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로이2017. 10. 7. 01:22

2017. 9.21.

그림의 떡, 그림에도 없는 떡

..........................................

 

문자가 뜬다.

언니, 여기는 THE ANANTI COVE

 

아난티 코브? 애꿎은 네이버: 부산 끝 시랑리, 부산 시민들도 잘 찾지 않았다는 한적한 어촌 마을이 300실 규모의 힐튼호텔과 100실 가까운 아난티 펜트하우스 그리고 100채가 넘은 프라이빗 레지던스를 갖춘 관광 명소가 되었단다.

 

그래, 지친 도시인들을 위한 도심 가까운 명소 필요하겠지. 쉬고 싶고 돈이 되면 명소에 가서 쉬어야 마땅하지. 7, 8천 그루의 교목과 관목을 자랑한다는 아난티 정원 - 낙원이겠다. 힐튼 호텔 앞 쪽에는 장흥의 시골마을에서 300년 넘은 은목서를 옮겨 심었다고. 대단하다....

 

10층 로비의 전경은 지상낙원? 어, 남해바다를 내려다 보다 미치면 어찌할꼬.

하긴 바다를 보고 미칠 인간이면 아난티 코브 힐튼의 엘리베이터를 타고 오를 위인이 되지 못한다. 신자유주의의 합리적 이성으로 완벽한 무장을 한 그들이 바다에 뛰어내릴 염려는 1도 없다.

 

몸 말고 맘도 ‘융숭한’ 대접을 받는다. 500평에 달하는 대형서점은 ‘이터널 저니(Eternal Journey)’라는 이름으로 여행, 인문, 철학, 예술 등을 주제로 한 2만여 권의 책을 비치해 놓았단다. 여행, 인문, 철학, 예술이 돈의 소유임을 모르지는 않았지만, 이쯤에선 돈이 모자라면 영영 이삭줍기 인생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해야 한다.

 

 

내 문자: 그래, 300년도 넘었다는 장흥 산 은목서는 안녕하셔?

 

 

'사사로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 사람들을 만나서  (0) 2017.10.20
철 이른 동면  (0) 2017.10.07
국제도서주간  (0) 2017.10.07
‘부정한 미녀’(질 메나주) - 한글문학 세계화의 걸림돌?  (0) 2017.10.07
가을  (0) 2017.10.07
Posted by 서용좌
사사로이2017. 10. 7. 01:19

2017. 9.19.

국제도서주간

..........................

 

며칠 전, 아직 서먹한 한 페친의 담벼락 -

 

“국제도서주간입니다.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신과 가장 가까운 곳의 책을 집어 들고, 52페이지를 폅니다. 그리고 다섯 번째 문장을 '상태 업데이트'에 포스팅합니다. 책 제목은 알리지 마시고 이 규칙도 당신의 상태 업데이트의 일부로 옮겨 주십시오.”

그리고 나에게는 아주 어려운 책의 한 구절이 올라와 있었다. 조르주 아감벤의....

 

 

                                             *

 

나는 이제 가장 가까운, 그러니까 읽고 있던 책의 52페이지를 편다.

“걷는 것과 가만히 서 있는 것도 이렇다 할 차이가 없었다.”

이 무슨 애매한 말이런가.

 

이 책을 알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아마 나는 다음 구절을 누군가에게 말하고 싶었는데 이런 계기를 얻었다고 확신한다. 다른 페이지의 글.

“책이 너무 짧고 뒤죽박죽이고 거슬리네요, 샘. 대학살에 관해서는 지적으로 할 수 있는 말이 없기 때문이지요. 원래 모두가 죽었어야 하는 거고, 어떤 말도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거고, 다시는 어떤 것도 바라지 않아야 하는 거지요. 원래 대학살 뒤에는 모든 것이 아주 고요해야 하는 거고, 실제로도 늘 그렇습니다. 새만 빼면.

그런데 새는 뭐라고 할까요? 대학살에 관해서 할 수 있는 말이라고는 “지지배배뱃?” 같은 것뿐입니다.”

 

                                                  *

 

다른 사람의 말을 빌려서라니... 참 재미있는 발상이다.

 

 

'사사로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 이른 동면  (0) 2017.10.07
그림의 떡, 그림에도 없는 떡  (0) 2017.10.07
‘부정한 미녀’(질 메나주) - 한글문학 세계화의 걸림돌?  (0) 2017.10.07
가을  (0) 2017.10.07
여름, 혹독한 여름  (0) 2017.10.07
Posted by 서용좌
사사로이2017. 10. 7. 01:15

2017. 9.17.

‘부정한 미녀’(질 메나주) - 한글문학 세계화의 걸림돌?

.....................................................................................

 

‘번역은 여자와 비슷하다. 정숙하면 볼품이 없고 아름다우면 부정하다.’라는 르네상스 이래의 여성혐오성 격언(?)에도 불구하고, 번역문제에서는 형용사에만 집중해서 말하자.

“한국시의 걸작들”이 세계화를 위해서는 번역이 되어야 하는데, 이들 “규범”적인 작품들은 국가주의적인 가치나 학생들이 본받아야 할 아름다움과 인간의 가치를 담아냈다고 간주되는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이 예컨대 영어로 번역되었을 때 한국스러움을 강조하고 한국어처럼 들리기를 고집하면, 시를 일종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으로 보는 미국에서 청중이나 독자들이 전혀 유머를 접하지 못해서 반응이 거의 없게 되는 딜레마에 빠진다고. 한 마디로 감상적인 목소리로 말을 거는 한국시는 미국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지 못한다고. (이 단락은 2017 세계한글작가대회, 안선재 서강대 명예교수의 발표 발췌.)

 

어찌할꼬. 문학의 세계화가 입에 올릴 수 있는 간단한 개념이 아닌 줄은 알았지만, 상당한 경험과 능력을 겸비한 전문가의 입으로 번역의 딜레마에 관해 들으면서 느낀 것은 또 다른 문제였다. 한국 시인들은 자신의 시가 정직한 추녀가 되더라도 꼼꼼히 충실히 번역되기를 원하는데, 정작 시를 들어줄 사람들은 부정한 미녀를 원한다니! 세계화는 무리인가, 정말 필요한가. 서양 사람들의 이해 구미에 맞는 번역을, 또는 아예 번역되기 좋은 글을 쓴다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 한글문학의 세계화는 한글문학의 부분적 변화 또는 상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지. 서양 사람들의 의식주 따라잡기에 급급한 한국인들의 의식에 더해, 문화 예술 차원에서까지 세계화를 위해 서양 흉내내기에 나서야 하는 것인지. 당췌 모를 일이다.

 

 

'사사로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의 떡, 그림에도 없는 떡  (0) 2017.10.07
국제도서주간  (0) 2017.10.07
가을  (0) 2017.10.07
여름, 혹독한 여름  (0) 2017.10.07
고백 하나  (0) 2017.10.07
Posted by 서용좌