둥 떠다닌단다. 오빠가 그렇게 떵떵거리는 사업가(?) 아내와 살아간다는 상상은 불가능하다. 오빠가 의대를, 그 ‘후배’를 피해 달아난 것은 잘 한 일이었을 것이다. 누가 무엇을 선택하든 그것은 대개의 경우 잘 한 일이다. 무엇인가를 못 견디어서 피했거나, 무엇인가를 죽도록 좋아서 선택했거나 다 잘 한 일이다.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이란 시에 보듯, 가지 않은 길은 다만 동경으로 남을 뿐이다. 간 일이, 그러니까 걸어온 길이 잘 온 길이다. 무엇인가가 좀 빠져나간, 누수 정도의 상흔이면 좀 어떤가. 견디면 견디는 것이다. 만일 소금이 시멘트를 녹였듯 현재의 삶이 녹아내리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살림집 아파트가 낙원구 행복동 어딘가에서 날마다 올라간다. 간헐적으로 누수문제가 터지고, 성가시고 돈도 들지만 공사를 하면 막는다. 막아진다. 이 아파트는 아직 단단하다. 단단해 보인다. 더구나 앞 뒤 발코니 모두 누수공사를 마치면 거의 완벽해질 것이다.

내게서 새어나가는 것은 무엇으로 막을까. 내게서 새어나가는 것은 어쩌면 실존의 파편들이다. 미세한 파편이지만 끊임없이 새는 느낌, 이 느낌 때문에 말라간다. 누수의 정체도 모르면서 살아 있으면서 말라가는 나무다.

-------

PEN 문학 2019. 7.8월호 vol. 150  121~136쪽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수신문 2017 - 과분한 대접  (0) 2019.09.11
나무  (0) 2019.08.26
시베리아 아님 블라디보스토크  (0) 2019.05.09
발자국  (0) 2019.05.09
한 꼭지 - 편지, 메피스토에게  (0) 2018.03.15
Posted by 서용좌
English2018. 9. 29. 17:59

Between Heat and Cool

 

 

Written in English by Yong-Jwa Suh

Edited by Scott Findlay

 

 

It's hot!

Summer in Korea is hot and rainy. In late July this year, it is awful. Every day is a tropical night, in which the lowest air temperature does not fall below 25°C. And this year, it's been like that for a month!

 

Shit!

You are surprised at yourself. You never ever say those kinds of words, so it's strange. You look around everywhere, and fortunately, there is no one around. Yes, you have been home alone for many days. Nobody touches you. No one will blame you.

You pick up the crochet needle. You do some sort of homework, knitting or crocheting as a volunteer for a knitting club with the Resident Self-government Center. At first, it began with learning how to knit and crochet. 'Learning and service' was the catch phrase. You could not accurately imagine what 'service' entails, but it must be related to giving those knitting supplies to people who need them. You just thought, knitting or crocheting will free you from your boredom.

You always need to do something that takes a long time without much effort. People say, 'time is money', but your time is worthless. You cannot stand the time without work. What people call 'free time' makes you puzzled and embarrassed. It does not take much time to eat, clean and wash. Time does not go by watching television.

This time crocheting foot mats is not easy. Pure cotton thread is thick and hard to pull. You have a sore arm and become impatient. You think about the speed of others. Whatever you do you want to be average at least. But your hands do not follow your will. That's life.

 

And August begins with the highest temperature ever recorded, 41 degrees Celsius at Hongchon County, located not in the southern part, but in the middle of the peninsula. The highest temperature ever recorded was 40 degrees C on August 1, 1942.

 

Wow! It's too much!

You look around everywhere, and this time there is no one, too. You stir your head. You do not know who you are talking to. You are frightened. Am I going crazy? It's because of the heat, this awful heat. No one can be normal in this scorching heat. You mumble alone. What was the highest temperature in the world? You check your cell phone, Hanie. She is the only friend who tells you almost everything you care about. - Periscoping is very useful, when you want to search rather than receive messages or even phone calls. - She answers: 'According to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s, the highest temperature ever recorded was 56.7 °C (134.1 °F) on July 10, 1913 in Furnace Creek (Greenland Ranch), California, USA.' Wow, about 20 degrees above the average human body temperature. It's really murderous. It would be murder! Soon we human beings will certainly die, yes, die out, just like the dinosaurs suddenly perished long ago.

You pull the thread with all your power. Oops! The thread is tied in a knot. You have to cut it and connect it again. Embroidery snips! You need it immediately, but it is not there where it's supposed to be. You hurry up and rummage through the balls of yarn. There is also a lot of cloth that you put on quilts these days. Ouch! Your fingertip sweeps over the scissors. It's your right index finger. Anyway, the tip of the scissors is sharp, and it is even an embroidery snips! Scissors are made of iron, so you have to remove blood from the wound to avoid tetanus. Tetanus is said to be a disease in which Rilke was stabbed by a thorn while trying to turn a rose to his lover. No, it's not true. Hanie shows, 'The leukemia which killed Rainer Maria Rilke had been almost reluctantly diagnosed.' So the tale about the myth concerning the onset of his illness was, even among his myths, the most absurd. Though it was true, that Rilke gathered some roses from his garden to honor a visitor, the Egyptian beauty Nimet Eloui. While doing so, he pricked his hand on a thorn. This small wound failed to heal, grew rapidly worse, soon his entire arm was swollen … and that was just a melancholy event more than a year before his death. You become embarrassed to play with the gossip story and run into the bathroom. Misfortune overlaps, and it is kind of Murphy's Law. You slip on the bathroom floor and support your body with your left arm. Shit! It hurts! Your wrist is definitely injured. You do not think it is hurt badly, but just let go of knitting crochet. So the evening comes, the night comes and a normal day will come.

But this time it is not normal. Your left wrist hurts severely and swells up, so that it is hard to wash your face. You have to run to the hospital early in the morning. Your wrist is fractured, says the doctor, and he puts a temporary cast on your left wrist from your hand to near your elbow. After two days, you need a full cast for six weeks or longer. You cannot do knitting homework anymore. You could not envy the speed of other members. The knitting club will work well without you, the slowpoke.

 

Summer is usually the season of cyclonic storms and monsoonal rains. But this year there was a severe runoff along with a heat wave. In August the late rainfalls are characterized by heavy showers, often exceeding 200 millimeters of rainfall in a day. On August 16, the 19th typhoon of the season, Typhoon Soulik developed and headed north; the news says it will penetrate the Korean Peninsula. In Jeju Island, two people were swept out to sea by the waves near a waterfall while taking pictures in the rainstorm. One has escaped from the sea by himself, but a female is missing. Sad news. The next day Soulik makes landfall over Haenam County near Gwangju where you live. The wind blows and blows again. If you go outside, your umbrella will be blown away. You will not even be able to open the umbrella, wearing a plaster cast on one arm. You do not go out to take pictures with one hand. Surely you will not die today. Counterfeit, the irony of fate. A broken left wrist is your luck.

 

Luck?

Since that damn cast on your left arm you are terribly bored. You wander in the living room and go out on the balcony. The weather suddenly gets cold after a long rain. How is the smell of oxygen? You try to hold the porch railing with both hands. You hesitate for a moment. Will the injured wrist hinder or help from leaping? You look back once at the knitting work that has stopped for weeks.

..........................

 

2018.11.30. Between Heat and Cool, 제4회 세계한글작가대회 기념 영문대표작선집

The Collection of Poetry & Prose in English to Celebrate the 4th International Congress of Writers Writing in Korean, The Korean, International PEN, 2018, pp. 501-503.

 

Posted by 서용좌
강연-강좌2018. 9. 13. 00:10

 

 

2주 정도, 날밤 샜다.

포스터가 너무 멋있다고, 며칠 붙였다가 버리기에 너무 아깝다고들 해서 좋았다.

늘 하던 대로 둘째 작품. 포스터에도 격이 있다. 시간과 노력과 마음이 격을 만든다.
강연 자체는 - 모르겠다.

"유창하지 않은데 괜찮은(?)" 이라는 평이 가장 인상적이었다. 

 

[느낌] 
         * 여러 상황 속에서도 참석한 스승, 제자 제자들, 친구들, 문학동아리 선후배, 

            독문과 교수들 ........ 과분한 대접을 받은 느낌.

            또 놀랍게도 강연 첫장에 나오는 주인공도 ........        
        ** 장소를 선뜻 내어준 인문대학 학장님, 전체를 도와준 독문과,

            또 놀랍게도 참가자들 어른들 중심으로 몇 십명 점심을 대접해준
            독문과 교수님들에 놀라움과 이상한 뿌듯함?

            친정 참 따뜻한 곳이구나 ....... 문단이 더 냉랭(?)

 

 

 

 

 

 

 

 

 

 

   강 현수막:

   소설가협회에서 보내온 것인데,
   시간, 장소, 초청강사 이름 다

   있는데, 강연 제목만 빠져있음.

 

 

 

 

 

 

 

 

 

 

 원고와 PPT에 집중한 청중들 -

 

 이런 이유로, 청중들의 시선을

 피할 수 있다는 이유로, 나는

 밤새워 원고와 PPT를 준비한다.

 

 

 

 

Posted by 서용좌
사사로이2018. 7. 5. 11:03
일고 58들의 초대

 

2018.4.18.

 

PEN문학상의 위력(? )이었을지, 옛날 제자들 초대가 심심찮다.

 

간단한 강연은  프린트물 중심으로 살짝 해치우고, 왁자지껄 즐거운 시간.

 

                      * 어쩌다 글쟁이 - 일고 58회 2018.4.18 (요약).hwp

 

뭐라고 옛날옛날 선생님을 반겨줄까?

 

불어반 학생들도 와서 난생 처음 만난 제자들도 있었고,

 

그 중에는 시를 쓴다는 학생도(아니 지금은 아저씨?)도 만났다.

 

늘 도망치는 천 아무개도 와서 반가웠고.

 

 

                                 이름들 안 썼으니 초상권 침해는 아니겠지?  ▼

 

                                 아래 1980년대 사진을 좀 봐, 장 아무개가 보내줬단다.

 

 

 

 

 

 

 

 

 

 

 

                                     

 

 

'사사로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릴없이 여름  (0) 2018.07.24
이화여대 독문과 총동창회 2018  (0) 2018.07.05
아이들 - 눈부신  (0) 2018.03.01
또 한번의 생일 - 1월 31일  (0) 2018.02.28
PEN문학상 이후  (0) 2018.01.25
Posted by 서용좌
사사로이2018. 2. 28. 12:48

또 한번 생일이다.

나는 물병좌 -

 

위쪽은 수빈과 형빈이 그리고 쓴 카드,

아래쪽은 우빈의 카드...... 머플러는 스코틀랜드에 갔을 때 샀던 것이라고!
 

 

 

 

 

 

 

 

 

 

일종의 전야제 - 동생들이 일요일에 미리 모였다. "셋" 은 앞을 떼고 먹은 나이다.

 

 

 

 

 

 

 

 

 

 

 

 

 

 

 

 

 

 

 

 

 

 

'사사로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고 58들의 초대  (0) 2018.07.05
아이들 - 눈부신  (0) 2018.03.01
PEN문학상 이후  (0) 2018.01.25
옛 사람들을 만나서  (0) 2017.10.20
철 이른 동면  (0) 2017.10.07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