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로이2013. 4. 21. 21:00

열살 우빈이가 음악학원에서 발표회를 가졌다.

 

2013년 4월 20일 오후 ----

 

좋아하는 곡을 골랐는데 연습 부족이라고 엄살이더니 정말 연습이 부족했나 보다.

 

다음에 만나서 더 잘 쳐서 들려주겠다고 약속한다.

 

이만큼도 얼마나 어려운가, 일단 곡을 외우는 것만도.

 

감기로 병원에 다니는데도 빠질 수 없는 것이 한국 어린이다.

 

재미있어 하니 다행이다.

 

우빈이는 무엇이든 재미있어 하면서 배운단다.

 

 

 

http://www.youtube.com/watch?v=fmkV7ypp974

 

http://www.youtube.com/watch?v=TyX03waf2zU

'사사로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에 완성한 겨울 스웨터 리폼  (0) 2013.06.10
졸업50주년 - 무서운 세월  (2) 2013.05.30
2013 생일에  (1) 2013.02.03
새해 계획이라면......  (0) 2013.01.09
재호 하는 일  (0) 2012.10.28
Posted by 서용좌
사사로이2013. 2. 3. 11:31

 2013, 빨리 찾아온 생일에.........
 11,691km (인천-뉴욕) 보다 더 멀리에서 온 카드,

 함께 온 Tory Burch의 Simone Gardigun 보다 훨씬 감동적이다.

 

 

수빈은 2003년생, 나보다 열흘 먼저 만 열 살,  

이름만 덧 쓴 형빈은 2006년 7월 생이니까 만 여섯 살 반이다.  

생일 전야에는 Happy Birthday 노래를 전화로 들려주었다.

내친 김에 성악 레슨을 시작하려 한다고.

 

 

가까이 - 가까이래야 300km 이상 떨어져 - 사는 녀석들은

하루 멀다하고 종알대는 전화로 생일이 특별한 날이 아니다.

지역 최고 '궁전'에서 보내준 생일케이크도 맛있고,

시린 발을 위한 룸슈즈도 너무 따뜻하다.

 

 

 

 

 

 

 

 

올해는 찰시루떡을 나누어 먹은 숫자가 늘었다.

어머니가 안계시자 우리들이 내 생일에 많이 모였다.

미리 축하 선물을 두둑히 주고 가신 손위 시누이님,

함께 점심을 먹은 연상의 질녀도 ..... 모두 멋진 선물들을 준비했으니ㅡ

내 나이 탓이려나? 

스스로 내년의 건강한 생일을 빌어볼꺼나.

'사사로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졸업50주년 - 무서운 세월  (2) 2013.05.30
우빈이 음악학원 발표회 2013 봄  (0) 2013.04.21
새해 계획이라면......  (0) 2013.01.09
재호 하는 일  (0) 2012.10.28
아홉살 우빈이가  (0) 2012.08.14
Posted by 서용좌
English2013. 1. 22. 00:39

Fair Trade Coffee

 

When I was asked to review a coffee shop, it made me feel somewhat uncomfortable. As a change of plan, I surveyed the trade problem of coffee. We all know that the price of one cup of coffee is not so reasonable when you drink it in a coffee shop like Starbucks or Angel-in-us…….

Anyway do you know how much money the people earn who produce the coffee beans, the raw materials, in developing countries? Some statistics reported that those farmers get only 0.5% of the money you pay for the coffee you enjoy in Starbucks. It's unbelievable. Where does the money flow to? Does it vanish into thin air?

Coffee comes from the seed, or bean, of the coffee tree. Coffee is a beverage made by grinding roasted coffee beans. So, from the coffee trees to our cups! Coffee is really a big item. It's consumption is 2.5 billion cups a day worldwide. It has the second largest trade volume after the oil trade.

In reality, the children who work on coffee farms do not even earn enough money to go to school, while they are working hard at the farm. Someone has to break the chains behind this exploitation of multinational coffee companies and pay farmers the price of legitimate labor. The fair trade movement started to change. Not only direct trade but also to give more benefits to the farmers.

There are some organizations for that activity. Most of all Fairtrade International, namely Fairtrade Labelling Organizations International, was established in 1997.

Fairtrade labelling organizations exist in 18 European countries as well as in Canada, the United States, Japan, Australia and New Zealand. It develops and reviews Fairtrade Standards, and assists producers in gaining and maintaining a Fairtrade Certification Mark. It is a kind of independent guarantee that ensures disadvantaged producers in the developing world are getting a better deal, and is used in over 50 countries.

Next to FLO, one of the most influential organizations is Global Exchange. It is an advocacy group and NGO, based in San Francisco. The group's mission is to promote human rights and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justice around the world. The 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was rooted in the increasing interdependence of national economies and the subsequent need to build political alliances across national boundaries to protect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rights.

What does Global Exchange do for fair trade? The Fair Trade Program works to promote Fair Trade, end child and forced labor and trafficking in the cocoa industry, as well as educate and empower children and adults to advocate and purchase Fair Trade products.

What companies are their main targets?

Previous corporate campaign targets have included Starbucks and M&M's. Currently Global Exchange is working to push The Hershey Company to go fair trade and end forced labor in the cocoa fields. The campaign is called "Raise the Bar, Hershey."

So coffee is the most well-established fair trade commodity. Growth in the fair trade coffee industry has extended the commodity away from if being focused on small farms and companies. Now multinational corporations such as Starbucks and Nestle use fair trade coffee. (Even just a few of their trade.) The largest sources of fair trade coffee are Uganda and Tanzania, followed by Latin American countries such as Guatemala and Costa Rica. Major importers of fair trade coffee include Germany, the Netherlands, Switzerland, and the United Kingdom.

Basically, the main purpose of the campaign is to fight against child labor. Aside from child labor, there is human trafficking and slavery in the chocolate business. For example, The Ivory Coast, a small country in West Africa, is the world’s biggest producer of cocoa, the almond sized beans that are made into chocolate treats for children in America, Europe, and other parts of the world. In the Ivory Coast, over 200,000 children work full-time jobs, many processing the cocoa beans on large farms. A 1998 UNICEF George Polk Award winning report titled “A Taste of Slavery: How Your Chocolate May be Tainted”(By Sudarsan Raghavan and Sumana Chatterjee / Knight Ridder Newspapers), revealed that as many as 12,000 of the 200,000 child laborers are quite likely victims of human trafficking and slavery. 30% of children under age 15 in sub-Saharan Africa are child laborers, mostly in agricultural activities including cocoa farming. Over 5% of the children are victims of human trafficking or slavery.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1.8 million children in West Africa are involved in growing cocoa. Many of these laborers come from Mail, Burkina, Faso, Benin, and Togo. The children are lured into the workforce with promises of money, housing, and education.

One of the saddist stories: When Aly Diabate was just 11 years old, he was taken by a slave trader and sold to a farmer in the Ivory Coast. The man promised him a bicycle and $150 a year to help support his poor parents in Mali. He worked 80-100 hours a week and was beaten. At night he was locked in a windowless shed with 18 other boys. Aly was lucky, because he survived thanks to a boy's escape. The slaves were then sent back home. Aly was paid $180 for the work he did, but he is still left with physical and mental scars. However, there are still cacao bean farms that use slaves to harvest the beans and beat the slaves without reason.

The cruelest fact of all is that Aly said he doesn't know what chocolate is. Americans spend $13 billion a year on chocolate, but most of them are as ignorant of where it comes from as the boys who harvest cocoa beans are about where their beans go.

That’s why we all need to support fair trade. If we don’t go fair trade, we won’t enjoy the sweet chocolates comfortably without thinking of their anger and frustration of the primitive producers. Though we shouldn't do that through charity! Fair Trade is all about improving lives. Through Fair Trade Certification not only do farmers earn a higher price for their goods, they also receive an additional premium fund for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These funds are used for things like building schools, health care clinics and clean water wells, as well as for home loans, scholarships and transportation. Fair Trade empowers communities to take their futures into their own hands.

To go fair trade, you should visit Global Exchange (http://www.globalexchange.org/)! There you can find programs you might be interested in. It would be the first step to make the world from a profit-oriented globe to a human-centered planet without the exploitation and the unequal distribution.

 

........................................................

영어 공부하다가 - Michael Sherman 선생님 반.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3. 1. 16. 21:39

일기

 

 

 

   2011년 11월 11일. 날씨, 흐리다가 부슬비.

 

 

   어느 하루가 깨어난다. 몇 십 년 같은 일이 반복되고 있다. 점점 밝아져야할 시간임에도 점점 더 어두워지는 창밖으로 눅눅한 시선을 내보낸다.

   말라가는 식빵조각을 커피 물에 적셔 뜯으며 오늘을 시작한다. 출입문 하나로 바깥세상과 면한 줄 알았더니 모니터 화면이 더 넓고 무섭다. 사람들은 백년 만에 맞는 11-11-11을 기념하기 위해서 떠들썩하다. 산부인과 병원에 제왕절개가 밀렸다는 뉴스까지다. 누가 힘이 세서 11시에 수술을 받게 될까? 필시 아기 아버지는 ‘사’자 돌림에, 산대에 누워있을 여자는 천진하고 예쁘기까지 한 부잣집 따님일 게다. 그 누군가의 드높은 경쟁력에 임신 경험도 없는 내가 쓸데없이 기가 죽는다. 임신 경험? 그럼 내가 은근히 엄마가 된 동창들을 부러워했더란 말이냐.

삐리리리. 구원은 느닷없는 전화벨 소리다.

  

   한샘, 안녕하쇼! 이박입니다.

   예?

   이박, 오얏리 이가, 이박임다.

   아니, 이샘이 어쩐 일이세요?

   어쩐 일이냐 되물으시면, 아니할 전화를 제가?

   어쩌자고 이 세월 지나 전화기 들고서도 뒤틀리세요?

   뒤틀리다뇨! 암튼 제가 지금 그리로 갑니다. 출발합니다. 기다려 주세요. 너덧 시간 후엔 도착합니다.

 

   그렇게 불쑥 나타난 이순규를 만나러 나가려는데 비가 질척거렸다. 은행잎들이 빗물에 젖어 떨어져 내려 발길에 짓밟히고 있었다. 보도는 차가운 회색의 물기였다. 찢긴 은행잎에서 흘러나오는 노란 물감이 회색을 따뜻하게 보완한다.

 

   이런 날 이런 시간에 어떻게?

   시간이 있느냐고요? 시간 있지요. 시간이 없어서요. 없어져서요. 시간 다 말아먹었어요.

   다섯 번 ‘시간’이 읊어졌는데 물론 뜻은 다르다. 첫 번째 시간은 시각, 또는 때. 두 번 째 세 번 째 시간은 여유다. 여가시간  말이다. 아무 소용없는, 시쳇말로 아무 영양가 없는 여자를 만날 시간 말이다. 마지막 두 번, 이때 시간은 수업시간이다. 시간강사가 수업시간이 없단다. 없어졌단다.

 

   역사철학 관련 수강생이 엄청 줄었어요. 10년 다 되가는 보따리장사 세월에 선배라는 게 외려 핸디캡이 되잖아요. 자리를 못 잡으면 너나 나나 동등한 것이 함께 간이역의 삶 아니던가요. 늘 추운 곳에서 지내다 보니 마음도 얼어붙더라고요. 먼저 떠나신 한샘 생각이 난 것은…….

   뭔 동병상련 정도 말입니까? 한국인, 비인기 인문학 전공, 비정규직 젊은이, 그밖에는 공통점은 적죠.

   예.

   뭐가 예? 공통점이 적다는?

   예.

   어째 목소리에 실망감이.

   예.

   공통점 적어 실망하실 일은 없지요. 남자 여자는 영원히 다른 동물인걸요. 이샘은 유난히 더듬이가 안쪽으로 휜 것도 또 다른 특징이죠.

   설마 더듬이라면.

   곤충으로 비하하냐고요? 비하라뇨. 곤충이 얼마나 위대한데. 특히 모기는. 연간 모기로 인한 사망자가 세계적으로 200만 명에 달한다는 뉴스 못 보셨나요? 킹코브라보다도 무섭다고요. 평균 몸길이 3m로 살아있는 모든 것을 한순간에 즉사시킬 수 있다는 코브라의 신경독 뺨쳐요. 치명적 촉수를 보유한 해파리, 백상어, 아프리카 사자, 악어, 코끼리, 북극곰, 아프리카 물소, 독개구리 보다도 더하죠.

   아니 뭘 외우세요? 모기, 코브라, 해파리 어쩌고. 제가 언젠가 배달은 백달의 음운변형이고, 박달은 백달의 모음변형이며, 백달은 백산의 다른 표기라 했을 때, 뭐 그런 걸 외우냐고 핀잔준 분 아니시던가?

   핀잔은요.

   핀잔이었지 그럼.

  

   나는 그런 대화들을 기억하게 되리라곤 생각하지 않았다. 교양한국어 강의시간에 그것들이 되살아나서 나 혼자 떠들었을 때 스스로도 놀랐으니까. 그러자 뭔가 긴가민가했던 말에 대해 물어볼 생각이 났다.

   아니, 그 보다는 일본족도 동이족이라고 하시던 말이.

   그렇다니까요, 바로 그걸 잊지 말아야.

   일본인 1/4 정도에서 한국인 디엔에이를 찾아볼 수 있다던 말씀요?

   예. 그리고 지금 한국엔.

   지금 한국엔? 한국엔 뭐요?

   지금 배달의 원형인 한국인 중엔…….

  

   달변의 그가 오늘은 더듬거린다.

   아, 한국인 중에도 다른 민족의 디엔에이가 섞였다고요? 거야 당연하겠죠. 순정한 핏줄이란 애당초 불가능한 것 아닌가요?

 

   나는 벌써 그, 여기 이 이박이 아니라, 그, 배승한의 가족사에 젖어든다. 온 세상에 흩어져 핏줄을 지키거나 흩뜨려놓는 유대인 이야기는 삼가리라. 그것은 승한의 가족사에서 비밀 같은 것이다. 물론 그것이 나에게 금기일 리 없지만 나도 모르게 삼가졌다. 그런데 이박은 기어코 그 금기를 건드린다.

   실제로 열린사회 치고, 예컨대 유럽처럼 애매한 경계의 이웃나라들 사이에선 더욱. 암튼 열린사회 치고 핏줄이 온전할 리 없지요. 열린사회라. 그냥 조금 열린사회, 아님 ‘베륵손’적 의미의 열린사회?

   이샘, 오늘은 그쯤 하시죠. 지금 프랑스어 발음 놓고 또 토 달려고?

   아니, 폴란드 태생이라 그래야 한다면서요. ‘베르흐손’인가?

   이샘, 제발 편하게 합시다. 어째 갑자기 베르그송인데요?

   거야 그는 유대인 순종이다 그 말이고. 유대인의 경우 순종이 문제되지는 않죠. 베르그송의 공헌이라면, 정지된 인식에서 운동, 변화, 진화의 가치로! 이 문외한이 맞게 이해하나요?

   문외한이라니, 철학도가 이 경우 문외한이란 말씀은 뭔가. 그런데 뭔 말씀을 하려고? 프랑스어 좀 한다고 베르그송 아는 척은 말라 그거죠? 당연한 말씀, 맞아요, 국어로 읽는다고 모든 책이 읽어지나요? 그보다 선생님의 역사철학은…….

아, 그거 아닙니다. 저 요새 역사고 철학이고 다 보따리 싸맸습니다. 꽁꽁 동여 매버렸죠. 제가 지금 순례 중인것 안 보이시나요?

  

   그랬다. 순례자 이박.

   배낭을 짊어졌지만 배낭족이 아닌 것이 개량한복 차림이다. 순례자까지는 아니더라도 나그네 몰골이 선했다.

   그러고 보니 어디 다녀오시는 길인가요?

   어디 다녀오는 길 아니면? 제가 한샘 찾아서 여기 왔다면 믿으실래요? 그럴 리가 없겠지만.

   그럴 리 없죠, 당연히. 참 그런데 이 고장엔 어쩐 일이세요. 원래 여행을 하시는 편인지?

   여행 안 좋아합니다. 안 좋아 했어요. 존재와 영속성의 가치에 파묻힌 동안은 정말 그랬지요. 그 다음 모든 실재를 역사적  성격으로 규정하려던 시절엔 운동과 에너지에 현혹되었지만, 그 운동은 이런 여행과는 거리가 먼 추상적 개념들이었죠.

   이샘, 저 오늘 머리가 무거운데요. 본원적 이야기 빼고, 오늘 이 고장엔 웬 일로?

   아 참. 거의 실직 상태인데 뭐 따로 할 일이 있나요. 먼저 서울 생활 털고 내려간 한샘이 부러웠다고나 할까. 한번 보고 싶었어요, 그냥.

   저요? 제가 부러워요?

   예, 진실로. 건 그렇고. 한샘은 식구가 단출하시다고?

   단출하다기보다, 아들 없는 집 큰딸이죠. 현상으로 말하면 오래 독신가족. 왜 난데없는 호구조사세요?

   제가 마음먹고 낙향을 할까 생각 중인데 동반자를 구하거든요.

   아뿔싸. 나는 숨을 죽였다. 그럼 지금 이순규가 하는 말이, 아니 내가 그 후보 중 하나라는 말을 지금?

 

 

   동반자 구함

 

   어색한 분위기를 뚫고 창문너머를 바라보던 내가 서둘러 실없는 말을 시작했다.

   창밖엔 아직도 비가 내리나 봐요, 음, 가장 긴 노래제목이 뭔 줄 아세요, 창과 관련되는데?

   창밖의 여자? 무관하게 밖에 서있다 그 말?

   에이, 것도 모르시네! 창문 넘어 어렴풋이 옛 생각이 나겠지요!

   나는 양쪽 손가락을 다 오므렸다 펴가면서 열여섯 글자를 헤아렸다.

   아, 그런 노래도 있었네요. 창문 넘어 어렴풋이…….

   그도 따라 손가락을 구부리며 세어보다가 놀란다. 정말 열여섯 자네요? 그보다 많기는 어렵겠어요.

  

   나는 가만 노래를 읊조린다. 그런 슬픈 눈으로 나를 보지 말아요. 가버린 날들이지만…….

   잠깐. 난 시를 외워보겠소. 염병헌다 시방, 부끄럽지도 않냐 다 큰 것이 살을 다 내놓고 훤헌 대낮에 낮잠을 자다니 / 연분홍 살빛으로 뒤척이는 저 산골짜기 / 어지러워라 환장허것네 / 저 산 아래 내가 쓰러져불겄다 시방. 어떻소, 제목은.

   진달래, 김용택.

   아니 뭐 한샘은 시도 줄줄 외는 거요?

   아뇨, 제가 무슨. 이 ‘시방’ 땜에 알죠. 이샘이 만날 그렇게 했잖아요. 미처불겄다, 시방, 그렇게.

   그랬군요, 내가 그랬어요. 사투리 아무한테나 잘 안쓰는디.

   방금도 쓰시네요.

   그러니께 아무헌테나는 잘 안쓴다고라.

   에이, 치우세요. 이상합니다. 평소대로 하세요.

   그러지라.

   그만 하시래도요, 저 오늘 앉아있기가 좀 피곤하네요.

   그럼 좀 나가서 걸을까요?

   걷기는 더 힘들 것 같아서요. 이샘도 오늘 고향에 가시는 길이라 하셨잖아요. 너무 늦지 않게 시리.

   고양이 쥐 생각해주는군요. 예, 뭐. 그래도 제 고향 이야기나 좀. 오뎅 국물에 한잔 하면 피곤감도 풀릴 것이고.

 

 

   그렇게 이순규는 고향 이야기를 쏟아냈다. 어두워지자 불조차 꺼진 농협인지 무슨 건물 앞 간이 튀김집에서. 튀김집에 어떻게 소주가 나오는지는 글쎄.

 

   그의 고향은 전라남도 고흥.

   고흥군 봉래면. 거의 처음 들어본 지방이다. 아니다, 우주선 발사 때문에 몇 번 뉴스의 중심에 섰던 지방이다. 봉래면은 1996년 나로1대교와 나로2대교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고립되었던 섬 외나로도에 위치한단다. 군청에서 차로 달리면 한 시간이 채 안 걸리는 곳. 그러니까 지금은 연육교로 인해서 교통 상으로는 섬이 아니다. 물론 섬이다. 사방이 바다로 둘러싸인 곳이니.

   면소재지라 중학교와 고등학교도 있다고, 그는 장난말처럼 패밀리 마트도 들어왔고, 모텔도, 비치호텔도 있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물론 아직도 충무공 따라서 진터라고 부른다는 진기마을이 이웃해 있고, 나로도 항이 가깝고 유람선 선착장도 가까이 있다고. 무슨 빌라라나 아파트도 물론 있다고. 어차피 현대 사회는 방 한구석에서 인터넷으로 온 세상과 교류하는 것 아니냐고. 그러니.

   그는 갑자기 머쓱해 한다.

   그러니 어쩌란 말인가. 도시여자라도 마음만 먹으면 살만 한 곳이라고?

   봉래면, 삼십 제곱킬로미터 쯤 면적에 인구가 이만이천 조금 더 될 뿐이랍니다. 어디나 처럼 여자가 조금 더 많고요. 경로인구가 팔백 이상. 노인들이 외롭지요. 우리 집은 좀 낫지만.

   그의 고향집은 그의 말대로 외로운 집은 아니란다. 아버지는 계시지 않으나, 동생이 결혼해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단다. 바로 이웃에는 종형도, 조금 건너 또 둘째 종형도 결혼해서 살고 있다. 모두 생업에 열중해 있다. 제법 화기애애한 가족이다. 그는 어떻게 그리 멀리 빠져나올 수가 있었을까? 왜 이제서 돌아가려는 것일까? 스무 살에 떠나와서 스무 해를 떠돌다가.

지금의 OO고등학교가 봉래종합고등학교였을 때, 그곳 아이들은 모두 외나로도 내에서 진학을 했다. 고등학교가 생겼으니 얼마나 다행인가. 집안일도 거들고 고등학교에도 가고. 그런 터에 그는 순천고로 진학하는 행운을 잡았다. 지금은 전교생이 50명도 안 되는 상황으로 학생들이 귀하지만, 봉래중은 6.25 후에 곧 개교한 유서 깊은 학교란다. 중학생 이순규가 유난히 수학에 두각을 나타냈으니, 시골에서 천재 났다는 소리를 들었다. 개천의 용은 합심해서 키우는 것이 시골 인심인지라, 교사와 학부모들이 힘을 합쳐서, 지역사회 전체가 힘을 합쳐서 일단 순천고 진학을 가능케 했다. 순고는 전국 어디에 비해서도 손색이 없는 고등학교이다 보니, 특히 수학을 잘하던 학생의 미래는 밝았다. 그가 고등학교 시절 조숙한 친구를 만난 탓에 공부는 철학이라고 방향을 돌려버린 것이 어쩌면 많은 이들에게 비극이 되었다. 그는 서울대 법대에 진학하는 기대를 충족시켜야할 사명과 의무를 저버렸다. 법대는 아무튼 고향의 소원이었다. 서울의 다른 괜찮은 대학 진학까지만 해도 모두에게 희망을 아직 남겨주는 일이었다. 그러나 법전을 파고들기도 전에 눈이 다른 곳을 향했고, 그는 배고픈 철학도가 되었다. 여전히 고향의 기대는 살아 있었다. 게다가 장학금으로 해외유학을 떠날 때는 고향은 다시 사그라지려던 꿈을 부풀렸다. 박사 공부라니! 박사가 되어 돌아올 고향의 아들. 교수직은 따 놓은 당상일 것이고. 바로 그 지점에서 꿈과 현실이 엇갈렸다. 이제 그 철학박사님이 낙향을 하시려 든다?

 

   마침 군 전체가 지역 내 사회단체와 더불어 ‘고흥사람은 고흥에서 살자’는 캠페인을 들고 나온 터요. 지역경제 활성화와 인구증가를 위해서라고. 인구를 늘리려면 우선.

   그렇겠다. 물론 그의 문제다. 난 가만 있었다.

   헤, 저 농담 잘 하잖아요. 맨 정신으로도. 아직 지칠 나인 아닌데, 어째 오순도순 사는 고향이 좀 그립더이다. 고흥. 뭘 아시요, 혹시?

   고흥 유자!

   아니 어떻게 그런 걸 다. 어쩌나 그런데, 그건 우리랑은, 우리 집이랑은 거리가 멀죠. 고흥 유자가 전국의 반에 반은 커버한대죠. 이천 가구 이상이 유자농에 종사하니까, 한집 건너 정도죠. 헌데 우린 아니어요. 우린 그냥 농사죠. 그냥 농사. 농군에게는 기회가 별로 없어요. 그것도 섬에서. 큰아버지랑 아버지랑 함께, 함께 그렇게 풍랑만나 그리되신 뒤로 우리 집에선 배타는 것도 금기고. 우리 형제들이 그러니까 겨우.

   그는 너무 멀리 갔다. 너무 깊이. 아무래도 그의 가족사를 들을 계제는 아니었다. 그래서 내가 말을 돌렸다.

   가만, 우애와 우정은 왜 다르게 쓰이게 되었을까요? 이샘은 우애와 우정 둘 다에 지극하신 편인가 봐요?

   왜 그 다음 애정이라고 묻지는 않나요? 우애와 우정 다음 애정은?

   와, 철학자의 궤변 앞에서 내 어찌 당하려고. 그만 둡니다. 이러다 없는 우정마저 떨어지겠어요.

   우정이라고요? 그럼 우정은 있다고?

   우정까지야. 우리 모두 피 마르는 동병상련에 동류항이라 느끼는 족속들 아녀요?

   동병상련.

   예, 뭐.

   동류항.

   …….

   동반자!

   오늘 그가 실제로 동반자를 구하고 있었는지 동반자 일반에 관해서 ‘설명’을 하고자 했는지는 조금 애매했다. 오늘은 애매했다. 그는 그러다 말고 아무튼 고향으로 향했다.

 

 

   누군가의 고향 집

 

   깊은 가을날에도 흐느적거리던 날씨가 오늘따라 저녁이 되자 급격히 추워졌다. 오뉴월 식혜처럼 변하는 것이 여자의 마음이 아니라 날씨다. 어떻게, 기승을 부리는 모기 소리가 아직 어딘가에 머무는데, 책상에서는 발이 시려온다. 이박과 함께 안주삼아 먹은 오뎅 국물과 떡볶이만으로 저녁을 셈 쳤더니 시장기인가. 시장기와 추위는 오면 함께 온다.

   밤이다. 춥고 배고픈 밤이다. 자판 위의 손이 덜덜거리기 시작했다. 말이 좀 안 되는 시간에 전화벨이 울렸다. 이번엔 마침내 그일까? 독일 또는 어딘가에서 전화를 하는 거라면 시간을 잘 못 맞출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화는 독일엔가 어딘가에 있을 그가 아니라 고향으로 간 이박으로부터였다.

  

   오늘 불쑥 여름난 중의 꼴로 미안했수다. 고향으로 향하다보면 회까닥해요, 제가.

   웬 중?

   아, 여름내 입은 후줄근한 중의적삼 말이요.

   그는 딴청이다.

   이 시간에 전화하시면 제가 방해받아 발끈하는 것 모르세요?

   아 발끈 하셨구나, 허 참.

   그럼 담에!

   아 잠깐만. 오늘 아님 나 말 못해요. 잠시만, 아니.

  

   술김에, 그러고도 마주보고 말할 용기가 모자라서 밤늦게 전화를 했나? 무슨 고백이라도? 그것은 어리석은 여자의 지극히 상식적인 추측이었다. 우린 사실 그럴 수 있을 사이가 전혀 아니었으니까.

   그가 말을 더듬거리는 동안 내 손은 점점 더 떨렸다. 몸도 떨렸다. 내가 기억하는 한 한 시간 넘게 간헐적으로 쏟아낸 내용은 그의 늘상의 화두 ‘배달민족’에 관한 것이었다. 이번에는 이론적 해박한 지식이 아니라, 실제 인물들에 관한. 그의 고향 집에 관한.

   우리 집엔, 사촌들까지 다 이웃해서 우리 집은 시골치고는 북적거린다고 그랬죠, 아까. 젊은이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간 시골이 아니라. 무슨 조화냐고요? 배달민족의 확장이랄까, 아주 새로운 대처방식이 먹혔던 셈입니다.

  새로운 대처방식이라뇨?

  에이, 다 아시면서.

  뭘 안다고 하셔요. 설마?

  설마 뭐요! 예, 설마요. 설마 중국, 필리핀, 베트남여자들 이야기냐고 물으시는 거라면 엄청 머리 좋으신 거예요. 종형들, 덩달아 제 동생도.

  

   이순규가 횡설수설 내뱉은 이야기들은 간단히 정리될 수 있다.

   종형이 불행을 씻고 40을 훌쩍 넘겨서 새장가를 들었다. 동네사람 모두가 축하할 일이었다. 다만 말씨가 이상하여 사람들이 수군거리게 될 때 쯤, 조선족 여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얼마 안 있어 그의 동생이 필리핀의 호기심 많은 간호사를 아내로 맞았다. 어학연수를 필리핀으로 간 것이 발단이었다. 정말 씩씩한 이 필리핀 댁 때문에 국제결혼에 대한 선입견이 금세 사라질 무렵, 둘째 종형 또한 베트남 색시를 맞게 되었다. 각각 이름도 없이 중국, 필리핀, 베트남으로 불리는 세 여자들은 일곱 째 아이를 기다리고 있고, 동네는 화목하고 떠들썩하다.

  

  고향 이야기들을 조금 더 자세한 버전으로 써둘 필요가 있지 싶다. 하도 길게 말한 내용을 단 몇 줄로 쓰는 것은 말한 사람에 대한 존중이 아니다.

  이순규는 어느 날 인천 공항으로 도착하는 종형을 마중 나가라는 고향의 전화에 많이 놀랐다. 외국 여행을 감행할 종형이 아니었으니까. 형은 혼자가 아니었다. 동행은 놀랍게도 씩씩해 보이는 젊은 여자였다. 네 종형 말이다, 공항에서 고향 가는 길 잘 돌보아 주거라! 하시던 어머니의 전갈이 무색했다. 왜 보살펴주어야 하는지? 인사를 건네자마자 이유를 알게 되었다.

 

   어, 형. 아, 축하합니다.

   어색한 인사를 나누고 고향으로 가는 금호고속 버스를 기다리는 시간은 다행히도 얼마 걸리지 않았다. 물론 고향까지 직행은 아니라 해도 거기선 문제없을 것이었다.

   공항에 혼자 남은 이순규.

   잇따라 시내로 들어오는 버스들은 정신없이 들이닥쳤다. 이태 전 금의환향처럼 귀국할 때의 힘찼던 발걸음이 생각나서 서글퍼졌다. 책으로 꽉 채운 기내가방으로 쩔쩔매면서도 발걸음은 사뿐했던 그 순간이 그리웠다. 현실은 곧 냉엄하게 닥쳤다. 기회는 희박했다. 그런데 이 공항을 통해 살러 들어오는 사람들도 있구나. 또 다른 희망을 안고.

얼른 정리가 안 되는 것이 종형의 반전이었다. 종형은 시골에서 동창생과 결혼한 행운아에 속했었다. 여자 동창생들은 숫자도 적었지만 왜 하나같이 외지로 나가서 게서 결혼들을 해버리는지. 종형과 중학교까지 함께 다닌 동창생이 종수가 되었을 때 젊은 사람들은 은근히 부러워들 했다. 상고를 나온 것도 아닌데 주판을 잘하고 똑똑해서 단위농협 사무실에서 일용직으로 일하는 똑똑한 아가씨였으니까. 홀어머니 모시고 연애도 한번 안하고. 사람들이 다 알아줄 만큼 착실한 아가씨가 종형과 오래 알고 지낸 친구였다가 마침내 혼인식을 올렸다. 당시에도 벌써 농촌 총각이 스물일곱에 제대로 장가드는 것은 드문 일이었다. 종형이야 면소재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는 별 야심 없이 주저앉아 그 나름대로 버거운 집안일을 도맡고 있었다. 그러다 단위농협에 드나들면서 영농 후계자 문제도 있고. 드물게나마 꾸준한 만남이 옛 우정을 결혼으로 이끌었을 신실한 젊은이들. 두 사람이 결혼을 했을 때 정말 예쁜 신혼부부였다. 정말 오랜 만에 동네 처녀가 동네에 남아 시집을 갔으니까.

 

   종형이 결혼했을 때는 서울올림픽에 대한 열광으로 온 나라가 들끓던 때였다. 이순규는 아직 고향에 있을 때였지만, 그 다음엔 곧 순천으로 진학했기 때문에 나머지는 모두 들은 이야기다.

   종형은 농협대학 진학을 고려하고 있었어요. 집안의 장손인데, 아이도 태어날 것인데, 아부지 노릇 잘하려면 조금은 더 배워야겄제, 그랬답니다. 종수님이 적극 권하기도 했고. 그때 농협대학에 농업조합학과 말고 농공기술과가 생긴다고 해서 좀 편하게 준비해도 된다 했었고. 그 사고 이후로 결국 다 깨어졌지만. 그러니까 그 사고라는 것이. 제가 어찌 자세히 안답니까. 맘 찢어지니 집안에서도 쉬쉬하는 것인걸. 만삭은 아니지만 아무튼 임신 후기에 시멘트로 된 바깥층계에서 실족한 것이 그만. 그렇게만 알죠. 고흥으로 나오다가 변을 당했다는 것 아녀요. 수술도 못해보고. 지금이야 바로 내나로도로 이어서 포두면으로 연육교들이 개통되어 있으니 일도 없지만요, 그땐 보건소 여직원이, 대개 간호사죠, 발을 동동 구르며 함께 이송 중이었지만 사람을 영 놓쳤다는 것 아닙니까. 종형의 인생이요? 더 말해서 뭐해요. 남들 장가도 안 든 나이에 상처라니, 것도 거의 두 생명을 함께.

   그러니 어떻게?

   전설이랑 같지요. 외나라도의 절경 중 하나인데, 곡두여 이야기 모르시죠. 당연히 모르시겠지요, 서울 양반이니.

   서울은 무슨, 저도 서울 촌사람이죠.

   곡두여 전설이 그냥 전설이 아니라요. 그곳 바다 밑이 고르지 않아서 지금도 비바람 모진 날에는 위험하죠. 가끔 항해주의보가 떠요. 그러니까 바닷길 건너 시집 장가가다 풍랑 만나서 빠져죽은 신랑신부의 원혼이죠. 거기 신부가 탄 가마가 벌러덩 누워있는 형상의 작은 섬, 그 반대로 뾰쪽하니 솟아 신랑을 상징하는 또 하나의 섬, 암튼 두 개의 무인도이지요. 거기 도시에서 낚시꾼들이 찾아들곤 하는데, 강성돔인가 그런 것 철 따라 잘들 온다는군요, 그런 낚시꾼들이랑 어울리지 않으려고 이상한 곳으로 낚시만 다녀서 큰어머니 애간장 좀 녹였었나 봅디다. 그러기를 십년 넘어, 그래요, 근 십오 년, 겨우 마음을 잡고 생전에 종수씨가 권했던 농협대학 일로 알아보려고 서울에 갔다가.

   그러니까 서울서 만난 조선족이었군요. 결혼소개소가 아니라?

   그게 마찬가지요. 둘이가 서로 결혼이 필요한 사람들이었으니까.

   누군들 필요에 의해서 결혼을 하지, 안 그런가요?

   아니, 종형은 재혼 권유에 시달리고 있었고, 지금 종수가 된 조선족아가씨는 한국 사람과의 결혼이 꼭 필요했겠죠. 하북성 천진에서라던가, 사촌언니 한 사람이 암튼 중국 업체와 한국 무역상들을 연계하는 가이드로 일하면서 꽤 잘나가는 또순이였던 모양입디다. 그런 걸 괜히 한국 무역상들이 바람을 넣어가지고 한국으로 왔는데. 중국어 하나로 충분했던 사업이 한국에 오니까 조금 달랐겠지요, 한국어도 배워야 했고, 그래도 다시 돌아가기에는 한국물이 좀 들었겠어요? 양고기 구이 식당을 낸 언니는 사촌동생을 어찌어찌 초청해 와서 데리고 있는데, 이 동생은 장사 체질이 아니라 힘들어 하고. 암튼 종형 입장에서는 초혼도 아닌데, 결혼이 필요하다는 사람하고 결혼해보자, 뭐 그런 심정이었다고 해요. 그런데 조선족도 민족은 같으니까 국제결혼은 아니다 싶기도 하고. 예상 밖으로 튼실한 사람이었던 거죠. 서울에서도 북쪽에서 만나서 한반도 남쪽 끝까지 따라나선 걸 보면, 그리고 지금 이렇게 살아낸 걸 보면. 서울에, 그러니까 고양시에 사촌이 살고 있는 것도 어찌 보면 위안이겠죠. 어쨌거나 한국에 혈혈단신 시집오는 동남아 등지의 여성에 비하면.

   지금 무슨 이야기를 하는 거예요?

   그러니까 일산에 올라갔던 길이라지요, 삼송역인가 무슨 역에서 갈아탈 버스를 잘 못 타서, 몇 정거장 다음에 분명 농협대학이 나와야 하는데, 한참을 가도 안 나오니까 두리번거리던 참이었나 봐요. 그러다가 ‘필리핀참전비’라는 생전 들어보지 못한 정류장 말이 들려서 무조건 내렸더래요. 농협대학 길이 아니니까 일단 빨리 내리려고. 거기 그 이상한 지명에 내려서 두리번거리고 있는데…….

   그만 하세요, 슬쩍 무서워지는데요. 으슬으슬 비 내리는 오후는 아니었겠지요?

   왜 아뇨. 암튼 처녀 한 사람이 달랑 눈에 뜨여서 길을 물으려고. 그런데 그 처녀가 잽싸게 어떤 식당으로 들어가더래요, 혼자서. 종형의 입장에서는 혼자서 식당으로 들어가는 처녀도 이상하려니와 간판에 양고기라 적힌 것이 희한해서 자기도 모르게 따라 들어 갔더라나. 자세히는 모르죠. 암튼 그 조선족 처녀가 종수가 되었으니.

   그럼 농협대학은 그대로 잠잠해졌고요?

   예, 아무래도 종형은 학교하고는. 허나 이번엔 행운의 기회가 된 거죠. 자세한 건 몰라요. 우리 집 남자들 내력이기도 하고, 뭔 말을 안 하지요. 누군들 속내를 아나요. 지금은 묵묵히 가업을 이어가죠. 아이들이 줄줄이 태어났죠. 종수네 친정엔 딸들만 줄줄이 있었다는데, 그래서 슬펐고, 종수는 아들을 먼저 낳아서 겁 없이 아이들을 낳았더래요. 애들 씩씩하게 낳아서 씩씩하게 기르고, 씩씩하게 일하고, 무서운 것이 없다느만요. 흔히 말하는 결혼이민자의 문제 같은 건.

   웬 사설을 오늘 이렇게.

   한샘, 좀 들어 봐요. 우리 배달민족의 역사가 한정 없어요. 그러던 차, 내 동생 놈이 말이오, 내가 서들어 필리핀으로 연수를 보내놓았더니.

   설마, 이번에도?

   예. 이 녀석이 군대를 연기하고 또 연기하고 그러다가 졸업을 딱 한 학기 남겨 놓고 군대를 간 거예요. 군대를 마치고는 명색은 짝 학기 복학하면 취업문제가 복잡하다는 핑계인데, 복학을 안 하고 놀고 있는 거예요. 서울에 데리고 있을 처지도 아니고, 강의 맡기 시작한 첫해인데 고시방 생활일 때라. 그래도 형이 대학 강사인데 싶어서 필리핀으로 단기 연수를 보냈죠, 그랬더니…….

   아, 이번에도 결혼정보회사 그건 아니네요 뭐.

   그게 그리 다른 건 아닙니다. 국제결혼은 국제결혼이에요. 피가 섞이는 겁니다. 아무튼 거기 병원에서 간호대학 실습생을 만났다는데, 어떻게 가톨릭 신자라더군요. 필리핀에 가톨릭 신자가 많다고는 들었지만, 우리 선입견으로는 우리만 못한 곳 아닌가요. 그런데 참 개화된 여성이죠, 동생이 한국에 돌아와 복학해서 나머지 한 한기 마치고도 계속 공무원 시험 준비를 하고 있는 동안 이 필리핀 처녀가 한국으로 쫒아 온 겁니다. 그렇게 개방된 곳이 필리핀이더라고요. 그곳은 흔히 국제결혼 때 신부집에 주는 거금을 요구하는 부모들도 없고, 딸만 행복하면 된다는 식이라더군요. 모르죠, 그 집만 그랬는지. 결혼 후에 이곳 간호사 자격을 받았는지 아닌지는 잘 몰라도, 아무튼 보건소에서 보조원으로 일도 하고, 우리말도 엄청 잘 한다네요,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강사노릇도 한다니 뭐. 면에서 일주일에 한 번 하는 무료강의이지만, 듣는 사람이 무료고, 강사료는 제법 받는대요. 큰어머니가 자랑삼아 하시는 말씀 얼핏 들으니, 우리들 강의료나 별반 차이가 없어요.

   설마.

   대학 강의료가 어디 문화원 같은데 강의료만 못하기도 하니까요. 비문해자 대상 국어강의 같은 것들. 우리들 상태라고 하는 것이 사업소득세를 납부하는 소득자이면서 방문판매자나 우유배달인과 동급의 자영업자죠.

   설마 자영업?

   한탄할 것 없소이다, 자영업이죠, 교육자로 분류되고 싶으시다? 알아서 하시지요. 오늘은 제 이야기 좀 들어주시라니까.  동반자 구함.

   동반자?

   아니, 종형이나 암튼 고향 식구들 이야기요. 종수씨나 제수씨가 그렇게 행운을 가져오니, 마을 사람들은 단번에 국제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우려를 걷어냈죠. 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도 잘 살고 있는 국제결혼 짝들 이야기가 매주 나오고 그러잖아요. 우리 동네에선 아주 다 같이 반기는 프로그램이 되었답니다. 전에 일용엄니 나오는 프로그램 마냥.

   전원일기요?

   그게 무슨 전원이라요! 전원이라고 하면 어디 그냥 단어 그대로 논과 밭이라는 뜻으로 들리나요? 비록 청빈하다 할지라도 한가롭고 어딘지 낭만이 묻어나잖아요? 실제 논두렁 밭두렁 사이의 삶은 전원과는 별개요. 말 그래도 흙탕이지, 두엄 속, 아니 그 보다도 못한 화학비료와 싸한 농약냄새. 어머니들은, 아니 여자들은 향기가 따로 없지요. 향기는커녕 형태도 없지만요.

   형태가 없다뇨?

   형태가 없지 그럼. 농어촌 여자들이 형태가 있소? 킬힐은 아니더라도 일단 굽이 있는 신발에 달라붙은 내복 같은 걸로 다리를 가리면 형태가 쫘악 나오질 않소. 농어촌 여자 누가 굽이 있는 신발을 신는단 말이오. 그러니 여자는 아니지요.

이샘, 참 이상한 분이시네. 기껏 고향 이야기라서 참고 있었더니, 여자들 킬힐 이야기시라면.

   아, 물론 죄송합니다. 헌데 고향 여자들도 여자들인데, 여자들 이야기를 할라치면 하이힐은 빼고서는 어찌. 단도직입적으로 여자는 하이힐에서 탄생된다 이거 아닙니까!

   치우세요, 그만. 이샘과 여자들 형태 이야기를 할 군번은 아니외다.

 

   이 사람이! 하고 전화를 끊으려다, 우선 그러고 있었다. 그런데 숨을 죽이고 듣고 있으려니 수화기를 놓은 줄 아는 모양이다. 한참 타령인데, 이쪽에서 듣고 있으리라고는 전혀 생각지 않는 어조다. 에이, 한금실, 이렇게 쌀쌀 맞으면 내가 어떻게…….

   그쯤에서 정말로 수화기를 내려놓았다. 그리고는 살짝 후회했다. 내가 어떻게…… 다음을 들어둘 걸 그랬나 싶어졌기 때문이다. 어쩜 그 다음을 속단했는지도 모르겠다. 그 순간에 필시 이 사람이 내게 조금 기대려는가 하는 생각을 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돌아서면서 생각하니까 다만 이야기를 계속할 사람이 없어져서 답답했을 수도 있겠다 싶었다. 누구라도 한번 빗장을 열면 그 속의 전부를 털어내고픈 순간이 있지 않겠는가. 정말 뜨거운 물이라도 마셔야 잠을 청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런데 다시 전화벨이 울렸다.

   왜요, 한샘! 왜 하루 저녁 전화를 못 받아주시는 거죠?

   아예 시비조에 가까워졌다. 이번에는 정말 수화기를 내려놓든지 해야 할 터인데, 나는 가만있었다. 하고 싶은 말은 해버려야 한다, 누구라도.

   이샘, 또 웬일이세요. 아직 이야기가 남았어요?

   예, 아직. 아까 말처럼 종수씨와 제수씨가 잘 살아주니까.

   그럼 좋은 일이겠죠.

   아니, 그게 다가 아니라, 둘째 종형이 마저. 마저 국결을 선택한 겁니다, 이번에는 결혼정보회사를 통해서. 그게 그리 무서울 것이 아니니까요. 헌데 그냥 조선족이나 필리핀 누구 하나를 더 알아보든지 할 것을. 첨엔 그리도 생각했던 모양입니다. 그런데 어느 한쪽이 두 사람이 되면 저울이 안 맞다고.

   저울?

   아, 그게 어느 한쪽으로 기울면 혼자인 사람이 더 외롭다고. 그러니까 조선족 둘, 필리핀 하나, 그렇게 되어도 그렇고, 그 반대도 그렇고. 그러니 공평하게 다른 나라 사람으로 결혼정보회사를 찾았답니다. 그렇게 해서 베트남 아가씨가 시집을 왔다는 말입니다, 그러니 동네사람들이 사람 이름을 부를 생각은 않고 중국, 필리핀, 베트남 그렇게 부르는 것이오. 시집온 순서대로, 결과적으로 나이대로. 그런데 베트남이…….

 

 

   이름

 

   아닌 밤중에 이순규가 토해내는 이야기는 종잡을 수 없었다. 그나마 내가 이해한대로 정리해 두고 싶다. 그가 무슨 이야기를 했는지 그 핵심은 정리해 놓은 이야기를 다시 읽어보면 알게 되지 않겠는가. 아무튼 베트남 신부의 경우를 이야기할 때쯤엔 이야기하기가 좀 힘들었었던 모양이다. 이야기가 자꾸 끊어졌고, 그것은 그가 전화 저편에서 소주잔을 홀짝거리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했다.

 

   베트남 신부가 시집을 올 때에는 결혼정보회사에서는 이름을 제대로 부르는 것조차 가르쳐주지 않았다. 응우엔 티 탄죽 - 그렇게 써서 혼인신고를 마쳤지만, 어느 것이 성인지도 몰랐다. 나중에 응우엔이 성이고 나머지가 이름이라 해서, 티 탄죽이라고 불렀는데 그게 아니고 탄죽이면 되는 모양이었다. 티는 여자이름이라는 뜻으로, 누구에게나 붙어있는 이름이라 했다.  그러니까 그냥 탄죽.

   탄죽이 뭐냐. 그 여동생 이름이 죽느안인 걸 감안하면 그보다는 나은지 모르겠지만, 탄죽이라니. 왜 트엉, 완 또는 람 등으로 소설이나 영화에서 나오는 이름도 아니고. 하필 탄죽? 죽이 타면 뭐가 될까?

   아무튼 탄죽은 그나마 이름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하긴 손위 동서도 사람들이 이름을 무시했다. 명화는 분명 한국식 이름이었고, 조선족인 그녀를 굳이 중국식 발음인 밍화라 부를 필요가 없는 데에도 그랬다. 아무도 이름을 부르지 않고 그저 ‘중국’이 이름이었다. 탄죽의 이름은 ‘베트남’일 뿐. 그녀들은 그냥 중국, 필리핀, 베트남이 이름이었다. 그리고 그 베트남이 무척 힘들었다는 이야기였다. 겉보기엔 조용했더라도. 조용하더라도.

   베트남은 무엇보다 나이가 어렸고, 어린 사람은 확실히 의지보다는 감정이 성하다는 것이 드러났단다. 외로움을 타고, 다른 여자들, 중국과 필리핀에 비해 말 수가 너무 없었다. 문제를 일으킨 것은 아니었다. 베트남으로 전화를 해대지도 않았고, 베트남의 어머니를 초청하겠다고 조르지도 않았다. 아버지는 아주 어려서 떠나버렸단다. 베트남도 남자가 가정을 버리고 다른 여자와 살림을 차릴 수 있는 나라인가? 아무튼 어머니뿐이었고, 어머니는 여행할 형편이 아니었다. 그러니까 지병을 얻은 어머니의 병원비만 송금하면 그것으로 참았다. 어머니가 걱정이겠지만 고향에 가고 싶어 하는 내색도 없었다. 다만 갑자기 겉늙은 아주머니 꼴이 되어가는 것이 이상했다.

   어메, 베트남은 밥도 안 묵나? 한국 음석이 안 받는당가?

   어메, 베트남은 언제 애기 갖는당가?

   참말로, 살이 좀 붙어야 애도 서는 거인디. 애가 생겨야 확실히 살겄제.

   확실히 살다니? 젊은 새댁이 아이가 얼른 생기지도 않자 불쑥 의심들도 튀어나왔단다. 아주머니 몰골인데 미숙아 같은 것. 미숙아 상태에서 아주머니가 된 듯. 형님네가 낳아놓은 세 아이들, 그리고 한 해 전에 결혼한 사촌동서가 연년생으로 낳은 두 아이들 틈에서 베트남은 그냥 덜 자라고 늙어버린 아이 같았다. 아이들은 앞집으로 뒷집으로 깔깔거리고 다녔고, 형님과 동서는 아이들 따라 소리 지르며 달려 다니며 부산했다. 소리를 다 알아듣지 못하는 그녀는 머릿속이 윙윙거렸다. 아무도 그러는 줄 몰랐다.

   탄죽이 시집왔을 때 사람들은 외톨이 외국인이 아니라서 쉽게 적응하리라 생각했지만, 그녀 자신은 오히려 힘들었다는 것. 집안사람들이나 동네 사람들이 아무래도 별로 배려를 하지 않았다는 것. 왜 다들 알아서 잘 적응하고 사는 조선족 며느리와 필리핀 며느리를 봐왔기 때문에, 무엇이 어려운지, 심지어 말을 잘 못하는 것조차 고려를 하지 않았다는 것.

   그리 살이 오른 것은 아니었지만 드디어 아기 소식이 생겼다. 삼 년이 지날 무렵이었다. 엄마보다 더 까무잡잡한 여자아기가 태어났다. 웃음기 가득한 실눈인 아버지를 닮아서 눈이 퀭한 엄마 모습은 없었다. 퀭한 눈에는 실망의 빛이 어른거렸다. 아들을 원했을까? 사람들이 아들을 원한다는 것을 느꼈기 때문에 아들을 원했을까? 그래서 지금 둘째 아이를 기다리고 있다. 자식 사랑이 애틋한 것이 베트남 사람이라고 하니, 아들이고 딸이고 더 바랄 것이다. 더구나 형제자매가 단출했던 서러움으로 아이를 더 많이 원할 것이다. 죽느안, 그 여동생 하나가 어머니 곁에서 병든 어머니를 보살피고 있을 뿐이니까. 어쩌면 형제자매들이 많았다면 한국에 시집올 생각을 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한국으로 시집오는 것은 결정적으로 어머니의 병원비 때문이었으니까. 안쓰럽게도.

   그러면 정말 심청이 인당수에 빠지는 심정이었겠지. 너무 흔한 비유다, 사실은. 얼마나 많은 인접국가의 여자들이 이곳 한국의 농촌이라는 인당수에 몸을 던지는가? 농촌에는 용왕이란 없는데.

  

   나는 교양한국어 강의에서 만나는 외국학생들의 얼굴에서 청운의 뜻만 읽었다. 체류외국인이 140만을 넘어선 지금의 한국 땅. 여기에 얼마나 많은 심청이들이 살아가고 있을까. 또 얼마나 많은 부모가 한국으로 흘러들어 고국의 자녀들을 부양하고 있을까. 만주의 조선족들의 경우 절반도 넘는 가정에서 사람들이 한국으로 떠나와 있다고 한다. 떠난 한쪽 부모가 결국 한국의 양풍에 젖다보니…… 불륜에 이혼에, 남겨진 아이들은 어머니를 그리며 고모나 이모집으로 떠돌다 결국 기숙사 학교로 보내지고. 부모들이 떠나는 경우보다는 명화 씨처럼 처녀가 한국에 시집오는 경우가 훨씬 바람직하다. 조선족 형님에 비해, 용감한 필리핀 동서에 비해, 베트남 사람 탄죽의 경우는 사뭇 다른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말이 우선 서툴렀으니.

   그런데 말을 잘 못하는 것도 고려를 하지 않았다?

   무슨 뜻인가 들어보았더니, 별로 말을 걸지도 않았다는 말이었다. 그의 고향 사람들이 원래도 여자이름을 그리 챙겨서 부르는 습성이 아닌 탓도 있었을 것이란다. 시집온 새색시에게는 새댁이라면 통하고, 동네에 새댁이 겹쳐 들어오면 아무개네 새댁이라고 하면 그만이다. 아이를 낳으면 여자들 이름은 아예 아이엄마이니까. 이제는 딸아이의 이름 따라 진주엄마다.

 

   그거야 이순규네 고향만 그러는 건 아니다. 한국 어딜 가도 맞대놓고 사람 이름 부르는 일이 적다. 어릴 적 기억을 해 봐도 어머니조차 ‘금실아’ 하고 이름을 많이 불러주진 않았던 것 같다.

   울 애기, 잘 다녀왔어?

   아가, 너 그렇게 꽁하면 못쓴다.

   다른 사람들에게 내 말을 하실 적에도 그랬다. ‘우리 금실이가’ 라고 하는 대신에 ‘우리 큰애는’ 이라고 하실 때가 대부분이었다. 학교에 가서야 이름 석 자로 불렸다. 한금실. 발음 때문에 황금실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어려선 그런 뜻인 줄 알았다. 금실. 금빛이 나는 실. 그런데 한자로 쓰면 달라진다. 금으로 된 방, 최고로 좋은 방이다. 동생들이 줄줄이 은실과 옥실이다. 그 다음에도 여동생이 있었으면 어떤 이름이었을까. 설마 청실홍실이었을까. 그보다 어차피 시집가면 시댁 성씨 따라 김실이 박실이 등으로 불릴 우리들에게 왜 미리 ‘실’자를 붙여 이름을 지으셨을까? 나는 금씨에게 동생들은 은씨 옥씨에게 시집을 간다면 이름이 그대로 살 수 있었을 것이다. 나는 시집을 안가서 여전히 금실인데, 둘째 은실이는 김실이 되었다. 금실이 김실이 소리가 헷갈릴 즈음해서 나는 한박사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이 한박사라고 불렀기 때문이다. 한박사가 대단해서가 아니라 김실이 우세해서다. 그 대신 은실인 사라졌다.

 

 

   한박사

 

   나는 한박사라 불리자마자 곧 하현달로 접어들었다. 초승달에서 반달까지, 그 반달에서 보름달까지는 누구나처럼 꽃피어나는 시기이다. 내게도 화려하지는 않으나 어쨌거나 한 작은 꽃에 비유하더라도 괜찮을 시절이 있었을 것이다. 굳이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라고 읊지 않더라도, 꽃 한 송이는 많은 눈물겨운 양분들로 피어난다.

   그 나름대로 힘든 세월에 대한 대가가 박사라는 이름이면 나쁠 것이 없었다. 그러다 그것 또한 한쪽의 시각이란 것을 깨달았다. 한번은 모교에서 정반대 편 다른 대학까지 급히 택시를 타고 가야할 일이 생겼다. 그때 운전기사의 질문이 삐딱하게 나왔다.

   거, 학생은 아니시겄고, 강사요 교수요?

   아니, 그거야.

   아, 거 강사든 교수든 하니까 대학교에서 대학교까지 택시를 탈 것 아니요! 그러니까 외국서들 박사까정 해 오시고. 이런 말 좀 뭐 하지만서도, 그런데 우린 영 맘에 안든 것이 있거덩요. 내가 지금 한국 들어온 것은 얼마 안 되고, 배를 타던 사람 아니오. 원양선박 말이오. 안 돌아다녀 본 데가 없는데 그게 참. 한국선원들이 항구에 내리면, 어딜 가나 한국여자들이 나온단 말이오. 그런데 니스 항에서는 - 그 말을 듣는 나는 얼마나 놀랐었던가, 하필 프랑스라니 - 놀라운 세상입디다. 그때 나온 야무진 여자가 하는 말이, 자긴 원래 그런 여자가 아니라 유학생이라요. 내 그 말에 더욱 놀랐거덩요. 아니 그런 데 돈 벌라고 내놓고 나간 여자라믄 그렇다 치지, 한국서 나갈 때는 유학갑네 해 놓고서 그런 델 나오니, 거기 놈들하고는 그런 짓 안 하겄소 어디. 유학 가서 박사 따왔다 하면 누가 그런 상상이나 하겄소. 내 딸은 절대 유학 못 보낸다! 우리 다들 그러고 왔거덩요.

   아니 뭐 그런 심한 말씀을.

   그러다 운 좋게 거기 놈 꼬셔서 박사 대충 해가지고 나오는지 누가 알겄소.

   그게 그리 만만한 일은 아녀요. 하다가 중도에 포기하고 바닥으로 떨어질 수도, 사람이니까. 아니, 그보다 그 유학생입네 했다는 사람이 정말 유학생인지 기사님이 아셔요? 아무도 모를 일이죠. 괜스레 죽어라 공부하는 유학생들…….

아, 거야 그렇지요. 그런데 그 여자 똑똑한 폼이 유학생 맞아보였어요. 프랑스말로 거기 사람들이랑 똑같이 야무지게 허덩걸요. 박사 아니라 뭔가라도 헐만 헌 여자여서.

   그렇다고 그리 다 뭉뚱그려서 말씀하시면.

   그냥 말이 그렇다 그 말이요. 한국 돌아와서 박사님! 소릴 듣고 있을 사람 중에 행여라도…….

   그런 걱정일랑 마셔요. 그렇게 한가하게 돈 벌어가면서 할 수 있는 것이 공부가 아니니까요.

   허긴, 그런 사람이 박사 따기까지야 허겄소만.

  

   그래도 그런 엉뚱한 험담까지 들어가며 이 대학 저 대학을 오가던 시절이 행복한 만월의 시절인 것을 그땐 몰랐다. 조금 있으면 전임이 되어, 아니 강사 경력을 인정받으면 바로 조교수에 임용이 되어서……. 정말 보름달 같은 세월을 누릴 것으로 알았다. 그러니까 누구도 자신이 자신의 생에서 보름달에 와 있다는 것을 모른다. 보름달에 이른 적이 없다고 말할 수도 있으나 그 나름대로 보름달인 것이다, 한 번은. 짧게라도. 내 경우는 해외파 박사로 귀국하여 안정적인 미래를 바라보며 내가 아는 모든 것을 쏟아내어 강의를 준비했던 그 시절. 밤이면 얼마나 정성스럽게 강의안을 준비했던가. 50분이면 50분, 75분이면 75분을 단 일이 분도 허투루 보내지 않기 위해서. 뚝배기보다 장맛이 좋다는 것은 옛말이다. 50분 강의면 낙타 등은 하나면 된다. 75분의 경우에는 쌍봉낙타의 등을 그린다. 하나의 초점으로는 지루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열심히 전공강의를 준비할 수 있었던 시절은 갔다. 나는 물론 다른 강의를 시작했다. 걸음마 단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이것이 다른 보름달을 그릴 수 있을지는 완전히 미지수다. 거의 불가능이다. 이것도 비정규직이니까. 언제라도 그쳐야 할. 그러므로 보름달일 수 있는 시절은 갔다.

   그런 나날 가운데 우리가 그냥 서로 편하게 이박이라고 부르던 이순규는 실로 엉뚱한 하루를 선사했다. 말이 통하지 않아도 따뜻한 가정을 꾸린 형제들이 부러운 사람. 우린 말은 통했을까. 둘 다 멋모르고 죽어라 공부했고, 설 곳이 마땅찮은 어중간한 세대로서.

   이런 현상은 시쳇말로 글로벌한 듯, 유럽 어느 작가는 이를 ‘연구직 세대’라 부르며 그들의 비애를 소설로 써냈다. 많이 읽혔다. 『서른 살 제시카』인가 『예시카』인가…… 이름이 중요할 리는 없다. 한 마디로 좋은 학벌에 최고의 능력을 지녔고, 게다가 잘 빠진 서른 살 독신녀의 이야기. 그러고도 무보수나 작은 보수로 불확실한 직업에 종사해야 하는 젊은이들. 우리 사회의 스터디 룸펜족은 넘어섰을까. ‘고급두뇌 비정규직’과 비슷한 개념이다. 나라를 불문하고 인문사회학 분야에서는 이러한 연구직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정식으로 취업되기가 어렵다. 주인공은 문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여성주의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마쳤다. 대도시의 원룸에 살면서 자원 형식으로 여성신문에 <섹스와 유행>이라는 테마의 기고를 연재하고 있다. 전통적인 표상으로는 벌써 가족을 꾸렸어야 할 나이이지만, 학위와 실습에 외국여행 경험까지 두루 갖춘 그녀가 경제적으로는 부모에 의존하고 있다. 신자유주의가 만들어 놓은 전형적인 실패자 모습. 이 젊고 예쁜 여자는 교육의 결과로서의 확고한 지성의 소유자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독신의 일상이 주는 통속성에 굴한다. 이상적 몸매를 잃을까 걱정하는 피트니광이고, 유행을 따르는 경박함에, 마스카라를 떡칠하는 여자.

   그래, 나는 적어도 마스카라를 떡칠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몇 년을 기다려 전임자리가 났을 때 마스카라를 떡칠한 후배에게 덜컥 고배를 마셨다. 이 나라에선 마스카라가 통하는 것일까. 아니, 그것 때문이 아니다. 유연성 없는 답답한 내 좁은 소견이 나를 제자리걸음하게 하는 것이리라. 전임 경쟁에서 밀려 모교를 떠난 이후로도 제자리걸음은 여전하다. 아니 거의 후퇴의 지경 아닌가. 해마다 신진 박사들로 넘쳐나는 세상에서 강의시간 지키기도 어려운 형편이니. 내가 누군가의 메모 쪽지들에 붙들려 그것을 소설화 하려고 고심했던 일도 결국 또 한 번의 자발적 후퇴인지도 몰랐다. 그 일을 마치 과제인 것처럼, 아니 나의 절대적 과업인 것처럼 착각하는 동안 제법 치열한 작업에 바깥 세월을 잊었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어떤 작업을 마치거나 내 화면은 늘 바닥으로 돌아간다. 배승한의 메모들. 그에게서 더 이상 소식이 없는 지금 자판을 두드리는 내 손가락은 멈춰버렸다. 하지만 폐부는커녕 머리에서도 나오지 않은 글을 어찌 쓴단 말인가.

 

*

 

   마치 외도처럼 일기를 한 장 쓰는 데 실은 한 달이 넘었다. 그러니까 일기가 아니다. 다만 정확성에 더해서 글의 리듬감과 독창성을 꾀한답시고 이 파일을 완성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해를 넘길 수는 없다. 섣달그믐에는 이 파일을 닫으려고 한다.

   또 하나 열려있던 화면에는 아직 김용택의 시들이 떠 있다.

   밥풀 같은 눈이 내립니다. / 빈 들판 가득 내립니다 / 그러나 나는 아직도 / 당신으로밖에는 채울 수 없는 / 하얀 빈 들을 거머쥐고 서서 / 배고파 웁니다.

  

   빈 들 - 빈 화면이 오버랩된다.

   실제로 눈이 내릴 겨울이지만, 근래에 눈을 본 적이 없다. 베란다 쪽 삐걱대는 유리문을 칸칸이 창호지로 발라 버렸기 때문이다. 세탁기와 가스레인지가 한꺼번에 들어있는 그곳을 통해 세상으로 향하고 싶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그 너머 창밖이 보일 리가 없다. 희멀건 빛으로 또 하나의 새벽이 밝아오는 것을 느낄 뿐이다.

 

...........................................

「일기」『가로 사람 세로 인간』, 한국작가교수회, 2013, 29-57쪽

 

* 투고에서 출간까지 좀 시간이 걸렸다.

Posted by 서용좌
사사로이2013. 1. 9. 21:46

 

새해 계획이라면 입을거리를 사지 않으려고.......

 

살아온 세월만큼 뭔가 쌓여있다.

해서날 입었다가 망각 속에 빠져버린 스웨터를

꺼내어 약간 고쳐보았다.

코트를 벗게 되면 입고 외출한 생각이다.

 

 

 

 

 

다른 사람들의 시선에서 자유롭기 -

이것도 하나의 방침이다.

새로운 것은 아니나 다시 되새기는 방침.

 

 

 

 

 

 

'사사로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빈이 음악학원 발표회 2013 봄  (0) 2013.04.21
2013 생일에  (1) 2013.02.03
재호 하는 일  (0) 2012.10.28
아홉살 우빈이가  (0) 2012.08.14
안녕!  (0) 2012.07.19
Posted by 서용좌
독문학2013. 1. 9. 21:31

손잡이 없는 찻잔의 운명

 

 - 하인리히 뵐

 

  이 순간 나는 창문턱 밖에 서서 천천히 눈으로 뒤덮이고 있다. 지푸라기 대롱은 비눗물 속에 얼어붙어 있고, 참새들은 내 주변을 이리저리 뛰어다니고 있다. 사람들이 흩뿌려준 빵 부스러기를 놓고 싸우는 거친 새들, 나는 내 목숨 걱정에 떨지 않을 수 없다, 이미 늘 떨어야 했었지만. 이 살찐 참새들 중의 하나가 나를 밀쳐 넘어뜨리기라도 한다면, 나는 창턱에서부터 아래의 콘크리트바닥으로 떨어져 - 비눗물은 얼어붙은 타원형 뭔가로 남겠고, 지푸라기는 꺾이고 - 내 조각들은 쓰레기통에 버려지게 될 것이다.

 

  그저 맥이 빠져서 나는 뿌옇게 변한 창유리를 통해서 크리스마스트리의 불빛들이 가물거리는 것을 보고 있다. 안에서 부르는 노래를 겨우 나직이 듣고 있다. 참새의 야단법석 소리가 모든 소리를 뒤덮고 만다.

 

  물론 안에 있는 저들 누구도 내가 정확하게 스물다섯 해 전에 크리스마스트리 아래에서 태어났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스물다섯 살이라는 것이 단순한 커피 잔의 나이로는 대단한 나이임도 알지 못한다. 우리들 종족의 피조물들이라 하여도 한 번도 사용되지 않고 유리진열장 속에서 그저 가물거리고 있는 놈들은 우리들 수수한 찻잔들보다는 엄청 오래 산다. 아무튼 내가 확신하건대 우리 가계에서는 단 하나도 더 살아남지 못했다. 양친, 형제자매들, 심지어 내 자식들도 이미 오래 전에 죽었는데, 그 반면에 나는 함부르크의 창틀위에서 야단법석을 떠는 참새들을 동무삼아 내 스물다섯 살 생일을 보내야 한다.

 

  우리 아버지는 케이크 접시였고 우리 어머니는 귀한 버터 통이었다. 내겐 형제자매가 다섯으로, 찻잔이 둘, 받침접시가 셋이었다. 허나 우리 가족은 겨우 몇 주간 함께 지낼 수 있었을 뿐이었다. 대부분의 찻잔이라는 게 어려서 갑자기 죽는다. 그러다 보니 내 두 형제와 사랑하는 누이 하나는 벌써 두 번째 크리스마스 날 식탁에서 깨져 버렸다. 곧 이어 우리는 사랑하는 아버지와도 헤어져야 했다. 받침접시인 내 누이 조세피네와 함께 어머니를 동반하고서 우리는 남쪽으로 여행을 떠났다. 신문지에 둘둘 말려서 잠옷과 때밀이 수건 사이에서 우리는 로마까지 갔다. 거기서 우리 주인어른의 아들, 고고학 공부에 매진하고 있는 아들에게 봉사하게 된 것이다.

이 생애의 시기는 - 나는 나의 로마시절이라고 말하곤 하는데 - 내게 흥미진진했다.

 

  우선 율리우스가 - 그 학생의 이름이 율리우스였다. - 날마다 나를 카라칼라욕장, 그러니까 거대한 공중목욕탕의 잔훼로 데리고 나갔다. 그곳에서 나는 나와 내 주인을 일터로 늘 동반했던 보온병과 곧 친구가 되었다. 그 보온병은 훌다라는 이름이었고, 율리우스가 삽을 들고 작업을 하는 동안 우리는 몇 시간이고 풀 속에 함께 누어 있곤 했다. 나는 나중에 훌다와 사랑에 빠져서 로마시절 두 해째에 그녀와 결혼했다. 물론 내가 보온병과 결혼하는 것이 체면이 깎이는 일이라고 생각했던 어머니로부터 비난을 들어야 했지만. 어머니는 참으로 기이했다. 어머니는 자신이 담배통으로 쓰인다는 사실 때문에 모욕감을 느꼈는데, 그것은 누이 요제피네가 재떨이로 강등된 것에 대해 극도의 모멸감을 느낀 것과 비슷했다.

 

  나는 아내 훌다와 몇 달을 행복하게 살았다. 우리는 함께 모든 것을 배웠다, 율리우스가 배우는 것들 말이다. 아우구스투스 영묘, 아피아 가도, 포로 로마노 - 그러나 그중 마지막 것은 내게 슬픈 추억으로 남았다. 거기에서 내 사랑하는 아내 훌다가 로마의 불량소년이 던지 돌팔매에 맞아 깨어져버렸기 때문이다. 훌다는 비너스 여신상에서 나온 주먹만 한 돌멩이 조각으로 인해 죽어버렸다.

 

  계속해서 내 생각을 따라올 마음이 있는 독자님 - 손잡이 없는 찻잔에게도 고통과 생의 지혜가 있음을 시인해줄 마음이 있는 독자님에게라면 나는 참새들이 벌써 빵부스러기들을 쪼아 먹어 버렸으므로 내게는 직접적인 생명의 위협은 존재하지 않음을 말씀드릴 수 있다. 또한 그 사이 뿌옇던 유리창에 스프접시 정도 크기의 매끄러운 부분이 생겨서 내가 방안에 있는 크리스마스트리를 분명하게 보고 있고, 또 코를 유리창에 박고서 나를 향해 미소를 짓고 있는 내 친구 발터의 얼굴도 보고 있음을. 발터는 아직 선물을 나누기가 시작되기 전 세 시간 전에 내 몸에다 비눗방울에 쓸 물을 만들었었는데, 이제는 손가락으로 나를 가리키고 있고, 그 애 아버지는 고개를 저으며 손가락으로는 발터가 선사받은 완전 새로 뽑은 장난감기차를 가리키고 있다. 그런데도 발터는 고개를 젓고 있고 - 그리고 창유리에 다시 김이 서리는 동안에 나는 안다, 내가 적어도 반시간 후에는 따뜻한 방안에 있게 되리라고…….

 

  로마시절 향유했던 기쁨은 아내의 죽음뿐 아니라 그보다도 어머니의 괴팍함과 누이의 불만으로 흐려졌다. 둘이는 우리가 장 속에 함께 앉아있는 저녁이면 그들의 사명을 오해받는 데 대해 불평을 하곤 했다. 그러나 내게도 자의식 강한 찻잔으로서는 감내하기 어려운 굴욕이 닥쳐왔다. 율리우스가 내 몸으로 화주를 마시다니! 어느 찻잔에 대해 ‘그 찻잔으로 술을 마셨다네!’라고 하는 것은 마치 인간에게라면 ‘그 인간 나쁜 데 출입했다네!’ 하는 것과 똑같은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나는 이젠 엄청 많이 술을 마셔대는 잔이 되고 말았다.

 

  나에게는 굴욕의 시절이었다. 그 시기는 매우 길었고, 마침내 케이크 한 상자와 내 사촌들 중 하나인 달걀 담는 컵과 그 덮개와 더불어 뮌헨에서 로마로 보내졌다. 그날부터는 술은 내 사촌이 담당하게 되었고, 율리우스는 나를 한 여인에게 선사했다. 그녀 또한 율리우스와 같은 목적으로 로마에 온 사람이었다.

 

  내가 삼년 동안 우리의 로마 거실의 창틀을 통해서 아우구스투스 영묘를 바라볼 수 있었다면, 이제 이사를 했고 나머지 이년 동안은 새로운 거실에서 산타 마리아 마지오레 교회를 바라다보았다. 이 새로운 삶에서 나는 또 어머니로부터 떨어지긴 했지만, 내 원래의 생의 목적에 이바지하게 되었다. 이제 다시 커피를 마시는 잔이 된 것이다. 나는 하루에 두 번 깨끗이 닦여서 예쁘고 작은 장 속에 서 있곤 했다.

 

  그러나 이곳에서도 역시 굴욕은 모면되지 않았다. 그 예쁘고 작은 장 속에서의 동무는 후르츠였다니! 온 밤을 그리고 많은 낮 시간 동안 - 그리고 그 2년간 내내 - 나는 후르츠와의 동무를 견디어야 했다. 훌레방 종족이고, 그녀의 요람은 휘르체니히의 훌레방 선조대대로의 저택에 있었다. 그리고 아흔 살이었다. 그렇지만 그녀는 그 아흔 해를 제대로 산 것은 아니었다.

 

  내 질문, 왜 그녀는 항상 장 속에 서있는가 하는 것에 그녀는 거만스럽게 대답했다, ‘후르츠로 무언가를 마실 수는 없지 않아!’라고. 후르츠는 아름다웠고, 부드러운 회백색으로, 자잘한 녹색 점들이 박혀 있었다. 그리고 내가 그녀를 놀라게 할 때마다 그녀는 창백해져서 녹색 점들이 아주 선명하게 보였다. 특별한 악의가 없이도 나는 그녀를 자주 놀라게 했다. 우선 프러포즈를 함으로써. 내가 그녀의 가슴과 손을 잡으면 그녀는 너무도 창백해져서 나는 그만 그녀의 생명을 걱정하게 되었다. 그녀가 다시 약간의 색깔을 되찾기까지는 몇 분이나 걸렸고, 그러면 그녀는 속삭였다, ‘그런 소릴랑 다시는 하지 말아요. 내 신랑이 에어랑엔에서 유리 진열장 안에 서 있다오, 나를 기다린다오.’ ‘대체 얼마 동안을요?’ 하고 나는 그녀에게 물었다.

 

  그녀는 말했다, ‘이십 년 되었어요. 우리가 1914년 봄에 약혼을 했으니까요. 그런데도 우린 여태 떨어져 있답니다. 나는 프랑크푸르트의 안전금고에서 전쟁을 살아남았어요. 그는 에어랑엔에 있는 우리 집 지하실에 있었고요. 전쟁 후에 나는 유산상속 논란의 결과 뮌헨의 유리 진열장으로 가게 되었고, 그는 같은 유산상속 논란의 결과 에어랑엔의 유리 진열장으로 가게 되었지요. 우리의 유일한 희망은 디아나가’ - 그게 우리 주인님 이름이었다. - ‘에어랑엔의 유리 진열장 여주인의 아들 볼프강과 결혼을 하는 것이죠, 그러면 우리는 에어랑엔의 유리 진열장 속에서 다시 함께 할 수 있게 된다오.’

 

  나는 그녀를 다시 상처주고 싶지 않아서 침묵했다. 왜냐하면 나는 물론 오래 전에 율리우스와 디아나가 서로 가까워졌음을 알아차렸기 때문이었다. 디아나는 폼페이 탐사여행 중에 율리우스에게 말했었다, ‘아, 이 보세요, 내게 찻잔이 하나 있는데요, 그걸로 절대로 마셔서는 안 되는 것이랍니다.’

 

  율리우스가 말했어요, ‘아, 제가 그런 곤경에서 당신을 도와드려도 될는지요?’

나중에는 내가 더 이상은 그녀에게 청혼을 하지 않았기에 후르츠와 서로 잘 이해하며 지내게 되었다. 우리가 저녁에 함께 장 속에 있을 때면 그녀는 항상 말했다, ‘아, 내게 뭐라도 이야기 해봐요, 하지만 가능하면 너무 평범한 것 말고요.’

 

  내 몸으로 커피, 코코아, 우유, 포도주, 물 등이 마셔진다는 사실을 그녀는 충분히 알아차렸다. 그러나 내가 율리우스가 나를 가지고 술을 마셨다는 이야기를 하면 그녀는 다시 발작을 일으키고는 감히 (내 겸손한 의견으로는) 불가한 표현을 하곤 했다, ‘바라건대 디아나가 이런 평범한 녀석에게는 빠지지 말아야 할 텐데.’

 

  그러나 모든 것은 마치 디아나가 이 평범한 녀석에게 빠져버린 것 같아 보였다. 디아나의 방에 있는 책들은 먼지가 쌓여갔고, 타자기에는 몇 주 동안 단 한 장의 종이가 끼어져 있었을 뿐이다. 거기에는 겨우 반 쪼가리 문장이 쓰여 있었다, ‘빙켈만이 로마에 갔을 때…….’

 

  나는 너무도 성급히 씻기곤 했고, 심지어 세상일이라곤 어두운 후르츠까지도 예감하기 시작했다, 에어랑엔에 있는 그녀의 약혼자와의 재회가 점점 불가사의한 일이 되고있다는 것을. 왜냐하면 디아나는 에어랑엔으로부터 편지들을 받기는 하지만 이 편지들을 답장도 하지 않고 내버려두기 때문이었다. 디아나는 이상해졌다. 그녀는 - 이 사실은 사실 머뭇거리면서 기록하는데 - 내 몸으로 포도주를 마셨고, 내가 저녁에 그 이야기를 이 후르츠에게 했더니 그녀는 거의 기절을 하더니 이내 정신을 차리고서는 말했다, ‘나는 찻잔으로 포도주를 마시는 짓을 해대는 여성의 소유로 남을 수 없어요.’라고.

 

  그녀는, 착한 후르츠는 자신의 소원이 얼마나 빨리 성취될 수 있을지 모르고 있었다. 후르츠는 전당포업자에게로 넘어갔는데, 디아나는 ‘빙켈만이 로마에 갔을 때…….’라고 시작된 문장이 있는 종이를 타자기에서 빼버리고 볼프강에게 편지를 썼다.

 

  나중에 볼프강으로부터 편지가 왔는데, 디아나는 내 몸으로 유유를 마시면서 아침을 먹는 중에 편지를 읽었다. 나는 그녀가 속삭이는 소리를 들었다, ‘그에겐 내가 중요한 게 아니었어, 단지 저 얼빠진 후르츠가 문제였어.’ 나는 그녀가 『고고학 입문』이라는 책에서 전당포영수증을 꺼내어 그것을 봉투 안에 넣는 것을 보았다 - 그래서 나는 그 착한 후르츠가 그 사이 에어랑엔에서 신랑과 합쳐져서 유리 진열장 안에 서있게 됨을 예견해도 좋았다. 그리고 나는 볼프강이 품위있는 아내를 발견했으리라 확신한다.

 

  나에게는 묘한 해들이 이어졌다. 나는 율리우스와 디아나와 함께 독일로 돌아왔다. 그들은 둘 다 돈이 한 푼도 없었고, 나는 그들에게는 값진 소유물로 간주되었다. 나를 가지고 물을 마실 수도 있었으니, 사람들이 기차역의 샘에서 마실 수 있을 그런 맑고 깨끗한 물말이다. 우리는 에어랑엔으로도 프랑크푸르트로도 가지 않았고 함부르크로 갔는데, 그곳에서 율리우스는 은행에 일자리를 얻었다.

 

  디아나는 더 아름다워졌다, 율리우스는 창백했다. - 그러나 나는 어머니와 누이와 함께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두 사람은 맙소사 약간 더 만족스러워 했다. 내 어머니는 우리가 저녁에 부뚜막에 서로 나란히 서있을 때면 말하고 했다, ‘그래 뭐, 어쨌거나 마가린이니까……,’ 그리고 누이는 심지어 약간 교만해졌다, 왜냐하면 그녀는 소시지 접시로 사용되었으니까. 그러나 내 사촌 계란 컵은 계란 컵에게는 드물게 마련된 것 같은 이력을 쌓아갔다. 그는 화분으로 사용된 것이다. 데이지꽃, 민들레, 꼬마 마가렛들에게 그는 잠깐 체류지가 되어주었다. 그리고 디아나와 율리우스가 계란을 먹을 때면 그들은 계란을 받침접시 가장자리에 놓아두곤 했다.

 

  율리우스는 점점 말이 줄었고, 디아나는 어머니가 되었다 - 전쟁이 닥쳤다. 그리고 나는 가끔 지금쯤 다시 은행의 안전금고에 들어가 있을 후르츠를 생각하곤 했다, 비록 그녀가 내게 가끔씩 모욕을 주긴 했을지라도, 나는 그녀가 안전금고 안에서라도 그녀의 약혼자와 함께 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디아나와 함께 또 가장 큰 아이 요한나와 함께 나는 전쟁을 뤼네부르거 하이데에서 보냈다. 나는 율리우스가 휴가차 왔다가 내 몸을 오랫동안 젓고 있을 동안이면 그의 사색적인 얼굴을 관찰할 기회가 많았다. 디아나는 율리우스가 커피를 그리 오래도록 젓고 있는 것을 보고서 가끔 놀라기도 했다. 그녀는 소리를 질렀다, ‘뭘 하는 거예요 - 당신 지금 몇 시간 째 커피를 젓고 있잖아요.’

 

  디아나도 율리우스도 내가 얼마나 오랫동안 그들과 함께 했는지를 망각한 것처럼 보이는 것은 참 묘한 일이었다. 그들이 나를 여기 이렇게 밖에서 어슬렁어슬렁 돌아다니는 고양이 때문에 위협을 받으면서 꽁꽁 얼도록 내버려 두고 있다니 - 반면에 발터는 나 때문에 울고 있는데. 발터는 나를 좋아했다. 그 애는 내게 이름까지 붙여주며, ‘이반처럼 마시기’라고 불렀다 - 나는 그 애에게 비눗방울 만드는 통이 되고, 그 애의 동물들을 위해서 먹이그릇이 되고, 꼬마 목각인형들의 욕조가 되어준다. 나는 그에게 물감이나 풀을 섞는 그릇이 되고…… 나는 그가 지금 선사받은 새 기차로 나를 실어 나르려고 시도할 것이라고 확신한다.

 

  발터는 격하게 운다. 나는 그 애의 울음소리를 듣는다. 나는 이날 저녁 그들에게 보장해주고 싶었던 가정 평화가 걱정이다. - 그렇지만 인간이란 얼마나 빨리 늙어버리는지를 알게 되는 것이 나를 우울하게 한다. 율리우스는 손잡이 없는 찻잔 하나가 갓 나온 장난감기차보다 더 중요하고 더 가치 있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모른단 말인가? 그는 망각했다. 그는 완고하게 발터에게 나를 다시 꺼내라고 말린다. - 나는 그가 야단치는 소리를 듣는다. 이제는 발터만이 아니라 디아나까지 우는 소리를 듣는다. 그리고 디아나가 우는 것은 내게 편치 않다. 나는 디아나를 사랑한다.

 

  하지만 내게서 손잡이를 깨뜨린 것이 바로 그녀였다. 뤼네부르거 하이데에서 함부르크로 이사하려고 나를 포장할 때 그녀는 그만 내 몸을 두껍게 싸는 것을 잊었다. 그렇게 해서 나는 손잡이를 잃었다. 그런데도 나는 여전히 값어치가 있었다. 당시에는 손잡이 없는 찻잔 하나도 여전히 값어치가 있었다. 그리고 다시금 살 만한 찻잔들이 널리게 되었을 때 나를 버리려고 했던 것은 율리우스였다. 그러나 디아나가 말했다, ‘율리우스, 당신 정말로 이 찻잔을 버리려고 - 이 찻잔을?’

 

  율리우스는 얼굴을 붉히면서 말했다, ‘미안!’ - 그렇게 해서 나는 살아날 수 있었고 씁쓸한 여러 해를 면도용 비누통으로서 봉사하게 되었다. 우리 찻잔들은 면도용 비누통으로 낙착되는 것을 싫어한다.

 

  나는 나중에 도자기로 된 머리핀 그릇과 재혼을 하게 되었다. 이 두 번 째 아내는 게르트루트였는데, 그녀는 내게 친절했고 현명했으며, 우리는 꼬박 2년 동안 욕실 유리선반 위에 나란히 서있었다.

 

  날이 어두워졌다, 아주 갑자기. 안에서는 여전히 발터가 울고 있고, 나는 율리우스가 감사할 줄 모르는 어쩌고 하는 소리를 듣는다. - 나는 고개를 내저을 수밖에 없다. 이 인간들이란 얼마나 어리석은가! 이곳 바깥은 고요하다. 눈이 내리고 - 고양이는 진작 사라지고 없었다. 그렇지만 나는 깜짝 놀란다. 창문이 열리더니 율리우스가 나를 집어 든다. 나는 그 손의 악력에서 그나 얼마나 화가 났는지 느낀다. 나를 깨부수려는가?

 

  그런 순간이 얼마나 끔찍한지를 알기 위해서는 누구나 찻잔이 되어보아야 한다. 자신이 벽에, 바닥에 내동댕이쳐질 것을 예감하는 순간이 어떤지를. 그러나 디아나가 마지막 순간에 나를 구했다. 그녀는 나를 율리우스의 손에서 빼앗아 들고 고개를 내저으면서 말했다. ‘ 이 찻잔을 당신은…….’ 그러자 율리우스는 갑자기 미소를 지으면서 말했다. ‘미안, 나는 그만 너무도 흥분해서…….’

 

  발터는 진작 울음을 그쳤다. 율리우스는 진작 신문을 들고 난롯가에 가 앉았다. 발터는 율리우스의 무릎에 앉아서 내 몸에서 아까 얼었었던 비눗물이 다시 녹는 것을 보고 있었다. 빨대는 벌써 꺼냈다. - 그리고 나는 손잡이도 없이 얼룩투성이에 낡아빠진 채로 수많은 갓 새로운 물건들 틈에 서있다. 나는 평화를 다시 가져온 장본인이 나라는 사실에 자부심에 휩싸인다. 비록 그것을 방해했었던 존재가 나였다는 비난을 감수해야만 하지만, 그렇지만 그게 내 탓이란 말인가, 발터가 새 기차보다 나를 더 좋아하는 것이?

 

  나는 일 년 전에 죽은 게르트루트가 아직 살아있었으면 하고 바랄 뿐이다. 무엇인가를 깨달은 것 같아 보이는 율리우스의 저 얼굴을 그녀가 봐야만 했을 것을…….

 

...................................................................

원저 : Schiksal einer henkelosen Tasse (1952), Heinrich Böll: Werke in 10 Bänden. Hrsg. v. Bernd Balzer. Köln 1977/78. (Romane 2: S. 57-63)

Posted by 서용좌
영어2012. 12. 31. 16:42

Fear of Speaking in Public

 Sep. 6. 2012

Today I'll uncover one of my secrets, my weaknesses. - Can you imagine what the top fears of most people are? People fear snakes, spiders, heights, disease and death. One of such dreadful fears might be fear of giving a speech. Yes, some people fear speaking in public, in academic term glossophobia. The Greek word glossa means tongue and phobos means fear or dread. Many people only have this fear, while others may also have social phobia or social anxiety disorder. It is characterized by intense fear in social situations causing considerable distress and impaired ability to function in at least some parts of daily life.

Now you'll laugh at me, if I would say I belong to those people, because some of you know my former profession. But not only in the childhood but also during almost thirty years of my life as a teacher, I still have had glossophobia. Is it then some sort of mental illness? I doubt it, because I'm still alive. When did such symptoms begin and is it cured? To answer those questions would be a long story.

To make it shorter I'll begin with the relationship with my siblings. Just imagine! My late mother bought us, me and my younger sister, 2 different hair ribbons, one was red and the other shocking pink. My sister chose the red one first, and then I didn't say anything and took the rest, the pink one. Next day my sister changed her mind and said: “I'll have that hot pink!” Even then I didn't say anything, because I couldn't find any suitable words against her. Among siblings or among peers later in the school my remarks were always a bit awkward, inarticulate. Every time when I tried to find the right word at the right moment, it worked not so perfect as I expected.

To return to my subject "my anxiety of speaking in public" - it's symptoms peaked in the middle school, when I began to learn English, it was a kind of nightmare to pronounce strange sounds like 'f', 'v' or 'th' etc. Hence I entirely refused to read English books aloud in the classroom. I just couldn't do it and made it difficult for English teachers.

Then I became a teacher, ironically. It was my job to speak in front of people! Furthermore, stage fright may be a symptom of glossophobia. I was frightened on the stage in front of audience. So I had to prepare my lectures carefully and I spent much more time than anyone could imagine. I usually wrote the whole contents beforehand, so my lectures were already dead when I gave lectures the next day. But I did it.

Coming back to what I was trying to explain, people can manage on their own with some vulnerable points. So don't try to overcome your weaknesses but try to accept them. You can live though them! They will make you more humane and also unique. Humans are not robots designed with ideal skills and abilities!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Overprotected  (0) 2012.07.09
Every Body is Unique  (0) 2011.10.10
GFN 인터뷰 클립  (0) 2011.01.28
More Vegetarians!  (0) 2009.12.01
Posted by 서용좌
수필-기고2012. 12. 19. 10:25

 

 

 

  만일 여러분이 기자가 된다면 누구를 인터뷰하고 싶나요? 인터뷰할 대상을 정한 후 질문 목록을 작성해보는 것이 오늘의 숙제입니다. 왜 그 사람을 대상으로 정했는지 그 이유도 함께 적어서 보내세요, 이메일로!

 

  사실 이메일 숙제는 편한 작업은 아니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외국인 학생들의 한국어 실력은 ‘말하기’는 물론 ‘쓰기’에서도 여지없이 드러나는 때문이다. 일일이 고쳐줘야 하는 것이 기본인데, 그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아서다. 무심코 쓰던 문장이었다가도 학생들의 표현에서는 갑자기 자신이 흔들려서 표준국어대사전을 찾는다. 그 버릇은 간단한 글을 쓸 때도 여전해서 이젠 마음 놓고 글 한줄 쓰기가 어려워진다. 그도 그럴 것이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라고 열심히 외웠던 ‘뿌리 깊은’ 기억과 아무 상관없이 이제와 표준어는 ‘나라말’이라니 말이다.

 

  그동안 표준어는 ‘만날’인데 입에서는 맨날 맨날이라고 움찔거리다가, 어느 날엔가는 그것 또한 표준어란다. 이런 조변석개를 두고 반갑다고 해야 할지, 요새 아이들 말로 ‘멘붕’이다. 국적이 불명한 멘탈붕괴의 약자로, 말 그대로 정신이 무너져 내린다는 말이란다. 어떤 상황이나 말에 의해 평정심을 잃고 ‘정신이 나갔다’, ‘자포자기’ 또는 ‘분노가 극에 달했다’는 식의 뜻이란다. 누리꾼들의 장난이다.

 

  - 어땠어? 쌔끈?

  - 말도 마. 폭탄이었어! 얼큰이었다고.

  소개팅에 나가서 섹시하고 멋있는 - ‘쌔끈’ - 상대를 만났냐는 질문에, 소개받은 사람이 외모나 성격 등이 마음에 안들 때 쓰는 ‘폭탄’이란 답을 보낸다. ‘얼굴이 큰 사람’이었다고!

 

  은어를 피하면 돌아오는 것은 ‘은따’ - 은근한 따돌림이다. ‘리하이’라는 예법을 몰라도 당근 은따. 대화방을 나갔다가 다시 들어왔을 때 인사는 그냥 ‘하이’면 부족하다. ‘re-’를 붙여야 예의(?)란다.

 

  음절 줄이기는 귀여운 부류에 속한다. 게임은 ‘겜’, 서울은 ‘설’, 애인은 ‘앤’, 어서 오세요는 ‘어솨요’로 줄인다. ‘아뒤’를 멋진 프랑스식 인사말인줄 알고 대꾸했다가는 혼난다, 곧 ‘강추’다. 그것은 강력 추천일 때도 있으나 강력 추방으로도 사용된다. 그런데 ‘아뒤’는 누리꾼들에게는 아이디의 준말이다.

 

  제일 따라가기 어려운 말들은 모음 비틀기다. ‘다덜, 모냐, 알쥐, 안뇽, 안냥하세엽, 화났나여? 넵’은 ‘다들, 뭐냐, 알지, 안녕, 안녕하세요, 화났나요? 네’의 비틀기다. 비트는 데 시간이 더 걸려도 비튼다. 왜? 모른다.

 

  ‘절친’에게서 문자가 날아온다.

  - 열공중? 반반무, 반반무마니 시켜노코 ㄱㄷ!

  - ‘베프, 방가방가. 냉무 아니쥐?’

 

  베프는 물론 베스트 프렌드의 준말이다. 영어도 막 줄인다. 한국어가 재미가 쏠쏠해 보인다. 그러나 신세대 누리꾼들이 아니고서는 불행하다. 열심히 공부하는 중이야? ‘후라이드 치킨 반 마리, 양념 치킨 반 마리, 무 많이’ 시켜놓고 기다릴게! - 이것을 알아듣는 ‘사오정’이 몇이나 있을까. 실세(?)에서 물러난 것은 기정사실이라 하더라도, 이제는 가상세계에서는 아예 출입금지다. 어디에 살꼬?

 

  본론을 잊고 있었다. 이메일을 열어 숙제를 점검해야 한다.

이들이 인터뷰하고 싶은 대상이 누구일까? 에임 하이! 그렇게 권장 받으며 자란 대학생들임이 드러난다. 중국 학생이 버락 오바마를, 안젤리나 졸리를 인터뷰하고 싶단다. 셀레브리티에겐 이미 국경은 없다.

 

  독특한 것은 중국의 성전환 무용가가 여러 학생들에게서 나온 것이다. 진성 - 중국식 발음이 그러하지만 조선족이니 김성이라 불러도 되겠다. 1968년 조선족 집안의 아들로 태어나, 일찍이 가족의 뜻과는 달리 인민해방군에 합류하여 무용과 군사훈련을 받고 청소년 무용수로 두각을 나타냈다. 곧 현대무용을 배우기 위해 미국으로, 이어서 로마에서는 무용을 가르치기도 했다. 이 세계적 무용수가 26세에 고국으로 돌아가 28세가 되던 1996년에 ‘성확정’ 수술을 받았단다. 그러니까 본래 여성적이었던 그가 그녀가 되었다, 용감하게도. 세상은 그녀를 더욱 반겼고, 2004년의 <상해 탱고>는 유럽 순회공연에서 “우리의 현대무용이 어디로 발전할지 망설일 때 동방에서 온 무용예술가가 우리에게 방향을 잡아주었다.”라는 찬사를 들었을 정도. 이미 아들을 입양했던 그녀는 38세가 되던 2005년에 독일인 남성과 결혼하여 현재 3명의 입양아와 함께 가족을 이루고 산단다. 무용의 열정은 더해서, 지난해 2월에도 이탈리아의 로마공원극장에서 <제일 가까운 것과 제일 먼 것>을 공연하여 극찬을 받았다고.

 

  내가 왜 이리 긴 이력을 말하는가. 그냥 놀라워서다. 말로는 다 못할 이야기이기 때문에. 사람이 말로서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어디까지일까. 말로서 표현한 것은 진실인가. 말은 진실을 다 표현할 수 없다. 혹은.

 

  학생들이 뽑은 인터뷰 상대가 점점 놀랍다. 터키에서 온 여학생은 신에게 인터뷰를 하고 싶단다. “왜 세상은 힘들고, 왜 좋은 사람들이 나쁜 사람들보다 행복하지 않고, 세계를(세상을) 어떻게 만들어 주(시느)냐고 묻고 싶습니다.” 물론 서툰 표현이다.

 

  갑자기 전혀 다른 유창한 말이 떠오른다.

  정말 결혼을 잘 한 것 같아요! - 30년 넘은 결혼 생활 후에 남편의 면전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그렇게 말하는 아내의 말. 다른 남편들이 모두들 감탄했다고 한다. 그 말을 ‘전해들은’ 나는 믿지 않는다. 행복한 사람은 행복한 줄 모른다, 라는 생각에 압도되며.

 

  발이 시린 여름밤이 깊어간다.

  발이 시리면 맘도, 맘이 시리면 말도 시려진다.

   ..................................................................

 

『그리움의 빛깔』, 이화동창문인회 2012, 142-145.

Posted by 서용좌
소설2012. 12. 19. 10:24

파도소리

  어머니이, 아버지!

  어머니는 부엌에서 나오시는 모양이 이른 저녁준비 중이셨나 보다.

  어떻더냐? 그래, 김 서방은 어떻더냐고?

  그게요, 아직 잘 모르죠. 검사다 뭐다.

  웬 검사? 몸이 부실해서 링건가 맞는다며? 은실이 어쩌고 있을꼬!

  그냥, 입원한 김에. 암튼 염려 마세요, 별일 없겠죠.

 

  아버지는 그날도 보이지 않았다. 벌써 5년째, 아버지는 은퇴생활에도 집에서 느긋하게 쉬시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무슨 일을 본격적으로 하시는 것도 아니다.

 

  아버진 어디 가셨나 봐요.

  늘 그러시지. 요사인 부쩍 정문리엘 가시는구나. 차로 가믄 사오십분이면 너끈할 걸 기어코 버스를 타고 가시니. 오산까지 올라갔다가 게서 또 내려가는 길을 왜 우기시는지. 뭔 볼 일은 그리 있으신지.

  아버진 정문리 좋아하시죠. 어머니가 밀양 박 씨인 것도 얼마나 자랑하시는데 그러세요.

  밀양 박은 다 열년가, 네 아부지도 참.

  열녀라서 그러나요, 일단 청주 한 씨와 밀양 박 씨 하면 뭔지 어울리는 건 사실이죠 뭐.

  밀양 박은 빼고, 한 박사나 들어가서 쉬려무나. 아니, 점심은 먹은 거야?

  예, 먹었지요. 시간이 언젠데요.

  그럼 어서 들어 가 쉬어. 네 아부지 오시려면 멀었다.

 

  어려서 ‘아빠 방’이라고 불렀던 건넌방은 언제 보아도 먼지 냄새 느낌이었다. 지금은 내 책상도 거기에 끼어 있다. 한국 떠난 4년 반, 돌아와서 보니 내 물건들이 건넌방 한쪽으로 옮겨져 있었다. 내가 프랑스로 떠난 뒤 은실이 결혼을 하게 되자 우리 자매들이 함께 쓰던 부엌 옆 상하방에 자연스레 신혼살림을 차렸으니 그렇게 된 것이다. 또 그 사이 더 큰 변화라면, 막내 옥실이 미국사람이 되어버린 것이다. 아버지 바로 위가 우리가 서울 나가 살던 곳 고모이시고, 그 위 셋째 큰아버지가 일찍이 미국에 가서 정착하셨는데, 다 함께 회갑에 초청받아 갔다가 옥실이 거기 남은 것이다. 아버지 어머니는 설마 하면서 옥실을 남겨두고 오셨다 했다. 큰아버지가 너무도 간절히 원했고, 옥실도 스스럼없이 남겠다고 했더란다. 결국 버티어 냈고.

 

  아차, 그러니까 아버지는 한 해에 딸자식 셋을 다 어딘가로 떠나보내셨구나!

늦은 봄에는 내가 떠났고, 여름엔 옥실을 두고 오시고, 그리고 그 겨울 은실이 결혼을 했으니까. 은실이 결혼해서도 함께 지낸 것이 얼마나 위인이 되셨을까. 새삼스레 제부가 고맙다. 어서 퇴원을 해야 할 텐데.

 

  내 책상은 짐짝처럼 올려진 책들로 빼곡하다. 노트북을 올려놓으면 남는 공간도 없을 지경이다. 그렇다고 질서정연한 아버지의 책장에 얹어둘 수도 없다. 오늘 따라 책장 맨 위, 먼지가 누렇게 깃든 족보로 눈이 간다. 화성시 양감면 정문리 마을에서 유래한 청주 한 씨 후손들은 양절공파에 속한다던가. 아버지는 은근히 정문리 충렬문에 대한 자부심이 있으신 편이다. 임진왜란 때 전사한 상주목사 한 씨를 따라 자결로서 정절을 지킨 부인 밀양 박 씨를 기리는 충렬문이다.

 

  난 물론 요즈음엔 자주 집에 오지 않는 편이다. 아버지 보기가 어째도 늘 면목이 없다. 우리 셋 중 하나라도 아들이 되어드리지 못한 것은 어쩔 수 없다 쳐도 그렇다. 아버지는 실제로 첫째인 내게 기대를 걸으셨던 것 같다. 더구나 은실이 대학을 포기했고, 옥실인 미국사람이 되어버린 셈이니까. 초등에서 시작하여 중등으로 옮기시는 동안 힘드신 기억들을 떨치고, 딸애는 보다 확고하고 늠름한 학교에 남기를 바라셨을 것이다. 한때는 아버지 은퇴 전에 내가 자리를 잡게 되리라 했었지만, 지금에 와서는 오히려 그런 희망을 아예 접을 수밖에 없으니 말이다.

 

  아버지의 책상 위에 덜렁 공책 한 권이 놓여있다. 읽다 둔 책처럼 종이가 끼워져 있다. 아버지가 책갈피로 쓰시는 종이들은 다양하다. 약간 두께가 느껴지는 종이들을 버리지 않고 적당히 오려두신다. 이를테면 광고지도 거기에 해당된다. 사용된 봉투들도 마찬가지다. 거기 노란 봉투를 잘라낸 종이가 끼워져 있는 공책. 나는 겨우 노트북을 올려놓았지만, 이상하게 시선이 자꾸 아버지의 공책 쪽으로 간다. 내 책상과의 경계 쪽에 놓여서 열어주기를 재촉하는 듯한 환상에 젖는다. 나는 유혹에 굴하고 만다.

 

*

 

  파도소리는 그때부터였다. 그러니까 은실이 대입에 실패하고 집에 처박힌 겨울을 뒤로하고, 3월엔 다시 기지개를 켜게 하려고 탐색 차 서울에 나갔던 차였다. 은실을 데리고 개학 전에 입시학원 등록도 하고, 아무튼 다시 서울로 나갈 수 있게 하고픈 마음에서였다. 양재동 누님도 은실일 그렇게나 챙기셨다. 서초동까지만 가면 좋은 학원들이 엄청 많다고. 그날 은실인 어디서도 건성만 같아 보였다.

 

  갑자기 새로 완공되어가고 있다는 그 다리를 돌아보고 싶어졌다. 은실에게도 좋을 것 같았다. 새 다리가 완공되기 전에, 아무튼 잊을 건 잊고 털 것은 털도록. 과거는 과거의 그 자리에 두어야 쉽게 잊힌다 싶었고.

 

  1994년 10월 21일 오전 7시 48분경. 제10·11번 교각 사이 상부 트러스 48m 붕괴. 우리 아이들이 그보다 15분 쯤 늦게 8시를 막 지나서 그쪽을 향하고 있었다는 사실에는 지금도 소름이 돋는다. 10분 15분의 간격은 찰나에 비하면 영겁이지만, 영겁에 비하면 찰나다. 은실인 지각하더라도 언니와 재잘거리며 같이 가려고 늑장을 부린 통에 살아남았다. 꾸물대다가 지각을 자주 했다는 은실이 고맙고 아슬아슬하다. 은실이 지각하지 않게 언니인 네가 함께 서두르라고, 늘 큰애를 다그쳤던 일이 생각나서 바지를 적실 뻔 했다. 녀석은 결국 고등학교 시절 내내, 아니 그 다음에도 울렁증을 극복해 내지 못했다. 아니, 고등학교를 미리 서울로 내보냈던 것이 잘못이었을까? 집에서 고등학교를 마친 금실인 아무 일 없이 대학엘 들어가지 않았나. 큰애 혼자 내보내느니, 아무리 누님 댁이라지만 둘이 함께 있으면 좋겠다 싶었고, 누님도 이상하게 은실이랑 함께 보내라고 극성을 떠셨다. 하긴 뚱하다 싶은 큰애만 보내놓으면 혼자 사시는 누님이 아무 재미도 없으실 것 같기도 했었다. 후회가 무슨 소용, 은실이 고등학교 생활을 망친 건 아무래도 이 애비 탓이렷다.

 

  다시 찾아본 다리, 새 다리는 교하 공간이 넓어서인지 미완성인 그 자체로 광활한 한강수면에 멋진 경관을 이루고 있었다. 강물은 여전했다. 아니 여전한 모양새를 보이고 있었지만, 그날의 피를 삼킨 물은 아닐 터. 무심한 강물.

 

  파도소리는 그 강물에서 시작되었던 것 같다. 그날의 강물이 씻기고 씻기어 내려난 천 날의 시간들. 밤낮으로 우는 탄식 소리가 어디로 흘러들었겠는가. 이제는 먼 바다에 흩어져 먼지만큼도 핏방울을 지니지 못한 채 흩뿌려졌더라도. 핏빛 물소리는 지금도 거슬러 올라와 강가의 아비어미의 귓전을 때리리라. 그날이면 그곳을 찾아 목이 찢어지게 뿜어내는 통곡도 눈이 찢어지게 흘리는 눈물도 다시 강물에 섞이어 뒤따라갈까?

 

  등 뒤로 학원들의 안내장을 힘없이 쥐고 있는 은실이 눈에 들어왔다. 내 딸이, 여기 내 곁에 서있는 내 딸의 모습이. 우리는 뒤돌아서 서둘렀다. 계획으로는 뭔가 맛있는 것이라도 사 먹일 양이었지만, 무엇인가에 쫒기는 듯 집으로 내달았다. 파도소리가 뒤따라왔다. 한강물이 파도쳐 넘실거릴 리가 없는데, 그것은 분명 파도소리였다. 파도소리 사이로 노랫소리가 들리는가 싶었다.

 

  강남 길로 해남 길로 바람에 돛을 맡겨~ 물결 너머로 어둠 속으로 저기 멀리 떠나가는 배~ 바람 소리 파도소리 어둠에 젖어서 밀려올 뿐~

 

  밤새, 그 이튿날도 파도소리가 멎질 않았다. 온 세상이 파도소리로 뒤덮였다. 소리를 막을 수도, 잠을 잘 수도 없었다.

 

 

  돌발성난청입니다.

  동네 이비인후과의 나이든 의사의 말이었다.

  보통 한쪽 귀에 이런 일이 오는데, 돌발성난청입니다. 큰 병원에 가셔서, 입원치료를 시작하세요. 응급상황입니다.

  의사는 밀려든 다른 감기환자 치료에 열중하는 것 같았다.

 

  큰 병원에 가는 날엔 두 애들이 다 따라나섰다.

  큰 병원에서도 단 한 가지 검사, 그 흔해 빠진 청력검사 하나를 했을 뿐인데, 약간 애송이로 보이는 초진의사 말도 이 질병은 바로 이비인후과의 응급상황이란다, ‘물론 죽고 사는 일’과는 무관하지만. 이런 증상이 언제부터냐, 혹시 다른 병원에서 대강 치료받은 적이 없냐는 등을 두어 번씩 묻고 다짐받고서 그가 하는 말이 진지했다. 돌발성난청은 거의 대부분 노년과 관계없이 이유 없이 찾아들고, 결국 문제는 스트레스일 가능성이 높지만 심지어 1/100 쯤은 뇌종양의 가능성도 있고 또……. 이유야 어떻든 간에 치유되는 확률은 발병 일주일 이내에 시작했을 때에도 1/3 수준이라는 것. ‘난청’이란 듣기 좋은 말이고, ‘청력상실’ 그러니까 귀먹을 확률이 더 높은 질병이란다.

 

  질병이란 단어가 내 남은 귀를 의심케 했다. 내 의식을 흠집 냈다. 또 질병이라면서 치료해도 별 소용없을 수 있다는 말도 이상했다. 절대로 죽을병도 아니면서 치료확률이 절반도 안 되는 질병이라니 진짜 웃겼다.

치료방법은 입원해서 일정기간 강도 높은 스테로이드 주입식이 최선, 다음이 통원치료로서 일정 시간에 귓속에 직접 소량의 스테로이드를 주입하는 방식이란다.

  최선은 지금 입원 하시는 방식입니다!

 

  입원? 방학 잘 지내놓고서 신학년도 개학 첫날 입원하겠다는 말이 나올까? 안 된다, 못한다. 또 갑자기 2주일을 쉬게 되면 담임이며 수업은 어떻게 되는가? 요즈음은 고2도 이미 입시 체제다. 죽고 사는 일도 아닌데 학기 초 2주 병가는 마음 무거운 일이었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귓속에 약물을 주입하고서 비뚤게 누웠다. 아마 약물이 잘 들어가도록 하는 조치 같았는데,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점점 더 커진 느낌이 문제였다. 돌아오는 길에서부터 애들은 입원치료가 마땅한 것이라고 종알거렸다. 은실이 더욱 졸라댔다.

 

  밤이 깊어갈 수록 치료받은 귓속에서 버걱대는 소리는 무서웠다. 파도소리를 넘어 날개달린 벌레가 파닥거리는 소리였다. 바퀴벌레 새끼가 알에서 깨어나는가? 겁이 났다. 어색한 미봉책을 다 참고 입원을 하는 쪽으로 기울었다. 입원하러 가는 환자라지만 멀쩡한 사지육신이라 어딘지 어색했다. 아내 보기도 그렇고. 아무튼 보호자가 필요 없는 환자였으니까.

 

  병실은 식구들을 돌려보내고 혼자 남게 되자 오히려 호젓함으로 편안했다. 앞 침대의 환자나 병실에 들락거리는 인력들은 관계가 아니어서 편했을까? 방해받는다는 느낌이 없는 것이 신기했다. 그보다는 오른 쪽 세상, 내 귀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세상이 방해였다. 온갖 소리를 섞어서 몇 성부의 음악일는지.

 

  노트북 앞에 앉아 보았다. 학교랑 연결은 되어야지 싶기도 했다. 갑작스럽게 담임을 떠맡게 된 동료선생님에게도 인사라도 쓰고. 아니, 인터넷이 안 된다. 치료 장비들에 대한 보호라는 미명에 노트북을 쓸 수 없다니. 복도 한 켠 휴게실 구석에 동전 넣고 쓰는 컴퓨터에선 가능하단다. 각종 질병과 환자들로 뒤범벅된 병원에서 공동으로 컴퓨터를 쓰라고? 그래도 이메일 정도는 확인해야겠다 싶어서 컴퓨터 쪽을 기웃거렸더니 두 대 다 젊은이들의 차지였다. 온 세상은 붕붕거리고 머릿속은 혼란하고…….

 

  바깥쪽으로 시선을 돌려 한 시간여를 들락날락하다가 드디어 한 쪽 컴퓨터에 않았지만 웬걸, OO학교를 치려는데 ‘교’자에서 ‘ㅛ’가 들어가지를 않았다. 어찌어찌 홈페이지엔 접속이 되었는데, 이번에는 로그인 이름자에서 ‘ㅗ’자가 먹지를 않았다. 시간은 6분, 7분이 지나는 데도 끄떡없다. 하릴없이 10분이 넘어가자 분통이 터졌다. 사방이 분통 나는 세상이다.

 

  밤이 늦었다 싶었는데 담당의가 간호사실로 불러낸다. 엠아르아이 결과 내 뇌 속은 깨끗하다고 했다. 살았다. 뇌와 혈관이 나이에 비해서 젊다면 젊은 편이라고 한다. 그러니 나는 뇌졸중의 위험은 낮은 사람이다. 혈당이 올라도 혈압은 오르지 않고, 그러니 심근경색으로 죽을 확률도 낮다. 복장이 터져서 복막염 수술을 하게 된다면 몰라도.

 

  치료방식에 관련하여 자세한 설명을 한다. 스테로이드요법이란, 처음 4일간을 하루 한 번 80mg씩 투여하다가 차츰 줄여나가는 방식이란다. 스테로이드? 그건 간혹 욕심내는 운동선수들의 치팅용 약물 아닌가? 듣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이 끄덕이고 있다가 들어오는데 오른 쪽 세상의 소리는 더욱 자지러진다.

 

 

  진단서를 들여다본다. 그 사이 첫날의 패닉은 서서히 잦아들었다. 벌써 며칠 째인가. 진단서가 꼭 필요해서 발급받은 것이다. 정식 병가서류에 첨부해 제출해야하는 서류다.

 

  우측돌발성감각신경성난청. 한국질병번호 H91.2 - 뭐? 91.2 메가헤르츠로 들리네.

  상기환자 상기병증으로 1997년 3월 4일부터 3월 14일까지 입원치료 요함.

  의사 아무개. 동그란 도장/싸인. 네모다란 큰 병원 직인.

 

  나는 그러니까 천천히 주로 왼쪽 귀로 찾아오는 노인성 난청이 아닌, 특수한 난청의 습격으로 입원치료를 요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스테로이드를 팍팍 근육주사로 집어넣는 것은 ‘기’를 올리는 방식이란다. 이명과 관련해서는 타마민이라는 약물을 하루 2회 한 앰플 씩 생리식염수에 혼합하여 혈관에 주사한다. 전에는 피검사나 혈관주사를 맞아야할 때 팔의 혈관이 잡히지 않아 무진 애를 썼는데, 요사인 조금 좋아졌나 보다. 팔에서도 곧잘, 또 여러 번 찌르다보면 손등에 바늘이 꼽힌다. 또 타마민을 주사하는 바늘은 아예 팔 어느 한곳에 심어놓는다. 3일 동안은 그대로 바꾸지 않기 때문에 팔을 뚫리는 고통은 훨씬 줄었다.

 

  물론 주사요법이 만능은 아니다. 약물마다 병발하는 문제점을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니 말이다. 이 스테로이드만 해도 평소 혈당이 높은 환자에게서는 혈당이 급격히 높아지는 문제가 병발한단다. 그것을 인슐린주사로 컨트롤해야하기 때문에 입원이 불가피하단다. 또 1/100 확률이긴 하지만 엠아르아이 검사를 해야 했다고. 왜냐고? 뇌 속의 청신경 주변의 작은 종양이 이러한 돌발성난청을 유발하기도 하는 거란다. 무섭다.

 

  하기는 그 어디에 속하더라도 어쩔 수 없다. 나는 아이스크림을 먹다가 입술에 조금 묻힌 만큼만 손상을 입은 것이다. 조금 우습게 보이면 어떠랴. 행동거지가 너무 바보 같다면 정년을 앞당기면 그만이다.

이제 입원 후의 내 몸은 내가 결정권을 가지지 못한다. 나는 그저 낮에도 침대에 누운 채 과거의 파편들을 다른 사람 이야기를 읽듯이 되돌아보고 있다. 썩 괜찮은 일들도 많았다.

 

 

  수돗가에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 운동장 한쪽에 있는 것 같은 공동 수돗가였다. 수학여행 중이었다. 화장실은 남녀가 있었지만 세면실은 그렇게 수도꼭지가 앞뒤로 여남은 개 씩 달린 공동수돗가였다. 여중학교에서 남교사들은 마이너리티에 속한다. 그때는 한참 젊을 때였고 교장선생님부터 여자인 교정에서 늘 어색한 기를 못 펴던 때였다. 젊은 수학교사는 담임 우선순위에 들기 때문에 담임을 맡게 되고, 또 담임을 맡다보면 수학여행이 따른다. 그날도 그렇게 수건을 목에 두르고 입에는 칫솔을 문 채 수돗가 빈자리를 기웃거리던 참이었다. 학생들이 선생님이라고 선뜻 내주지는 않는다. 여학생들은 남선생님들을 무서워하지 않는다.

 

  줄줄이 세수를 하는 광경은 어찌 보면 너무 적나라했다. 목이며 발이며를 드러내놓고 문질러대는 장면은 자칫 외설스럽기까지 했다. 가능하면 먼 곳으로 고개를 돌리려다 저 끝 수돗가 여자의 동작에 시선이 빨려갔다. 귀를 씻고 있었다. 귀를, 한참 동안을 귀만 문지르고 있었다. 귓바퀴를 위아래로, 귓바퀴를 앞으로 숙이면서 뒷부분을, 귀 안쪽을 바깥에서부터 안쪽으로, 귓속을, 귓가를, 다시 귓바퀴를 위아래로, 귓바퀴를 앞으로 숙이면서 뒷부분을, 귀 안쪽을 바깥에서부터 안쪽으로, 귓속을, 귓가를. 나는 나도 모르게 내 귀를 만졌다. 귀로 손이 갔다고 하는 편이 옳았을 것이다. 귀, 귀가 어때서 저리 빡빡 문지르나?

 

  귀가 어때서? 물론 귀도 코만큼은 아니라 해도 돌출부분이니 대충 씻다보면 손에 걸리고 그러면 씻긴다. 하지만 저리 공을 들여서?

 

  귀를 한정 없이 씻던 여자는 얼굴에 비누거품을 내어 박박 문지르기를 한참 하더니 이내 목으로 내려갔다. 가을이라지만 산간의 아침, 추운 공기에 노출되어서도 아무렇지도 않게. 얄따란 스웨터가 젖어드는지도 모르고 세수에 열중한 여자. 여자의 모습은 난생 처음 보는 깨끗함 그 자체였다.

 

  상대적으로 나를 내려다보았다. 나의 세계는 더러웠단 말인가! 그랬다, 나는 귓바퀴를 잘 씻지 않고 아내와 함께 잠들었을 나날들이 부끄러워졌다. 그 수학여행 이래로 나는 정말 잘 씻기 시작했다. 귓바퀴만이 아니라 온 얼굴에서 후미진 곳을 찾았다. 팔다리로 나오면 팔꿈치 안쪽, 팔목, 손등, 손가락들 사이, 발가락들 사이, 발가락과 발바닥이 붙는 곳, 발뒤꿈치, 발바닥 움푹한 자리, 복숭아 뼈 아래, 몸속에도 움푹하거나 으슥한 곳을 찾아 나섰다.

 

  어느 날 갑자기 온 몸을 후벼 씻는 내가 아내에겐 이상했었는지도 모른다. 바람피우고 들어온 남편들이 집에 들어가서는 늘 씻어댄다는, 그런 속설? 아내는 의심을 키워 갔을까? 의심이 100% 틀린 것만도 아니었다. 내가 욕실에서 시간을 보내는 동안 나는 산간 수도꼭지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으니까. 교무실에서는 오른 쪽 비껴 옆으로만 보이는 그녀의 자리를 향하느라 고개가 삘 지경이었고, 운동장 조회시간이면 어떻게든 그녀가 서는 자리가 잘 보이는 곳으로 내 자리를 잡았다.

 

  그 동안에는 왜 한 번도 그녀가 눈에 띄지 않았을까? 미녀도 아닐뿐더러 젊지도 않았고, 여자냄새 없는 그냥 보통 사람 같은, 조금 깐깐해 보이는 것 이상으로는 별다른 특징 없는 아줌마교사. 그녀가 내 눈에 띄었을 리가 없다. 결국 평상시에 단 한 번도 따로는 쳐다보지 않았던 그녀의 모습은 그날 새벽 산간의 수도꼭지 아래에서 내 망막에 입력되고 말았다. 그것은 내 생애 최초의 떨림과 불안과 환희로 뒤범벅이 되고 말았다.

 

  동 학년을 맡은 ‘우리’는 가끔 가까이 만날 기회가 생겼다. 교무실 내에서의 무심한 접촉 하나에도 전기가 일 줄을 누가 알랴. 무신경해보였던 그녀에게서 감춰진 섬세한 감각을 발견하고서는 얼마나 떨렸던가. 담임들 회식이라도 있는 날이면 예정이 발표된 그날부터 막혀오는 숨을 고르기가 고통스러웠다. 고통은 이상한 행복을 수반했다. 방향이 달라서 택시도 한번 함께 탈 수 없었던 나날들. 무슨 일이었는지, 학기말 성찬이 끝나고 동료들이 하나 둘 술이 취해서 흩어진 어느 날 밤. 추운 겨울 밤. 어려서 한 방에 들 수 없었던 오누이마냥, 어디 한 데 참새구이 집으로 유인한 나를 따라나서 준 그녀. 내 평생 알고 있는 멋진 위인들 인용을 죄다 끌어내어 멋있어 보이고자 했던 처절한 짧은 시간. 그녀는 그렇게 함께 택시를 타고 오고간 시간만을 허락했다. 그녀의 집께 이르러 따라 내리려는 나를 말리며 잠시 내 손등에 얹어준 그녀의 손가락, 다섯 아닌 넷. 아니 짧아서 미처 못 닿은 새끼손가락 빼고 셋. 겨울이어서 차가왔을까? 오싹하리만치 얼어붙어서 꼼짝할 수 없었던 순간. 차가운 그 손가락을 마주잡지 못한 나. 그때부터 나는 내 오른 손 등을 철저히 씻어야할 몸에 넣을 것인지 아닌지 혼란 속에 살게 되었다. 나는 어느 새 오른 손을 덜 쓰는 양손잡이로 변해가고 있었다. 앙상한 손. 밖으로 뻗친 너무 짧은 새끼손가락. 완벽한 샤워. 비누칠이 아까운 오른 손 손등.

 

  그것은 참 길고도 오랜 어쩌면 영원한 이야기가 되었다. 생애에서 어떤 순간은 나도 모르는 사이 영원으로 변해있다고 깨닫게 되면서 나는 가끔씩 감정의 발작을 경험했다. 그해 겨울을 나면서 지독한 열감기에 시달리다 못해 봄방학에는 병원으로 실려 갔다. 그녀가 타교로 전출되던 시기였다.

 

 

  소문은 멀리 빙빙 돌아서야 내게 이르렀다.

  수돗가 선생님이 다른 길로 들어섰다는 것을 난 한참 나중에야 알게 되었다. 그 설악산 모퉁이에 이은 참새구이집 기억에 사로잡힌 내가 세상 물정과 담을 쌓고 멍하니 집과 학교를 오가던 시절, 학교는 진정한 진통의 시절로 들어가고 있었다. 교원이 노동자라는 의식을 갖지 못한, 대부분 타성에 젖었던 우리와 달리 앞서 나간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 이야기는 내 이야기가 아니다. 나는 첫 단추에 끼이지 못했고, 조금은 미안한 느낌과 죄스런 마음 그 이상은 아니었다. 고칠 것이 기본적으로 산재해 있다는 진단 부분에는 동감했지만, 그것이 노조 형태여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우리 대부분은 고개를 갸웃했다. 세상천지가 그러거늘, 어디서부터 시작할지도 난공불락으로 여겨졌다. 그런 우리는 그 조그만 생활안정으로 마치 기득권 세력에 속한 양, 꼭 그런 붙박이형은 아니라 해도 세상을 뒤바꿀 꿈 따위를 꾸어본 적이 없었던 셈이었다. 좀 더 열심히 좀 더 양심적으로 잘 가르쳐 보자는 것. 입시위주 공부만이 아닌 무엇인가를 더 심어주어야 하리라는 막연한 생각. 어쨌든 최선을 다해보자는 정도. 무엇 보다 모든 학생을 평등하게 대한다면! 그런 변명으로 안이해져 버린 세월이었다.

 

  비겁했다. 그 동안 교육현장이 들끓고 있었던 것을 몰랐다면 나는 비겁했다. 처음 전교조 결성 과정의 파장에 이어 이듬해 가을에는 조합원 교사들이 천 여 명씩 해직되었다. 그때도 가슴 아픈 한 편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라고 외면 한 것이 사실이었다. 봄여름가을겨울이 몇 번씩 오고 가는 동안, 학교 한번 이동하고 거기에 적응하고 하다보면 생이라거나 교육이라거나 원래의 의미 같은 것에 골몰할 시간도 틈도 생기지 않았다. 그러다가 문민정부가 들어서고 이듬해, 해직교사 거의 전원의 복직신청 뉴스와 물려서 누군가가 그녀의 이야기를 흘렸다, 나의 그녀인 것을 아무도 모르는 채로.

 

  그 새침데기 선생도 복귀했다는군요!

  누가, 그 새침데기 선생이 언제 해직되었더랬소?

  그걸 몰랐어요, 열성당원이었다던데?

  참 알다가도 모를 것이, 그 꽁한 성격으로 어찌!

  성격하고 전교조하고 무슨 상관이요! 외려 꽁한 사람들이 거기 많으면 많았지.

  하기는.

  그러니까 삼년을 넘게 해직?

  그랬대요, 그게 공동운명체 아뇨!

  아니, 가정과에서 따로 무슨 참교육을 한다고!

  하기는.

  하기는 말고는 뭔 말이 없소? 아, 고로켄가 카스텔란가 그런 것 안 만들고 이밥에 쇠고깃국 맛있게 끓이는 법 가르치면 안 되겠소!

  이 양반들이, 빈정대기는. 하기는 여자가 시집가믄 밥 맛 좋게 짓는 것이 제일로 중하제요.

  아 거기선 어디 여자더러만 밥을 지으라 하는가요! 남녀평등하고 역할구분도 안하려 드니까 문제지.

  밥이 꼭 역할구분과 관련은 안 되지요, 전 혼자서 밥 잘 짓습니다.

  노총각 박샘이사 욕심에서 그리된 것뿐이고.

  욕심요?

  각시 벌어 먹이자믄 아까워서 혼자 살고.

  그 이야기가 아니잖아요, 그 일로 이혼까지 갔다니까 그렇죠.

  누가? 아까 그 새침선생말여요?

  암튼, 그것도 시작하면 신앙이 될 거요.

  아무리 그것이 이혼사유가 될까요?

  것도 어찌 보면 이데올로기인데.

  그래요, 살을 섞어도 머리를 섞지 못하면 비극인거라…….

  맘 다른 사람하고 이혼 하지 않고 살면 뭐 하겠소. 더 끔찍하지.

  거 무섭네요.

  그만들 둡시다. 잘 알지도 못하는 사람 가지고.

 

  1990년대 만해도 이혼율은 지금처럼 높지 않았으니 이혼이 화제감은 되었다. 그 여자가 이혼을 했다고? 이혼을 했구나! 그럼 더구나 복직이 되어야 했겠구나. 그제야 나는 전교조 관련 뉴스를 귀담아 듣기 시작했다. 이렇게 터무니없이 이기적인 이유에서. 대개 학교마다에 전교조 가입교사들이 있었으니, 조금 관심을 가지면 열성 노조원인 그 여자의 소식을 대강은 알 수 있었다. 전교조 탈퇴확인서를 쓰라는 정부에 맞서 위원장은 공무원법 준수 각서로 대체하는 조건에서 정부의 요구조건을 수용하는 단안을 내렸고, 교사들은 돌아왔다, 물론 나의 그녀도 함께.

 

  그러나 다시 한 번 같은 학교에서 근무 할 수 있는 확률은 매우 낮았다. 내가 우선 여학교 발령을 원칙적으로 선호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수돗가 사건 이후 그녀가 먼저 전근했고, 한 해를 더 근무하고 내가 전근신청을 할 시기부터는 단연 남학교를 택했다. 남자에게 편한 성은 역시 남성임을 절감하면서. 녀석들하고는 수학여행을 떠나도 수돗가에서 서성거리지 않아도 되고, 경이로운 어떤 장면들을 보게 될 일도 없으니 편했다. 삶이 무엇인가, 편한 것이 편한 삶이다. 그렇게 살아온 세월이었다. 이제 다시 그녀의 해직과 복직이 화두로 떠돌 때에 이르러서야 잠복성 바이러스가 다시 활동기에 들어갔다. 또 다시 열심히 박박 문질러 씻기가 도졌다. 난 늘 그 수돗물 소리를 듣는다.

 

 

  강박증이 나를 삼켰다. 갑자기 내가 정신적인 문제가 있지나 않을까 겁이 났다. 가슴통증 때문에 순환기내과를 찾았을 때, 내과의사는 정신신경과를 권했다.

 

  나에게는 어떤 더러운 것에 대한 억압된 생각, 감정 또는 충동이 내 의사와 관계없이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의식 속으로 침입해 들어오는 경우라는 판정이 내려졌다. 책상서랍에 열쇠를 채우고 퇴근하는 길인지 몰라서 다시 교무실에 들르곤 했다는 고백은 나를 강박신경증적 소질이 있는 소심한 사람으로 낙인찍었다. 강박관념에 불안이나 공포가 따르는 것은 병은 아니라는 전제에서도, 나의 경우 남자가 살갗이 벗겨질 정도까지 씻어댄다면 분명 어떤 지우고 싶은, 잊고 싶은 불편한 기억의 방해라는 진단이었다.

 

  천만의 말씀. 나는 사실 내 몸이 청결하지 못하다고 느낄 뿐이었다, 그녀와 비교해서. 잊으려야 잊을 수 없는 그녀와 비교해서. 상상 속의 그녀와 비교해서. 의사의 말로는 형이상학적인 문제로 고민에 빠지게 되는 지적 강박증보다는 순한 놈이라고, 다만 나의 경우는 보통 손을 깨끗이 씻지 않으면 불안해지는 강박신경증과는 달리 온 몸을 씻어대는 문제가 있긴 하지만 그래도 어쩌겠느냐고. 육신으로 태어난 인간은 완전한 청결을 유지할 수 없다는 대 전제를 나에게 인식시키고자 오랜 정기적인 상담을 권했다.

 

  그런 주인공들을 문학작품들에서 볼 수 있으셨겠지요?

  무슨?

  강박신경증적 행동의 주인공들 말입니다. 손을 너무 자주 씻는 사람, 또는 문은 제대로 잠갔는지 물은 잘 잠갔는지 나가다가 다시 들어가서 보고 또 보고, 확인하고 또 확인하고……. 강박신경증 때문에 신경정신과에서 예컨대 그로민을 아침엔 25mg, 저녁엔 60mg 정도는 처방받아 복용중인 사람 말입니다.

  약물처방만 빼고는 제가 바로 그런데요. 남이 봤을 땐 우스워 보이지만 저로선 매우 피곤한 일입니다. 인도를 걷다보면 제가 무심코 빗금 선을 밟지 않으려고 한다거나, 제 자신을 이해할 수 없을 때가 있으니.

  이런 행동들이 본인 스스로도 비이성적이고, 불합리한 행동이라고 인지하면서도 그런 행동을 중지하려고 하면 심한 불안감을 경험하게 되신다는 거죠!

  예, 제 스스로는 제어할 수 없고, 어딘지 모르게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초조해지기 때문에…….

  네, 그렇습니다. 그 정도가 생활에 장애가 된다고 느끼셔서 진료상담을 받으러 오신 게지요. 본인 스스로 인지한 것을 다시 확인하려는 것이 비이성적이라고 판단하시는 건가요?

  당연하죠, 비이성적, 그래요, 비이성적 행동인 줄을 알기에 이렇게.

  그렇다면 그런 비이성적 행동을 무시하는 연습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조금 쉽게 해보는 방법으로, 머릿속으로 자신의 다른 자아를 설정해놓고, 이 다른 자아를 진정한 자아라고 간주하시고, 원래의 자아를 별개의 자아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비이성적 행동을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면 “너는 참 이성적인, 비합리적인 녀석이다.”라고 큰소리로 외쳐보는 것입니다. “이런 멍청이야, 너 지금 뭘 하고 있어!” 이렇게 욕을 해보시거나.

  예, 바보 멍청이죠. (단 한 순간도 이 떨림을 말해보지 않은 너. 꿈에도 생각도 해보지 않은 너. 가슴앓이는 당연지사라고 믿고, 뭔가 낌새를 들키는 짓일랑 대한민국 남아로 태어나서 가장 못난 짓, 몹쓸 짓이라 규정해버린 너. 거짓 평화가 최선이라고 거의 확신하고 있는 너…….)

  더 심한 모욕도 좋습니다. 만일 효과가 있으려면…….

  네? 꿈의 효과요?

  꿈이라뇨! 꿈 이야기는 드린 적이 없는데요. 선생께선 꿈속에서 불안감이 가중되시는 건가요?

  (아니, 꿈이라면……. 나의 꿈은 무엇이련가!)

  일반인들 가운데 유병률은 2~3%나 되니까 극히 드문 장애는 아니십니다.

  그건 그리 위안이 되는 말씀이 아닌데요.

  아니 위안이란 이 경우 본인 스스로……. 그보다 발병 시기가 보통의 경우에 비해서 좀 늦게 나타나신 경우인데…….

  어른들이 걸리는 확률이 낮다 말씀이십니까? 확률이 무슨 의미가 있나요? 제가 만일 강박신경증 환자군에 분류된다면 그건 1/2 확률이지요, 이다, 아니다.

  사실 이 경우 환자들은 대개 학력이나 지능이 높은 수준일 때가 더 많지요.

  지능이 높아서 걸리다니요? 지능을 감별하는 바이러스라?

  선생님도. 바이러스 감염이 아닌 것은 잘 아시면서. 차라리 유전성이라거나 가족성 발병 경향이 높은 셈이죠. 그러니까 가족력으로 미루어 우울증이나 대인공포증 등과 같은 정신과적인 질병이 공존하든가?…….

  그러면 저는…….

  선생께선 안정된 직장이 있으시고, 교사라는 직업 상 아무튼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실 테니까, 그리고 무엇보다도 자기 문제에 대한 통찰력이 있으신 것으로 보아서 분석정신치료로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겠습니다. 환경 여건에서 오는 자신의 증세 악화를 인정하면서 극복하려는 의지가 있으신 것으로 보아서. 참 그런데 감정표현은 잘 하시는 편인가요?

  실은 그것이…….

  감정 표현을 스스로 억제하려는 것, 전형적으로 가부장제 하의 가장증후군입니다.

  가장증후군요?

  하하 농담입니다. 출세지향형이 아니라 해도, 이 시대 가장들께서 흔히 붙들려 계시는 군자삼락 말입니다.

  삼락? 우선 양친이 다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라지만, 어디 양친도 형제도 마음대로…….

  그것도 실은 자괴감을 일으키는 요인이 됩니다. 불효로 돌아가신 것만 같고, 우애를 다하지 못함도 불효인 것만 같고. 그런데 이 시대에 효다 우애다 그것이 보통 일이 아니지요.

  예? 우애요? (아차, 내겐 유난히 나를 따르던 사촌이 있었지. 친 동기간은 아니라 해도 유일한 동생. 밭둑을 지나다가 무도 쓰윽 뽑아 그냥 옷에다 쓱싹 문지르고 먹던 녀석.)

  남자들이 터놓고 말을 못해 그렇지, 가부장제는 안팎으로 협공당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또 그것이 전적으로 옳다고 할 근거도 무너지고 있는 것이고. 게다가 우러러 하늘에 부끄럽지 않고 굽어보아도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게 살자니 힘에 부치는 것 아닌가요? 물론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교육하는 마지막 즐거움은 저절로 누리시겠지만.

  무엇인가 전도된 느낌이었다. 소위 정신과의사 자신이 자신을 치료하고 있는 듯한 착각이라 할까? 적어도 내가 알기로는 정신과의사나 상담치료사는 자신이 말하기보다는 환자의 입을 마음을 열게 하는 데 주력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의사는 내가 사내 살갗이 닳도록 씻어야 직성이 풀리는 이 병을 고쳐줄 뜻이 없어 보였다.

  다른 강박적 행동들을 수반하지 않고, 다만 강박적 씻기라면 중년남자들에게서는 흔치 않습니다. 능욕을 당한 처녀들에게서나 흔히 보이는 과민반응이니 말입니다. 그러니까 선생님에게서는 병적 증후와 연관될 트라우마가 발견되기 어렵다는 말씀입니다. 숨겨진 원인이 이렇듯 애매하다면…….

  숨겨진 원인이 꼭 있어야 합니까?

  원인이 될 수 있을 심적 타격 등을 상정하지 않고서는 대응기제를 찾아가기가 어렵다고나 할까요. 선생님께서는 혹시 마음속에 멀리…….

 

  중년남자가 혹시 ‘몸을 더럽힌’ 기억을 가지고 있느냐고 묻는 눈빛에는 이상하게도 어스름 물기가 아닌 붉은 기름기가 번져 나오는 듯 했다. ‘마음이 더럽게’ 흔들렸으되 몸을 더럽힌 적이 없는 남자는 이곳에서 치유될 수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남자의 마음 흔들림을 상상하지 못하는 남자 의사라!

 

  선생께선 반복적인 손 씻기 이외에도 강박적 행동이 발견되시는지. 예컨대 물건 정돈은 어떠십니까? 정리정돈에 억매이시나요? 대문을 닫고서 의심하고 다시 올라간다거나, 아니, 책의 읽은 부분을 다시 읽고 확인하려는 것, 것보다 과거에는 어떠셨습니까? 학생 시절 시험답안지 같은 것을 제출시간이 다가올 때까지 확인 또 확인해야…….

  지난 시절에까지 거슬러서요?

  아니, 뭐. 청소년 시절 손톱 물어뜯기 등도 강박행동에 속합니다만. 앞날에 대한 지나친 걱정, 걱정을 이미 걱정하신다거나?

  저는 그러니까 뭐랄까 다른 증상은, 아니 저는 실상 고민이 될 일이……. 그러니까 말씀드릴만한 일이. 해서 이만…….

  아니, 치료를 거부하실 의향이시라면…….

  아니, 제가 급한 다른 일이 생각이 나서. 그럼…….

 

 

 아차, 그럼 그 파도소리는 서러운 강물의 울음이 아니라 귀를 씻는 수돗물 소리였을까? 아니다, 지금은 지난 일들을 되돌아보는 대신에 내일을 생각하려고 한다. 나에게는 어쨌거나 내일이 있다. 아직은 병원에서 맞을 아침이겠지만. 언젠가는 새소리도 들려올 것이다. 어쩌면 벌레소리도.

 

  아침 식사가 끝난 후 복도 끝 정수기에서 뜨거운 물을 받아다가 커피봉지를 쏟아놓고 앉은 참이었다. 어느 녀석이 전화라도 하려나? 휴대전화를 살아있는 귀 쪽으로 옮겨 놓았다. 그런데 미미한 삐이 소리가 났다. 처음에는 이명이거니 했다. 기다리자, 어제 오늘은 이명도 가만히 참고 있으면 더 빨리 잦아든다. 아니? 청각검사실에서 들려준 쇳소리인데 착각인가? 아니다. 그 미세한 불규칙한 것은 쇳소리가 아니라 분명 벌레 우는 소리였다. 살아있어서 불규칙하다. 아직 추운 3월 어느 아침, 내가 아직 벌레소리를 듣는다! 경이에 가까웠다. 1/6 확률을 뚫고 내 귀가 회복되어간다는 생각 때문이 아니라, 그저 벌레소리를 듣는다는 사실이 뛸 듯이 기뻤다.

 

  어라? 벌레소리를 따라 무심코 따라간 눈. 그곳엔 수풀도 동산도 아닌 문이 가로막고 있었다. 시멘트벽사이에 난 나무문. 그 너머엔 길고긴 복도밖에 없는 병실건물. 벌레소리를 따라 병원복도로 향한 내 엉뚱함은 코미디였다. 청각 따라 방향감각을 잃게 되는가. 더 또 무엇을 잃어갈까.

 

  정말이었다. 내 고개는 창밖이 아닌 복도 쪽 닫힌 문을 향하고 있었다. 오른 쪽 귀가 회복되는 것이 아니었다. 창밖의 나무는 오른 쪽인데, 벌레는 그냥 왼쪽 귀에서 울고 있었다. 내 세상은 이제 모두 왼편이다. 오른 쪽에 몸담고 왼쪽을 동경해온 삶의 귀결이런가. 내 오른 쪽 귀는 더 이상은 오른 쪽 말을 듣지 말라한다. 새가 울어도 벌레가 울어도 그것은 왼쪽 세상이라 한다. 왼쪽 온 세상. 반쪽 온 세상.

 

*

 

  아버지의 공책은 거기서부터는 하얀 여백으로 멈춰 있었다.

아버지, 우리 아버지. 남은 귀 하나로 무서움을 타시는 구나. 회갑이란 그런 것인가. 정년이란 그런 것인가. 늙으신 아버지에게 변변한 자식도 없으니…….

 

  드르륵, 어머니가 방문을 여신다.

  어둡지 않아? 불이나 켜고 있지. 아버진 아예 늦으신단다. 건너 온, 저녁 먹자.

  승연이 승주는요?

  빨리도 챙긴다. 아까 승연이가 방문을 열어도 모르고 있더니. 애들은 벌써 먹였지, 시간이 몇 신데.

 

  밥상은 늘 소박하다.

  엄마, 아버진 정문리 가심 맨날 늦으세요?

  낸들 알아. 윤달 앞두고 뭘 궁리하시는지. 느닷없이 부산삼촌 이야길 하시질 않나, 원.

  부산삼촌요?

  그래, 그 왜 부산에서……. 관둬라, 너흰 잘 모른다.

  어머닌 그 이야기를 접으신다. 그리고는 관심의 화살을 내게로 정조준하신다.

  그런데 넌 여태도 달랑 혼자서…….

  엄마, 엄마 나물들 언제나 맛있어요. 나물 맛이 어쩜…….

  나는 부지런히 밥을 먹는 척, 엄마의 화살을 피해보려고 안간힘을 쏟는다.

--------------------

 

파도소리」,『국제펜광주』 제10호, 2012, 238-260쪽.

Posted by 서용좌
수필-기고2012. 12. 7. 22:56

 

마지막 책

 

 

  오래 살았다, 라고 말해야 옳다. 그러면서도 지난 세월의 무게가 두께가 느껴지지 않는다. 지난 시간은 늘 지나가기 때문일까. 잊을 수 없는 사람이 일이 무엇일까. 과거를 반추하는 일을 시작해보려 해도 화면은 현재에 멈추어 있다. 너무 아득해서일까. 믿을 수 없는 일을 경험한 기억이라해도 너무 멀리 와서는 희미하다. 내 머리는 아마 현재밖에 인식할 수 없을 만큼 녹슬었는지도 모른다.

 

  청춘은 아름다워라, 라고 누가 그랬던가.

  헤르만 헤세가 중년의 대작들인 『데미안』과 『싯다르타』 그리고 『황야의 이리』를 쓰기에 앞서 쓴, 어찌 보면 가벼운 단편 제목이 그것이다. 「청춘은 아름다워라」를 내었을 때가 40을 바라보는 나이. 이미 청년이 아니었다. 부친의 사망, 갓 세 살 난 막내아들의 뇌수막염, 아내와의 파경이 드러나던 무렵이다. 아내의 정신병은 심각한 수준으로 발전했고, 그 자신도 청소년기에 정신요양원 신세를 진 경험이 있었다. 기숙신학교를 탈출해 짝사랑의 절망으로 자살을 기도했던 결과였다. 일반 김나지움으로 옮겨서도 학교는 망쳤다. 그의 청춘은 일상에서의 탈출로 점철된 ‘찢긴’ 상처투성이였다. 자전적인 『황야의 이리』에서도 주인공의 우울과 분열의 원인은 청소년의 ‘의지의 분쇄’를 기본으로 하는 교육 탓이다. 작품마다 아팠던 청춘에 대한 그리움으로 점철되어 있다. 청춘에 대한 그리움은 원초적 인간본능의 하나일까.

 

  현대문명은, 물론 교육을 포함하여, 자연과 유리될수록 성공적이라 간주되고 있다. 개인은 거대 문명의 주변인으로 밀려나서 소외는 점정에 이르렀다. 어찌 제정신으로 살랴. 멘붕의 시대 - 우울과 정신적 불안 속에서 청춘은 아름답다고 외치면서도 헤세는 놀랍게도 노년에 이르는 삶을 누렸다. 생애 후반에 더욱 빛나는 책들을 썼고, 충분히 인식되고.

 

  왼손에 책을 펼쳐든 채로 고꾸라진 그의 마지막 모습은 경이롭다 못해 섬뜩하다. 그래서 잊지 못하는 것 목록에 든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많은 책 가운데에서도 하필 『고백록』이라니. ‘이는, 우리가 당신을 향하여 살도록, 당신이 우리를 창조하신 까닭이오니, 우리 심령은 당신 안에서 쉼을 얻을 때까지 평안할 수 없나이다.’ - 이 구절 때문에? 평생 달아나고자 했던 신앙으로? 아이러니다.

 

  책으로 지새운 수많은 밤들. 우연히 마지막 밤을 아우구스티누스에게 할애했을까. 헤세에게 가장 잊지 못할 사람이 아우구스티누스였다고 가정한다면, 나에게는 누구일까, 어떤 책이 될까, 마지막으로 읽게 될 것이. 혹은 쓰게 될 것이.

...................................................................................

 

 

『그곳에 그가 있다』, 한국여성문학인회, 2012, 책만드는집, 196-197쪽.

Posted by 서용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